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행 학습장애 진단 실태 및 이론과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 그리고 판별 모델에 대한 제안 = Survey on the Current Learning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Exploring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y that are Applicable to the Theory and Practice Setting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5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과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장애 진단 실태를 파악하고, 학습장애 개념, 정의, 진단 기준 및 진단․평가에 관한 선행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전국 172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팀장 또는 진단․평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일인이 학습장애 진단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지 연구와 국내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에 관한 다음의 8개 이슈를 도출하고, 각 이슈별 논의를 통한 이론과 국내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였다: (1) 학습장애 정의의 구성 요소, (2) 학습장애 하위 유형에 해당하는 문제 영역, (3)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선별 과정에서 확인해야하는 사항, (4) 학습장애 적격성 판별을 할때 확인해야하는 사항, (5) 낮은 학업성취도의 조작적 정의, (6) 지능 검사 결과의 기준, (7)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의 기준, (8) 배제 요인에서의 사회, 경제, 문화적 문제의 중복성 인정.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과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장애 진단 실태를 파악하...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과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장애 진단 실태를 파악하고, 학습장애 개념, 정의, 진단 기준 및 진단․평가에 관한 선행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전국 172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팀장 또는 진단․평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일인이 학습장애 진단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지 연구와 국내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에 관한 다음의 8개 이슈를 도출하고, 각 이슈별 논의를 통한 이론과 국내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였다: (1) 학습장애 정의의 구성 요소, (2) 학습장애 하위 유형에 해당하는 문제 영역, (3)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선별 과정에서 확인해야하는 사항, (4) 학습장애 적격성 판별을 할때 확인해야하는 사항, (5) 낮은 학업성취도의 조작적 정의, (6) 지능 검사 결과의 기준, (7)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의 기준, (8) 배제 요인에서의 사회, 경제, 문화적 문제의 중복성 인정.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y that are applicable to the theory and practice setting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national-wid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y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with team leaders of 172 Supporting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Also, a review of Korean article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identify Korean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past 50 years. Eight issues on the definition and the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ies were drawn from the survey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 results and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y that are applicable to the theory and practice setting in Korea was proposed through the discussion of each of the following 8 issues: (a) the elements of learning disability, (b) the subtype of learning disability, (c) what to check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d) what to check for the classification decision, (3)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low achievement, (f) the decision criterion of the IQ test result, (g) the decision criterion of the achievement test result, (h) what or not to include or exclude of socially, economically, and/or culturally disadvantaged children from special education services. Results were summarized and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y that are applicable to the theory and practice setting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national-wid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learn...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y that are applicable to the theory and practice setting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national-wid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y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with team leaders of 172 Supporting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Also, a review of Korean article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identify Korean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past 50 years. Eight issues on the definition and the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ies were drawn from the survey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 results and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y that are applicable to the theory and practice setting in Korea was proposed through the discussion of each of the following 8 issues: (a) the elements of learning disability, (b) the subtype of learning disability, (c) what to check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d) what to check for the classification decision, (3)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low achievement, (f) the decision criterion of the IQ test result, (g) the decision criterion of the achievement test result, (h) what or not to include or exclude of socially, economically, and/or culturally disadvantaged children from special education services. Results were summarized and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일, "현장 교사가 지각하는 학습장애 정의 요소" 9 (9): 45-62, 2004

      2 김애화, "한국형 학습장애 진단 모형 탐색: 읽기 성취와 읽기 심리처리를 통한 읽기장애 진단 모형"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47-64, 2011

      3 김애화,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41-65, 2012

      4 홍성인, "한국아동의 음운인식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49-64, 2002

      5 김애화,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65-299, 2006

      6 교육과학기술부, "학습장애학생 선정 조건 및 절차"

      7 변홍규, "학습장애자의 교수를 위한 이론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30 : 1-23, 1988

      8 김윤옥, "학습장애의 학문적 정의와 초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학습장애 진단 실제 간의 괴리"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85-103, 2004

      9 오경자, "학습장애의 평가" 7 : 95-109, 1989

      10 김자경, "학습장애의 판별방법 및 절차에 관한 고찰" 36 (36): 101-126, 2001

      1 김동일, "현장 교사가 지각하는 학습장애 정의 요소" 9 (9): 45-62, 2004

      2 김애화, "한국형 학습장애 진단 모형 탐색: 읽기 성취와 읽기 심리처리를 통한 읽기장애 진단 모형"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47-64, 2011

      3 김애화,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41-65, 2012

      4 홍성인, "한국아동의 음운인식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49-64, 2002

      5 김애화,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65-299, 2006

      6 교육과학기술부, "학습장애학생 선정 조건 및 절차"

      7 변홍규, "학습장애자의 교수를 위한 이론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30 : 1-23, 1988

      8 김윤옥, "학습장애의 학문적 정의와 초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학습장애 진단 실제 간의 괴리"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85-103, 2004

      9 오경자, "학습장애의 평가" 7 : 95-109, 1989

      10 김자경, "학습장애의 판별방법 및 절차에 관한 고찰" 36 (36): 101-126, 2001

      11 허승준, "학습장애의 진단 및 평가 : 기존 모델의 문제점과 시사점" 2 (2): 31-53, 2005

      12 정대영, "학습장애의 정의와 진단적 평가기준의 법적 규정을 위한 대안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57-285, 2007

