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산학적 스토리 자동 생성 연구에 대한 고찰 = Computational Narrative Generation: A Surv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5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설부터 영화 시나리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스토리 자동 생성(story generation)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일기예보나 스포츠 기사와 같은 정보 전달을 위한 텍스트는 점점 로봇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하지만 스토리는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성이 가장 잘 발현되는 고차원적 인지 영역이기 때문에 스토리 자동 생성은 인공지능과 자연어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ion) 분야에서 매우 도전적인 연구 분야이다. 이에 본 논문은 컴퓨터의 스토리 창작의 기술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스토리 자동 생성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중요한 서사(narrative)이론을 기술하고 서사 이론에 근거한 스토리 저작 도구의 원리와 기능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현재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이용한 스토리 자동 생성의 구체적 연구 사례를 통해 과거의 저작 도구와의 차이점을 제시하고 컴퓨터의 스토리 창작이 갖는 철학적 쟁점을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소설부터 영화 시나리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스토리 자동 생성(story generation)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일기예보나 스포츠 기사와 같은 정보 전달을 위한 텍스트는 점점 로봇에 ...

      소설부터 영화 시나리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스토리 자동 생성(story generation)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일기예보나 스포츠 기사와 같은 정보 전달을 위한 텍스트는 점점 로봇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하지만 스토리는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성이 가장 잘 발현되는 고차원적 인지 영역이기 때문에 스토리 자동 생성은 인공지능과 자연어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ion) 분야에서 매우 도전적인 연구 분야이다. 이에 본 논문은 컴퓨터의 스토리 창작의 기술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스토리 자동 생성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중요한 서사(narrative)이론을 기술하고 서사 이론에 근거한 스토리 저작 도구의 원리와 기능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현재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이용한 스토리 자동 생성의 구체적 연구 사례를 통해 과거의 저작 도구와의 차이점을 제시하고 컴퓨터의 스토리 창작이 갖는 철학적 쟁점을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mputational narrative generation studies have got attention in various genres and media from novels to movie scripts. Recently, robots are replacing humans in writing informative and straightforward texts. However, generating narratives is still challenging since it requires high-level perceptions, including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is study aims to review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computational narrative generation. We first introduce narratology theories that are foundations of this research area. Then, we show the existing narrative generation tools, which are based on narratology theories. Also, there are generation tools based on deep learning techniques. We compare them with conventional methods and present their limitations. Finally, we suggest further research directions in the computational narrative generation.
      번역하기

      The computational narrative generation studies have got attention in various genres and media from novels to movie scripts. Recently, robots are replacing humans in writing informative and straightforward texts. However, generating narratives is still...

      The computational narrative generation studies have got attention in various genres and media from novels to movie scripts. Recently, robots are replacing humans in writing informative and straightforward texts. However, generating narratives is still challenging since it requires high-level perceptions, including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is study aims to review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computational narrative generation. We first introduce narratology theories that are foundations of this research area. Then, we show the existing narrative generation tools, which are based on narratology theories. Also, there are generation tools based on deep learning techniques. We compare them with conventional methods and present their limitations. Finally, we suggest further research directions in the computational narrative gene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지프 캠벨,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민음사 2018

      2 고찬수, "인공지능 콘텐츠 혁명" 한빛미디어 2018

      3 시모어 채트먼,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5

      4 파스칼 피크, "언어의 기원" 알마 2009

      5 유은순, "언어 유형에 따른 인물 분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4 (24): 49-55, 2019

      6 크리스토퍼 보글러,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비즈앤비즈 2013

      7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2

      8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출판사 2014

      9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김영사 2015

      10 블라디미르 프로프, "민담형태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1 조지프 캠벨,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민음사 2018

      2 고찬수, "인공지능 콘텐츠 혁명" 한빛미디어 2018

      3 시모어 채트먼,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5

      4 파스칼 피크, "언어의 기원" 알마 2009

      5 유은순, "언어 유형에 따른 인물 분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4 (24): 49-55, 2019

      6 크리스토퍼 보글러,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비즈앤비즈 2013

      7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2

      8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출판사 2014

      9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김영사 2015

      10 블라디미르 프로프, "민담형태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11 류철균, "디지털 서사 창작도구의 CBR 모델 비교 연구 : <민스트럴>과 <스토리헬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3 (13): 213-224, 2012

      12 류철균,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의 서사 알고리즘 연구-<드라마티카 프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38) : 117-152, 2008

      13 "https://sockrotation.com/2016/06/11/sunspring-a-short-film-written-by-an-al gorithm"

      14 K. Wang, "The machine poetry generator imitating Du Fu's styles" 261-265, 2018

      15 O. Sharp, "Sunspring"

      16 X. Wu, "New hitch haiku: An interactive renku poem composition supporting tool applied for sightseeing navigation system" Springer 191-196, 2000

      17 A. Zugarini, "Neural Poetry: Learning to Generate Poems Using Syllables" 313-325, 2019

      18 "MIT Media Lab"

      19 G. Freytag, "Freytag's Technique of Drama : an exposition of dramatic composition and art" Scholarly Press 1968

      20 "ETRI WEBZINE, Vol. 122"

      21 E. Malmi, "Dopelearning: A computational approach to rap lyrics generation" 195-204, 2016

      22 SOCKROTATION, "Creativity, technology &culture?"

      23 M. Roemmele, "Creative help: A story writing assistan" Springer 81-92, 2015

      24 M. O. Riedl, "Computational narrative intelligence: A human-centered goa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25 S. Colton, "Computational creativity: The final frontier?" 12 : 21-2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