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광 정보원천에 따른 관광객의 참여 관광 활동 간 연관성 조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ourism activities participated in by tourists depending on tourism information sources: a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2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방문한 관광객이 활용한 관광 정보 원천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를 통해 발생하는 관광 활동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하다. 또한, 오프라인 관광정보원과 온라인 관광정보원 이용에 따른 관광활동 참여패턴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공개한 ‘2021 대구관광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고 연관성 규칙 분석을 하였다. 분석 방법은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 하나인 연관성 규칙 분석을 사용 하였다. 구체적으로, Apriori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향상도(lift) 등 3가지 파라미터(parameter)를 바탕으로 유용한 연관규칙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은 41개의 연관성 규칙이 나타났지만,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에서는 27개의 연관성 규칙이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과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의 연관성 규칙에서 1순위로 도출된 규칙의 관광 활동은 같게 나타났다. 셋째, 관광 활동 간을 매개하는 관광 활동 유형은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이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에 비해 더 많게 나타났다. 끝으로,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이 ‘강/바다/산/호수’ 관광 활동 유형을 참여할 확률이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광객이 참여한 관광 활동 간 연관성에 대한 이해는 대구 관광 활성화를 위한 홍보와 마케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방문한 관광객이 활용한 관광 정보 원천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를 통해 발생하는 관광 활동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하다. 또한, 오프라인 관광정보원과 온라인 관광...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방문한 관광객이 활용한 관광 정보 원천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를 통해 발생하는 관광 활동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하다. 또한, 오프라인 관광정보원과 온라인 관광정보원 이용에 따른 관광활동 참여패턴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공개한 ‘2021 대구관광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고 연관성 규칙 분석을 하였다. 분석 방법은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 하나인 연관성 규칙 분석을 사용 하였다. 구체적으로, Apriori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향상도(lift) 등 3가지 파라미터(parameter)를 바탕으로 유용한 연관규칙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은 41개의 연관성 규칙이 나타났지만,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에서는 27개의 연관성 규칙이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과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의 연관성 규칙에서 1순위로 도출된 규칙의 관광 활동은 같게 나타났다. 셋째, 관광 활동 간을 매개하는 관광 활동 유형은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이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에 비해 더 많게 나타났다. 끝으로,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이 ‘강/바다/산/호수’ 관광 활동 유형을 참여할 확률이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광객이 참여한 관광 활동 간 연관성에 대한 이해는 대구 관광 활성화를 위한 홍보와 마케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득희 ; 이계희 ; 김태구, "이원모드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정보원천과 관광객들의 다(多) 목적지 여행행동 간의 관계 조사 제주도 지역을 사례로" 한국호텔관광학회 21 (21): 36-48, 2019

      2 아이즈매거진, "이영자가 추천하는 맛집리스트 2021ver"

      3 이유안 ; 김인신, "외래 관광객의 관광 주목적별 관광지 선택 연관성 규칙 분석: 2013년 외래 관광객의 휴가․레저 및 비즈니스 집단별 비교 연구" 관광경영학회 20 (20): 623-642, 2016

      4 장림 ; 윤희정, "온라인 관광정보의 내용 및 텍스트 네트워크(제주 공식 웹사이트와 중국 개인블로그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9-30, 2018

      5 구철모 ; 이선영 ; 김종철 ; 정남호, "온·오프라인 정보원천이 전시·컨벤션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감정적 관여의 매개효과" 한국지식경영학회 16 (16): 47-66, 2015

      6 김홍범 ; 심영석, "연관규칙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관광지 이미지 빅데이터 분석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57-76, 2018

      7 박현정 ; 박득희, "액티브 시니어 관광객의 관광활동 참여 행동 조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호텔관광학회 25 (25): 95-107, 2023

      8 하유리 ; 김경미 ; 정규엽, "소셜미디어 관광정보특성이 농촌관광 선택속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145-164, 2020

      9 박득희 ; 김태구 ; 이계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외래 개별관광객의 다(多) 관광지 관광행동에 대한 이해: 경기도 관광지를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201-216, 2016

      10 한주형,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 개별자유여행객(FIT)의 다관광지 방문패턴: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첫방문객과 재방문객 비교"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387-407, 2020

