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5세기 의존명사 목록의 재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30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중세국어의 의존명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목록이 각각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세국어의 의존명사 목록의 객관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먼저 여러 선행 연구들 중에서 5개의 선행 연구를 선정하여, 해당 연구들의 의존명사 목록을 정리하고, 정리된 선행 연구들의 의존명사 목록 중에서 ‘수 단위 의존명사, 한자로 나타나는 의존명사, 15세기에 나타나지 않는 의존명사’를 제외하여, 본고에서 살필 15세기를 중심으로 한 의존명사 목록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살필 15세기 의존명사 목록을 고영근(1982)을 기준으로 정리하고, 각 논의에서 분류된 의존명사들을 빈도순으로 분류하였다. 빈도순으로 분류한 15세기의 의존명사들 중에서, 하나의 선행 연구에서만 의존명사로 인정한 ‘겿, 놈, 단, 달, 다시/드시/디시, 다비, 대로, 뎌에, 디4, 살, 새, 시, 억, 이어긔, 젼차 , 직’에 대하여 해당 형태들의 의존명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겿, 놈, 직’은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았다. 하지만 ‘다시/드시/디시’는 의존명사와 접미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고, ‘단, 달, 대로, 디4, 살, 시’는 의존명사와 조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고, ‘새’는 통합형 어미에 포함된 형태로 보며, ‘젼차’는 자립명사로 보고, ‘다비’는 파생부사 또는 용언의 활용형으로 보고, ‘뎌에’는 명사구와 격조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며, ‘이어긔’는 부사로 보아, 해당 형태들을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억’은 관형사가 선행하고 조사가 후행하는 구성에 쓰이는 의존명사일 가능성이 있으나, 의존명사보다 조사와 관련된 형태로 볼 근거가 더 많다고 판단하여, 해당 형태도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지 않았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중세국어의 의존명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목록이 각각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세국어의 의존명사 목록의 객관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먼저 여러 선행 연구들 중...

      본고에서는 중세국어의 의존명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목록이 각각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세국어의 의존명사 목록의 객관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먼저 여러 선행 연구들 중에서 5개의 선행 연구를 선정하여, 해당 연구들의 의존명사 목록을 정리하고, 정리된 선행 연구들의 의존명사 목록 중에서 ‘수 단위 의존명사, 한자로 나타나는 의존명사, 15세기에 나타나지 않는 의존명사’를 제외하여, 본고에서 살필 15세기를 중심으로 한 의존명사 목록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살필 15세기 의존명사 목록을 고영근(1982)을 기준으로 정리하고, 각 논의에서 분류된 의존명사들을 빈도순으로 분류하였다. 빈도순으로 분류한 15세기의 의존명사들 중에서, 하나의 선행 연구에서만 의존명사로 인정한 ‘겿, 놈, 단, 달, 다시/드시/디시, 다비, 대로, 뎌에, 디4, 살, 새, 시, 억, 이어긔, 젼차 , 직’에 대하여 해당 형태들의 의존명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겿, 놈, 직’은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았다. 하지만 ‘다시/드시/디시’는 의존명사와 접미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고, ‘단, 달, 대로, 디4, 살, 시’는 의존명사와 조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고, ‘새’는 통합형 어미에 포함된 형태로 보며, ‘젼차’는 자립명사로 보고, ‘다비’는 파생부사 또는 용언의 활용형으로 보고, ‘뎌에’는 명사구와 격조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며, ‘이어긔’는 부사로 보아, 해당 형태들을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억’은 관형사가 선행하고 조사가 후행하는 구성에 쓰이는 의존명사일 가능성이 있으나, 의존명사보다 조사와 관련된 형태로 볼 근거가 더 많다고 판단하여, 해당 형태도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attention was drawn to the objectivity of the bound noun list of medieval languages, noting that the list of preceding researches about bound nouns of medieval language was different.
      First, five prior researches were selected among the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and a list of bound nouns. We exclude ‘number unit bound nouns, bound nouns appearing in Chinese characters, and bound nouns not appearing in the 15th century’ from the list of bound nouns in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have made a list of bound nouns centering around the 15th century.
      Next, the list of bound nouns in the 15th century is summarized by Ko Young Keun(1982), and the bound nouns classified in each discussion are classified in frequency order. Among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classified by frequency,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bound nouns of the corresponding forms were recognized for ‘겿, 놈, 단, 달, 다시/드시/디시, 다비, 대로, 뎌에, 디4, 살, 새, 시, 억, 이어긔, 젼차, 직’ recognized as bound nouns in only one preceding research.
      As a result, in this paper, ‘겿, 놈, 직’ are seen as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But, ‘다시/드시/디시’ are seen as a combination of bound noun and suffix, ‘단, 달, 대로, 디4, 살, 시’ are seen as a combination of bound noun and postposition, ‘새’ is included in the compound ending, ‘젼차’ is regarded as independent noun, ‘다비’ is regarded as derived adverb or inflectional form of verb, ‘뎌에’ is,regarded as a combination of noun phrase and case, ‘이어긔’ is regaded as adverb, did not regard the forms as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And ‘억’ is considered to be a bound noun that is used in conposition of precedent adnominal followed by postposition, but in the 15th century it was not regarded as a bound noun, because it was more likely to see it as a form related to case than a bound noun.
      번역하기

      In this paper, attention was drawn to the objectivity of the bound noun list of medieval languages, noting that the list of preceding researches about bound nouns of medieval language was different. First, five prior researches were selected among ...

