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에 대해 되짚어보고 새로운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는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의 메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2601
2024
Korean
메타버스 ; 베트남 ; 동남아시아 ; 디지털 기술 ; 웹 3.0 ; 혁신생태계 ; Metaverse ; Vietnam ; Southeast Asia ; Digital Technology ; Web 3.0 ; Innovation Ecosystem.
KCI등재
학술저널
3581-3592(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에 대해 되짚어보고 새로운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는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의 메타...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에 대해 되짚어보고 새로운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는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의 메타버스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메타버스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메타버스가 본격적인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남아시아 및 베트남 메타버스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국가에서 메타버스의 성장가능성을 기술수용모델(TAM)을 토대로 설명하였다. 신흥시장으로서의 베트남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averse, which has gained global prominence as a novel engine of growth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and to assess its current state in Southeast Asia, with a focus on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averse, which has gained global prominence as a novel engine of growth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and to assess its current state in Southeast Asia, with a focus on the burgeoning market of Vietnam. This study synthesizes several years of Metaverse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s, presenting diverse perspectives on the components of the Metaverse and systematically summarizing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Metaverse to become a fully established industry. This research analys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etaverse in Southeast Asia and Vietnam and explores the growth potential of the Metaverse in these regions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is work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on Vietnam's potential as an emerging market
플랫폼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플랫폼 사용자를 중심으로
고령층의 디지털 배움터 참여 영향 요인 연구 : 앤더슨 모형을 적용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