      13 정대영, "학습장애의 개념과 분류에 대한 고찰" 2 (2): 1-29, 2005

      14 정대영, "학습장애의 개념․분류․진단" 5 (5): 8-15, 1998

      15 서봉연, "학습장애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정보처리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7-18, 1996

      16 이상훈, "학습장애아의 정의와 사정에 대한 논의" 15 (15): 101-120, 1999

      17 박현숙, "학습장애아동의 학습유형에 따른 인지특성 분석 연구" 13 (13): 51-80, 1996

      18 변찬석, "학습장애아동의 진단평가 방안"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11-123, 2009

      19 박현숙, "학습장애아 판별방법간 비교 연구" 61 (61): 205-229, 1992

      20 김애화, "학습장애 하위유형별 출현율에 관한 연구"

      21 김윤옥, "학습장애 판별을 위한 중재반응모형(RTI)의 이상과 함정"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41-161, 2006

      22 이대식, "학습장애 진단과 판별 : 불일치 기준의 문제점과 교과별 기초학습기능의 역할" 17 (17): 19-41, 2001

      23 김애화, "학습장애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2

      24 이은림, "학습장애 연구에 관한 최근 동향 분석-국내 자료를 중심으로" 14 (14): 247-269, 1998

      25 한숙경,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 사례" 10 (10): 27-46, 1994

      26 김윤옥, "학습장애 선별검사를 통한 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습장애, 정신지체 학생 등에 대한 차이 검증"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51-73, 2008

      27 김애화,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에 관한 문헌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91-230, 2005

      28 손승현, "특수아동 대상 수학문장제 문제 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57-171, 2007

      29 금미숙,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조건 기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2

      30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대상자 개념 및 선별기준"

      31 김애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357-380, 2010

      32 김애화, "초등학생의 단어인지와 읽기유창성에 대한 예측변인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27-303, 2011

      33 김자경, "초등학교 학습장애 판별 준거에 관한 논의:불일치 준거와 대안적인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255-276, 2005

      34 김애화,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예비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8 (18): 66-75, 2013

      35 김애화, "초등학교 철자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철자 특성 비교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203-223, 2010

      36 정미란,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읽기이해력 예측 변인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37 배소영,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146-156, 2010

      38 나경은, "질적지표에 의거한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중재연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45-173, 2010

      39 홍성두,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연산장애 출현율 조사 방안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18, 2010

      40 홍성두,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잠재성장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93-413, 2011

      41 김혜영, "중재반응모형에 의한 수학학습장애학생의 선별 과정" 국립특수교육원 17 (17): 276-300, 2010

      42 김동일, "읽기장애위험군 조기선별을 위한 음운처리과정 변인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41-160, 2010

      43 이혜숙, "읽기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재인간 비교 연구" 4 : 1-24, 1999

      44 이일화, "읽기 저성취 초등학생의 언어 지식과 독해력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5 김애화, "읽기 성취 및 읽기 심리처리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경기도와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6 (16): 276-294, 2011

      46 민병근, "어린이의 정신건강 : 學習障害" 2 (2): 63-63, 1963

      47 신성웅, "쓰기 장애 환자와 정상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 특성 비교" 12 (12): 51-70, 2001

      48 김애화, "쓰기 구인에 관한 연구"

      49 이대식, "수학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 방법으로서의 내재성 처리과정(intrinsic processing) 결함 접근의 타당성과 전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217-249, 2007

      50 김용욱, "수학학습장애 진단 및 수학학습부진 중재를 위한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의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57-281, 2012

      51 이대식, "수학 기초학습부진학생 집단의 특징 연구" 교육연구소 8 (8): 93-130, 2007

      52 설은영,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습장애에 미치는 영향" 3 : 1-26, 1978

      53 이태수, "문장제 문제에 대한 일반아동과 저성취아동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중재반응 특성 비교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187-210, 2007

      54 유경, "단순언어장애아동,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장애아동, 일반아동의 쓰기지식특성"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17-236, 2008

      55 김동일, "국내 학습장애 연구의 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10 (10): 283-347, 2009

      56 안정애, "국내 읽기학습장애 연구의 판별방법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11-329, 2006

      57 정혜승, "국내 쓰기 학습장애아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69-191, 2008

      58 정은주, "국내 수학 학습장애 연구의 선별 및 진단 방법 분석: 2000-2010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15-133, 2010

      59 Vaughn, S., "Thoughts on Rethinking Response to Intervention With Secondary Students" 39 (39): 296-299, 2010

      60 Zirkel, P. A., "The Hale position for a"third-method"for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identification : A legal analysis" 36 (36): 93-96, 2013

      61 이대식, "RTI와 학습장애, 어떻게 봐야 하나?: 국내 학습장애 이론과 실제에의 시사점"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25-48, 2008

      62 오경자, "K-WISC Profile을 통한 학습장애아의 인지특성분석" 17 (17): 139-159, 1988

      63 Kirk, S. A.,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Houghton Mifflin 1962

      64 American-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DSM-V Development ASHA Comments"

      65 Hale, "Critical issues in response to intervention,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An expert white paper consensus" 33 : 223-236, 2010

      66 Colker, R., "Comments on proposed DSM-5 criteria for specific learning disorder from a legal medical/scientific perspectives" Yale Center for Dyslexia and Creativity

      67 교육과학기술부, "2012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