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어 자음 연쇄에서 출현하는 제약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약의 해소 동기를 기술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자음 연쇄에서의 제약을 발음이 되지 않은 문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30392
2018
Korean
자음 연쇄 ; 제약의 성립 ; 제약의 해소 ; 제약의 발생 조건 ; 제약의 대상 ; 제약의 내용 ; ‘폐쇄음+비음’ 연쇄 ; ‘폐쇄음+유음’ 연쇄 ; 음성적 동기 ; 형태소적 동기 ; Consonant clusters ; Creation of Constraints ; Elimination of Constraints ; Conditions of Constraints ; Object of Constraints ; ‘stops+nasal’ clusters ; ‘stops+liquid’ clusters ; Phonetic motive ; Morphemic motive
KCI등재
학술저널
35-90(5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어 자음 연쇄에서 출현하는 제약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약의 해소 동기를 기술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자음 연쇄에서의 제약을 발음이 되지 않은 문제...
이 연구는 국어 자음 연쇄에서 출현하는 제약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약의 해소 동기를 기술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자음 연쇄에서의 제약을 발음이 되지 않은 문제, 음성적 위계 조건을 벗어난 문제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제약의 해소 단계에서 특정 음운현상만 선택되는 이유를 음성적인 측면으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여러 가능한 음성적 상호작용 가운데 왜 한 가지만 선택되는지 음성적인 측면으로는 일관되게 설명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자음 연쇄에서의 제약을 선행 자음의 조음 조건에 의해 후행 자음이 실현되지 못하는 제약으로 규정하였다. 후행 자음이 실현되지 못하는 제약은 단지 음성적인 문제가 아니라 이 자음을 구성요소로 하는 형태소가 실현되지 못하는 문제라고 보았다. 제약의 해소 단계에서 특정 음운현상만 선택되는 이유는 반드시 후행 자음을 실현시켜야 하는 형태소 차원의 동기 때문이다.
‘폐쇄음+비음’ 연쇄에서는 제약을 입는 후행 비음을 실현시키고자 비음의 ‘[공명성]’ 자질을 선행 폐쇄음에 전파하였다. 후행 비음이 실현되어야 형태소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음운현상이 선택되지 못한다. ‘폐쇄음+유음’ 연쇄에서는 제약을 입는 후행 유음을 실현시키고자 유음의 ‘[공명성]’ 자질을 선행 폐쇄음에 전파하였다. 유음이 ‘ㄴ’으로 바뀌는 것은 선행 조음 조건으로 인해 유음 대신 음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ㄴ’이 선택된 것이다. 후행하는 자음 위치에 ‘[공명성]’이 실현되어야 형태소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음운현상이 선택되지 못한다. 자음 연쇄에서 선택되는 음운현상은 후행 자음을 실현시키기 위한 형태소적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eate constraints which appear in Korean consonant clusters and describe the motives to eliminate such restriction. In previous studies, a constraint in consonant clusters is defined as a pronunciation or phonetic hier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eate constraints which appear in Korean consonant clusters and describe the motives to eliminate such restriction. In previous studies, a constraint in consonant clusters is defined as a pronunciation or phonetic hierarchy condition problem. With this standpoint, it was hard to explain why a certain phonological phenomenon is only chosen during the constraint elimination stage from the phonetic aspect. Specifically, it wasn’t able to clarify why only one has been chosen among diverse phonetic interactions from the phonetic perspective. In this study, constraints in consonant clusters are limited to those in which following consonants are not pronounced due to the articulation conditions of preceding consonants. A constraint inhibiting the execution of following consonants was viewed as a problem of not realizing morphemes comprised of the consonant, not just a phonetic issue. The reason why a particular phonological phenomenon