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시각성(視覺性)의 문제  :  근대문학의 시작과 ‘외부’적인 시선 = 李光洙小?に現れた「視覺性」の問題 - 近代文學の始まりと「外部」の眼差し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9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초 일본유학중의 루쉰(魯迅)은 ‘환등사건’에 의해서 의학에서 문학으로 전향을 했다. 이 ‘환등사건’에 대해서 레이 초우는 시각성(시각 미디어)이라는 시점부터 재해석을 하고 있다. 거기에서는 시각 미디어가 가진 매개 없이 메시지를 전달하는 투명성이나, 거기서 보여지는 객체로서의 중국인, 보는 관객으로서의 ‘우리(일본인, 근대적 관객)’라는 근대적인 시각성이 가지는 폭력적인 구조에 의해서 루쉰의 ‘문학’이 생성된 것이 지적되어 있다.
      이런 시선의 역학은 조선의 이광수의 경우도 비슷하게 나타나 있다. 이광수의 『무정』(1917)은 와세다대학 유학시절에 집필됐고, ‘외부’에서의 시선은 작품의 도처에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영채를 비롯한 조선의 민중(native)을 접할 때 이런 ‘외부’적인 시선은 현저하게 나타나 그들을 스크린에 비치는 ‘타자’로서 관찰하고, 감상하고 동정하는 시선이 작동하고 있다. 『무정』은 조선의 각지에서 이름도 없는 네이티브들을 만나고 그들을 조선이라는 “상상의 공동체”의 일원으로 재발견해 가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외부’적인 시선에 의한 새로운 상상력이 거기에 작동한 것이다.
      그러나 형식의 ‘보는 주체’로서의 위치는 스스로 당사자로서 영채의 사건에 관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으로 이중성을 가지게 된다. 즉, 관찰자의 위치에 머물지 않고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영채와의 극중에 관여해야 하는가(결혼해야 하는가), 또는 극의 ‘외부’에 머물어야 하는가 형식은 망설임을 계속한다. 거기서는 보여지는 객체이면서 보는 주체가 되려고 하는 식민지 근대를 살아가는 남성지식인으로서 이광수의 근대적 주체가 가지는 이중성이 표출된 것으로 생각된다.
      스토리 구조, 인물 묘사 등에 나타난 이런 이중성은 『무정』 후반부에 들어가면서 “근대”적 계몽주체로 지양되고 영채도 ‘근대’적 의사와 시선을 가진 여성으로 재탄생을 한다. 그러나 『무정』이라는 작품 안에서는 식민지 근대를 살아가야 하는 이광수의 이중적 분열 양상이 생생히 새겨져 있고, 그것은 근현대시기 한국문학의 주체가 보인 이중성을 시발점에서 예고한 것이었다.
      번역하기

      20세기 초 일본유학중의 루쉰(魯迅)은 ‘환등사건’에 의해서 의학에서 문학으로 전향을 했다. 이 ‘환등사건’에 대해서 레이 초우는 시각성(시각 미디어)이라는 시점부터 재해석을 하고 ...