      1 박득희 ; 이계희 ; 김태구, "이원모드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정보원천과 관광객들의 다(多) 목적지 여행행동 간의 관계 조사 제주도 지역을 사례로" 한국호텔관광학회 21 (21): 36-48, 2019

      2 아이즈매거진, "이영자가 추천하는 맛집리스트 2021ver"

      3 이유안 ; 김인신, "외래 관광객의 관광 주목적별 관광지 선택 연관성 규칙 분석: 2013년 외래 관광객의 휴가․레저 및 비즈니스 집단별 비교 연구" 관광경영학회 20 (20): 623-642, 2016

      4 장림 ; 윤희정, "온라인 관광정보의 내용 및 텍스트 네트워크(제주 공식 웹사이트와 중국 개인블로그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9-30, 2018

      5 구철모 ; 이선영 ; 김종철 ; 정남호, "온·오프라인 정보원천이 전시·컨벤션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감정적 관여의 매개효과" 한국지식경영학회 16 (16): 47-66, 2015

      6 김홍범 ; 심영석, "연관규칙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관광지 이미지 빅데이터 분석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57-76, 2018

      7 박현정 ; 박득희, "액티브 시니어 관광객의 관광활동 참여 행동 조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호텔관광학회 25 (25): 95-107, 2023

      8 하유리 ; 김경미 ; 정규엽, "소셜미디어 관광정보특성이 농촌관광 선택속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145-164, 2020

      9 박득희 ; 김태구 ; 이계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외래 개별관광객의 다(多) 관광지 관광행동에 대한 이해: 경기도 관광지를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201-216, 2016

      10 한주형,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 개별자유여행객(FIT)의 다관광지 방문패턴: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첫방문객과 재방문객 비교"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387-407, 2020

      11 강상훈 ; 박득희,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광정보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 비교: 인천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을 사례로" (재) 인천연구원 (15) : 229-256, 2019

      12 박득희 ; 윤선미,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 비교 연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한국호텔관광학회 25 (25): 47-58, 2023

      13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데이터 분석 전문가가이드"

      14 전승 ; 김대관, "국내여행객의 온라인 관광정보원천별 관광정보 탐색 유형에 관한 연구 : 관광행동 단계별 차이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비즈니스이벤트컨벤션학회 13 (13): 65-84, 2017

      15 최동희, "관광정보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목적과 관광정보원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167-182, 2017

      16 정희정 ; 양성병 ; 정남호, "관광객의 정보탐색행동이 관광경험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성공모형과 감정일치가설 관점"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1 (21): 43-56, 2021

      17 박득희 ; 강상훈, "경기도를 방문한 외래 관광객들의 관광활동 참여 패턴 비교 : 시간적 거리 관점에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3 (23): 305-326, 2021

      18 Kang, S., "Understanding tourist information search behaviour : the power and insight of social network analysis" 24 (24): 403-423, 2021

      19 David-Negre, T., "Udnerstanding tourists’ leisure expenditure at the destination : a social network analysis" 35 (35): 922-937, 2018

      20 Munar, A. M., "Trust and involvement in tourism social media and web-based travel information sources" 13 (13): 1-19, 2013

      21 Matikiti-Manyevere, R., "The role of social media sites in trip planning and destination decision-making processes" 8 (8): 1-10, 2019

      22 Agrawal, R., "Fast discovery of association rules" 12 (12): 307-328, 1996

      23 Lee, I., "Exploration of geo-tagged photos through data mining approaches" 41 (41): 397-405, 2014

      24 Lee, H., "Do online information sources really make tourists visit more diverse places? based on the social networking analysis" 56 (56): 1376-1390, 2019

      25 Pitchayadejanant, K., "Data mining approach for arranging and clustering the agro-tourism activities in orchard" 39 (39): 407-413, 2018

      26 Park, D., "Comparing tourism activity patterns influenced by a tourism information source : a case of the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15 (15): 3763-, 2023

      27 Talpur, A., "A study of tourist sequential activity pattern through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LBSN)"

      28 Fodness, D., "A model of tourist information search behavior" 37 (37): 220-230, 1999

      29 Mingming Cheng, "A Sequential Pattern Mining Approach to Tourist Movement: The Case of a Mega Event" SAGE Publications 62 (62): 1237-1256, 2022

      30 대구통계, "2021 대구관광 실태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