should be chosen during the constraint elimination stage is because of morphemic motives to realize following consonants. In ‘stops+nasal’ clusters, a sonorant feature was spread to preceding stops to realize constrained following nasals. Since morphemes cannot be realized without following nasals, other phonological phenomena are not selected. In ‘stops + liquid’ clusters, on the contrary, a sonorant feature was spread to preceding stops to realize constrained following liquids. A shift of such liquid to ‘/n/’ means that ‘/n/’ which can perform phonemic functions was chosen instead of ‘liquid’ based on preceding articulation conditions. Since morphemes cannot be realized without having ‘sonorant’ on the following consonant position, other phonological phenomena aren"t adopted. A phonological phenomenon being selected in consonant clusters originates from the morphemic motive to realize following consona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秉根, "李崇寧先生古稀紀念 國語國文學" 塔出版社 249-264, 1977
2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도서출판 지식과 교양 2011
3 허용, "한국어 자음동화에 대한 지배음운론적 접근" 언어연구소 (34) : 199-213, 2004
4 김차균, "음절이론과 국어의 음운규칙" 忠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8 (8): 35-81, 1981
5 변용우, "음운현상과 문법 정보의 관계" 동악어문학회 (66) : 9-66, 2016
6 오정란, "음성ㆍ음운ㆍ형태론 연구" 음운론 연구회 91-104, 1993
7 변용우, "유성자음 뒤의 경음화 현상에 대하여 -‘ㄷ’ 첨가 규칙의 설정과 관련하여-" 동악어문학회 (59) : 223-263, 2012
8 오정란, "비음화와 비음동화" 國語學會 25 : 137-164, 1995
9 김성련, "국어음절간의 ‘자질걸침’에 대하여" 韓國言語文學會 30 : 41-58, 1992
10 김차균, "국어음운론에서의 강도의 기능" 한국언어학회 15 : 33-73, 1990
1 李秉根, "李崇寧先生古稀紀念 國語國文學" 塔出版社 249-264, 1977
2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도서출판 지식과 교양 2011
3 허용, "한국어 자음동화에 대한 지배음운론적 접근" 언어연구소 (34) : 199-213, 2004
4 김차균, "음절이론과 국어의 음운규칙" 忠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8 (8): 35-81, 1981
5 변용우, "음운현상과 문법 정보의 관계" 동악어문학회 (66) : 9-66, 2016
6 오정란, "음성ㆍ음운ㆍ형태론 연구" 음운론 연구회 91-104, 1993
7 변용우, "유성자음 뒤의 경음화 현상에 대하여 -‘ㄷ’ 첨가 규칙의 설정과 관련하여-" 동악어문학회 (59) : 223-263, 2012
8 오정란, "비음화와 비음동화" 國語學會 25 : 137-164, 1995
9 김성련, "국어음절간의 ‘자질걸침’에 대하여" 韓國言語文學會 30 : 41-58, 1992
10 김차균, "국어음운론에서의 강도의 기능" 한국언어학회 15 : 33-73, 1990
11 김성련, "국어 자음동화에 대한 몇가지 새로운 제안" 한국현대언어학회 9 (9): 29-41, 1993
12 徐輔月, "국어 자음 연계에서의 음운현상과 제약"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2
13 김차균, "국어 음운 현상들의 새로운 해석과 정리" 忠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8 (18): 5-61, 1991
14 이진호, "개정판 국어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14
15 이진호, "國語의 音韻論的 制約 體系"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59-82, 2005
16 姜昶錫, "國語의 音節構造와 音韻現象" 國語學會 13 : 199-228, 1984
17 김현, "共鳴度 및 關聯 音韻 現象에 대한 音聲學的 接近"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139-164, 2011
18 이진호, "‘독립(獨立)’류 한자어의 음운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4) : 201-216, 2008
19 Kim, Kee-Ho,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distinctive features:Korean consonantal phonology" University of Iowa 1987
20 Vennemann, T., "Preference Laws for Syllable Structure and the Explanation of Sound Change" Mouton de Gruyter 1988
『삼국유사』 기이편 무왕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향가 <서동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