      20세기 초 일본유학중의 루쉰(魯迅)은 ‘환등사건’에 의해서 의학에서 문학으로 전향을 했다. 이 ‘환등사건’에 대해서 레이 초우는 시각성(시각 미디어)이라는 시점부터 재해석을 하고 있다. 거기에서는 시각 미디어가 가진 매개 없이 메시지를 전달하는 투명성이나, 거기서 보여지는 객체로서의 중국인, 보는 관객으로서의 ‘우리(일본인, 근대적 관객)’라는 근대적인 시각성이 가지는 폭력적인 구조에 의해서 루쉰의 ‘문학’이 생성된 것이 지적되어 있다.
      이런 시선의 역학은 조선의 이광수의 경우도 비슷하게 나타나 있다. 이광수의 『무정』(1917)은 와세다대학 유학시절에 집필됐고, ‘외부’에서의 시선은 작품의 도처에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영채를 비롯한 조선의 민중(native)을 접할 때 이런 ‘외부’적인 시선은 현저하게 나타나 그들을 스크린에 비치는 ‘타자’로서 관찰하고, 감상하고 동정하는 시선이 작동하고 있다. 『무정』은 조선의 각지에서 이름도 없는 네이티브들을 만나고 그들을 조선이라는 “상상의 공동체”의 일원으로 재발견해 가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외부’적인 시선에 의한 새로운 상상력이 거기에 작동한 것이다.
      그러나 형식의 ‘보는 주체’로서의 위치는 스스로 당사자로서 영채의 사건에 관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으로 이중성을 가지게 된다. 즉, 관찰자의 위치에 머물지 않고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영채와의 극중에 관여해야 하는가(결혼해야 하는가), 또는 극의 ‘외부’에 머물어야 하는가 형식은 망설임을 계속한다. 거기서는 보여지는 객체이면서 보는 주체가 되려고 하는 식민지 근대를 살아가는 남성지식인으로서 이광수의 근대적 주체가 가지는 이중성이 표출된 것으로 생각된다.
      스토리 구조, 인물 묘사 등에 나타난 이런 이중성은 『무정』 후반부에 들어가면서 “근대”적 계몽주체로 지양되고 영채도 ‘근대’적 의사와 시선을 가진 여성으로 재탄생을 한다. 그러나 『무정』이라는 작품 안에서는 식민지 근대를 살아가야 하는 이광수의 이중적 분열 양상이 생생히 새겨져 있고, 그것은 근현대시기 한국문학의 주체가 보인 이중성을 시발점에서 예고한 것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근대문학의 시작-‘제국’과 미디어, 시선
      • 2. 근대문학의 생성과 시각성-루쉰의 환등사건과 근대성
      • 3. 이광수 『무정』에 보이는 ‘제국’적인 시선과 근대성
      • 4. 『무정』의 이중적인 시선과 식민지 근대성
      • 〈국문초록〉
      • 1. 근대문학의 시작-‘제국’과 미디어, 시선
      • 2. 근대문학의 생성과 시각성-루쉰의 환등사건과 근대성
      • 3. 이광수 『무정』에 보이는 ‘제국’적인 시선과 근대성
      • 4. 『무정』의 이중적인 시선과 식민지 근대성
      • 5. 마무리를 대신하여
      • 〈참고문헌〉
      • 일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개화, "한국문학의 탈식민적 주체성: 이식문학론을 넘어" 창작과 비평사 2009

      2 김학면, "이광수 초기문학담론과 『무정』의 '근대성' 연구 -'문학' 개념의 확정, '주체'의 재구성, 감각의 '묘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5) : 169-219, 2008

      3 배개화, "이광수 초기 글쓰기에 나타난 감정 의 의미" 한국어문학회 (95) : 349-376, 2007

      4 이광수, "西伯利亜에서 다시 東京으로" 朝光 1936

      5 이광수, "李光洙全集" 又新社 1979

      6 이광수, "李光洙全集" 画報․評伝․年譜, 三中堂 1971

      7 ベネディクト, "想像の共同体 ナショナリズムの起源と流行" リブロポート 1987

      8 魯迅, "吶喊" 自序

      9 レイ․チョウ, "プリミティブへの情熱 中国․女性․映画" 青土社 1999

      10 Rey Chow, "Primitive Passions : Visuality, Sexuality, Ethnography, and Contemporary Chinise Cinem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1 배개화, "한국문학의 탈식민적 주체성: 이식문학론을 넘어" 창작과 비평사 2009

      2 김학면, "이광수 초기문학담론과 『무정』의 '근대성' 연구 -'문학' 개념의 확정, '주체'의 재구성, 감각의 '묘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5) : 169-219, 2008

      3 배개화, "이광수 초기 글쓰기에 나타난 감정 의 의미" 한국어문학회 (95) : 349-376, 2007

      4 이광수, "西伯利亜에서 다시 東京으로" 朝光 1936

      5 이광수, "李光洙全集" 又新社 1979

      6 이광수, "李光洙全集" 画報․評伝․年譜, 三中堂 1971

      7 ベネディクト, "想像の共同体 ナショナリズムの起源と流行" リブロポート 1987

      8 魯迅, "吶喊" 自序

      9 レイ․チョウ, "プリミティブへの情熱 中国․女性․映画" 青土社 1999

      10 Rey Chow, "Primitive Passions : Visuality, Sexuality, Ethnography, and Contemporary Chinise Cinem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11 Benedict Anderson, "Imagined Communities ;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Editions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