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문화 창출을 위한 감성문화융합을 통한 창조성의 접근으로 크게 기술을 통한 융합, 삶의 공간속에서의 융합, 인문?예술을 통한 문화융합,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75852
2013
Korean
지속가능발전 ; 지속가능한 사회문화 ; 문화융합 ; 창조경제
학술저널
1-30(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문화 창출을 위한 감성문화융합을 통한 창조성의 접근으로 크게 기술을 통한 융합, 삶의 공간속에서의 융합, 인문?예술을 통한 문화융합,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융...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문화 창출을 위한 감성문화융합을 통한 창조성의 접근으로 크게 기술을 통한 융합, 삶의 공간속에서의 융합, 인문?예술을 통한 문화융합,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융합 등으로 분류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융합에서는 디지로그라는 말로 대변되듯이 웰빙, 의료, 의류, 식품 등 제반 분야에서 기술과 감성문화가 융합되고 있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삶의 공간 속에서의 융합에서는 다차원적인 감성을 제공하는 창조도시가 관광객을 유치하는 등 고부가가치를 창출함을 인지하였다. 인문예술을 통한 문화융합에서는 한류3.0과같이 문화가 경제성장에도 기여하며, 사회혁신 요소로서 통합적 디자인으로 진화하며, 명품으로의 업사이클(upcycle) 전략 및 엔터테인먼트 융합 요소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요 요소로 도출되었다.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융합에서는 대내 구성원을 커넥션으로 연계하여 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업의 가치 공유를 위해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서 CSV(Creating Shared Value)로 변화하고 있으며, 환경융합을 통한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문화감성융합이 창조경제 기반인 창조성 발현에 기여하는 주요 요소임을 도출해 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established a development of a “creative economy” as a new model for Korea in the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systematic methods for the new society have not been proposed satisfactorily so far. Wi...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established a development of a “creative economy” as a new model for Korea in the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systematic methods for the new society have not been proposed satisfactorily so far.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presents concrete strategies for achieving this goal, based on the analysis of "creative economy" related news reports since the launch of the new Administration.
This research proves that convergence of emotion and culture in the whole area of our society is critical to a creative economy. Convergence of culture into high technology, derivation of emotional value through culture, creation of humane life space, and economic growth through brand communication are essential to added value economy and society. In conclusion, the creative economy of Korea can be achieved by converging and circulating culture holistically.
목차 (Table of Contents)
제품 디자인과 소비자 참여가 NPD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명품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