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시각 정보의 청각 변환을 위한 시각장애인의 정보 선호도 분석 = Analysis of Preference Information on Visual-to-Audio Sensory Substitu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5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nsory substitution generally refers to converting or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damaged or deteriorated sense to other types of sensory modality based on brain plasticity. In this paper, we review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visual-to-auditory sensory substitution that could be classified into implicit and explicit method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reference for visual information that the visually impaired want to receiv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conducted with 166 visually impaired participants. We can conclude from the analysis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functional feature of the conventional methods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to solve technical issues that need to be overcome for sensory substitution devices to be used in real life in the future.
      번역하기

      Sensory substitution generally refers to converting or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damaged or deteriorated sense to other types of sensory modality based on brain plasticity. In this paper, we review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visual-to-auditory ...

      Sensory substitution generally refers to converting or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damaged or deteriorated sense to other types of sensory modality based on brain plasticity. In this paper, we review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visual-to-auditory sensory substitution that could be classified into implicit and explicit method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reference for visual information that the visually impaired want to receiv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conducted with 166 visually impaired participants. We can conclude from the analysis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functional feature of the conventional methods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to solve technical issues that need to be overcome for sensory substitution devices to be used in real lif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감각 치환 기술은 뇌 가소성에 기반하여 손상되거나 저하된 감각의 정보를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전환하여 전달함으로써 감각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각 치환 기술 중 가장 대표적인 시각-청각 변환기술을 묵시적 방법과 명시적 방법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166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시각-청각 변환기술을 통하여 전달받기 원하는 시각 정보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기존 기술 분석 및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기존 기술은 주로 모양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지만, 실제 시각장애인들은 보행을 위한 거리 및 공간 정보를 요구하여 현재 기술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감각 치환 장치들이 향후 실생활에 사용되기 위해 극복하여야 할 여러 가지 기술적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감각 치환 기술은 뇌 가소성에 기반하여 손상되거나 저하된 감각의 정보를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전환하여 전달함으로써 감각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각 치환 ...

      감각 치환 기술은 뇌 가소성에 기반하여 손상되거나 저하된 감각의 정보를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전환하여 전달함으로써 감각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각 치환 기술 중 가장 대표적인 시각-청각 변환기술을 묵시적 방법과 명시적 방법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166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시각-청각 변환기술을 통하여 전달받기 원하는 시각 정보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기존 기술 분석 및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기존 기술은 주로 모양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지만, 실제 시각장애인들은 보행을 위한 거리 및 공간 정보를 요구하여 현재 기술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감각 치환 장치들이 향후 실생활에 사용되기 위해 극복하여야 할 여러 가지 기술적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장애인현황" 2018

      2 배병덕,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4 (34): 95-121, 2018

      3 이수비, "동적 시간 왜곡(DTW)을 이용한 오토인코더 기반 청각치환 방법의 사용자학습 가능성 검증" 2019

      4 문경덕, "감각 치환 기술 동향" 34 (34): 65-75, 2019

      5 L. Reich, "Visual parsing can be taught quickly without visual experience during critical periods" 5 : 2015

      6 P. Bach-y-Rita, "Vision substitution by tactile image projection" 221 (221): 963-964, 1969

      7 S. Hanneton, "The Vibe: a versatile vision-to-audition sensory substitution device" 7 (7): 269-276, 2010

      8 S. Maidenbaum, "Sensory substitution: closing the gap between basic research and widespread practical visual rehabilitation" 41 : 3-15, 2014

      9 C. Poirier, "Pattern recognition using a device substituting audition for vision in blindfolded sighted subjects" 45 (45): 1108-1121, 2007

      10 A. Colenbrander, "Measuring vision and vision loss" 5 : 1-39, 2001

      1 보건복지부, "장애인현황" 2018

      2 배병덕,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4 (34): 95-121, 2018

      3 이수비, "동적 시간 왜곡(DTW)을 이용한 오토인코더 기반 청각치환 방법의 사용자학습 가능성 검증" 2019

      4 문경덕, "감각 치환 기술 동향" 34 (34): 65-75, 2019

      5 L. Reich, "Visual parsing can be taught quickly without visual experience during critical periods" 5 : 2015

      6 P. Bach-y-Rita, "Vision substitution by tactile image projection" 221 (221): 963-964, 1969

      7 S. Hanneton, "The Vibe: a versatile vision-to-audition sensory substitution device" 7 (7): 269-276, 2010

      8 S. Maidenbaum, "Sensory substitution: closing the gap between basic research and widespread practical visual rehabilitation" 41 : 3-15, 2014

      9 C. Poirier, "Pattern recognition using a device substituting audition for vision in blindfolded sighted subjects" 45 (45): 1108-1121, 2007

      10 A. Colenbrander, "Measuring vision and vision loss" 5 : 1-39, 2001

      11 A. Haigh, "How well do you see what you hear? The acuity of visual-to-auditory sensory substitution" 4 : 330-, 2013

      12 S. Abboud, "EyeMusic:Introudcing a “visual” colorful experience for the blind using auditory sensory substitution" 32 (32): 2014

      13 V. Tóth, "Autoencoding sensory substitution"

      14 P. B. Meijer, "An experimental system for auditory image representations" 39 (39): 112-121, 1992

      15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8년 직장 내 장애인인식개선교육"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