      In this paper, attention was drawn to the objectivity of the bound noun list of medieval languages, noting that the list of preceding researches about bound nouns of medieval language was different.
      First, five prior researches were selected among the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and a list of bound nouns. We exclude ‘number unit bound nouns, bound nouns appearing in Chinese characters, and bound nouns not appearing in the 15th century’ from the list of bound nouns in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have made a list of bound nouns centering around the 15th century.
      Next, the list of bound nouns in the 15th century is summarized by Ko Young Keun(1982), and the bound nouns classified in each discussion are classified in frequency order. Among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classified by frequency,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bound nouns of the corresponding forms were recognized for ‘겿, 놈, 단, 달, 다시/드시/디시, 다비, 대로, 뎌에, 디4, 살, 새, 시, 억, 이어긔, 젼차, 직’ recognized as bound nouns in only one preceding research.
      As a result, in this paper, ‘겿, 놈, 직’ are seen as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But, ‘다시/드시/디시’ are seen as a combination of bound noun and suffix, ‘단, 달, 대로, 디4, 살, 시’ are seen as a combination of bound noun and postposition, ‘새’ is included in the compound ending, ‘젼차’ is regarded as independent noun, ‘다비’ is regarded as derived adverb or inflectional form of verb, ‘뎌에’ is,regarded as a combination of noun phrase and case, ‘이어긔’ is regaded as adverb, did not regard the forms as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And ‘억’ is considered to be a bound noun that is used in conposition of precedent adnominal followed by postposition, but in the 15th century it was not regarded as a bound noun, because it was more likely to see it as a form related to case than a bound nou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중세국어 의존명사 목록에 대한 선행 연구와 비교
      • 3. 15세기 의존명사 검토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중세국어 의존명사 목록에 대한 선행 연구와 비교
      • 3. 15세기 의존명사 검토
      • 4. 맺음말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호완, "후기 중세어 의존명사 연구" 학문사 1987

      2 최형용, "형식명사·보조사·접미사의 상관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 고영근, "현대국어의 준자립형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6 (6): 17-55, 1970

      4 안효경, "현대국어의 의존명사 연구" 역락 2001

      5 정호완, "한국어의 발달과 의존명사" 이회 2003

      6 이주행, "한국어 의존명사의 통시적 연구" 한샘 1988

      7 이주행, "한국어 의존명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9

      8 이규호, "한국어 복합조사" 한국학술정보 2007

      9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7

      10 이영제, "한국어 기능명사 연구" 태학사 2016

      1 정호완, "후기 중세어 의존명사 연구" 학문사 1987

      2 최형용, "형식명사·보조사·접미사의 상관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 고영근, "현대국어의 준자립형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6 (6): 17-55, 1970

      4 안효경, "현대국어의 의존명사 연구" 역락 2001

      5 정호완, "한국어의 발달과 의존명사" 이회 2003

      6 이주행, "한국어 의존명사의 통시적 연구" 한샘 1988

      7 이주행, "한국어 의존명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9

      8 이규호, "한국어 복합조사" 한국학술정보 2007

      9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7

      10 이영제, "한국어 기능명사 연구" 태학사 2016

      1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

      12 송철의, "파생어형성에 있어서의 제약현상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99) : 309-333, 1988

      13 이광호, "처소 기원 여격조사의 형태와 의미" 어문연구학회 86 : 37-56, 2015

      14 고영근, "중세어의 형식명사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8 (18): 83-100, 1982

      15 황경수, "중세국어의 의존명사 연구" 청운 2002

      16 김정아, "중세국어의 비교구문 연구" 태학사 1998

      17 양정호, "중세국어에 대하여" 태동 1 : 25-33, 1992

      18 김완진, "중세국어성조의 연구" 탑출판사 1977

      19 김양진, "중세국어 ‘이어긔, 그어긔, 뎌어긔’에 대하여" 진단학회 92 : 269-291, 2001

      20 장윤희, "중세국어 ‘-암/엄 직 -’의 문법사" 박이정 3 (3): 1-21, 2001

      21 이승욱, "접미사 ‘-mčik’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8) : 132-141, 1957

      22 유창돈, "이조어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23 이병모, "의존명사의 형태론적 연구" 학문사 1995

      24 정재영, "의존명사의 문법화" 태학사 1996

      25 허허웅, "우리 옛말본: 15세기 국어 형태론" 샘문화사 1975

      26 유창돈, "어휘사연구" 선명문화사 1973

      27 박진호, "어말 ‘C+ㆎ/의’에서의 ‘C+ㆍ/ㅡ’의 탈락 현상에 대하여" 박이정 3 (3): 231-240, 2001

      28 강성일, "신부 전석재박사 환력기념논문집" 효성여자대학출판부 1-28, 1976

      29 서정수, "수정판 국어문법" 한세본 2006

      30 왕문용, "부사성 불완전명사고" 한국국어교육연구회 49 : 273-292, 1984

      31 송복승, "듯'과 '듯이'의 발달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30) : 69-89, 2002

      32 양정호, "동명사 구성의 ‘-오-’ 연구" 태학사 2003

      33 하귀녀, "국어 보조사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34 남광우,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1997

      35 이기문, "개정판 국어사개설" 탑출판사 1972

      36 조재형, "‘이어긔, 그어긔, 뎌어긔’에 대한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103-129, 2010

      37 시정곤, "‘음직하’ 구성의 형태ㆍ통사적 연구" 한국어학회 48 : 193-221, 2010

      38 시정곤, "‘음직하’ 구성의 변천과정에 대한 통계적 접근" 한글학회 (288) : 5-42, 2010

      39 박부자, "‘대로’의 형성" 구결학회 (24) : 201-236, 2010

      40 최현배, "<깁고 고친>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71

      41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태학사 1998

      42 이홍식, "(이익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7-46, 1998

      43 민현식, "(이익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165-198, 1998

      44 이승재, "(소곡남풍현선생 회갑기념논총) 국어사와 차자표기" 태학사 215-252,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