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사의 향방에 따른 사육장 바닥면의 조건이 비육말기 거세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en Floor Condition Depending upon Housing Ori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Finishing Hanwoo Ste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51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사의 향방에 의한 사육장 바닥면의 조건이 육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체중 570kg 내외의 거세한우 16두를 남, 북향 톱밥 자리깃 사육장에 각 8두씩 임의배치하고, 16주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후 증체율, 사료효율 및 도축성적을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광성이 양호한 남향 사육장의 바닥면은 시험기간 중 표면의 건조 상태가 좋았으나 햇볕의 효과가 적은 북향 사육장은 결빙기 이전까지 다습하고 불규칙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다가 결빙기에는 표면이 심하게 돌출 된 상태로 결빙되어 비육우의 휴식과 거동에 지장을 주었다. 남향 사육장과 북향 사육장에 수용된 거세우의 두당 일 평균 사료섭취량은 각각 10.39kg 및 10.32kg으로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일당증체량은 각각 0.75kg과 0.64kg으로 나타나 표면 상태가 불량한 북향사육장이 14.3% 적었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각각 13.91 및 16.12로서 15.9%가 증가하였다(p<0.05). 또한 증체당 TDN 섭취량(TDN/gain)은 각각 11.47 및 13.25로 나타나 사료이용효율은 15.5%가량 저하되었다. 한편, 남쪽과 북쪽 사육장에서 사육된 거세우간의 출하체중, 도체중량, 도체율, 육량등급 및 육질의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육장의 위치로 인하여 바닥표면의 상태가 불량한 조건의 깔짚 축적식 우사에서 비육말기 거세우를 사육할 경우, 활동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와 휴식 시 접촉면을 통한 전도열의 손실요인이 발생하여 증체율 및 사료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육우사육에서 축사의 방향 및 지붕자재 선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사의 향방에 의한 사육장 바닥면의 조건이 육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체중 570kg 내외의 거세한우 16두를 남, 북향 톱밥 자리깃 사육장에 각 8두씩 임의배치...

      본 연구는 우사의 향방에 의한 사육장 바닥면의 조건이 육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체중 570kg 내외의 거세한우 16두를 남, 북향 톱밥 자리깃 사육장에 각 8두씩 임의배치하고, 16주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후 증체율, 사료효율 및 도축성적을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광성이 양호한 남향 사육장의 바닥면은 시험기간 중 표면의 건조 상태가 좋았으나 햇볕의 효과가 적은 북향 사육장은 결빙기 이전까지 다습하고 불규칙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다가 결빙기에는 표면이 심하게 돌출 된 상태로 결빙되어 비육우의 휴식과 거동에 지장을 주었다. 남향 사육장과 북향 사육장에 수용된 거세우의 두당 일 평균 사료섭취량은 각각 10.39kg 및 10.32kg으로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일당증체량은 각각 0.75kg과 0.64kg으로 나타나 표면 상태가 불량한 북향사육장이 14.3% 적었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각각 13.91 및 16.12로서 15.9%가 증가하였다(p<0.05). 또한 증체당 TDN 섭취량(TDN/gain)은 각각 11.47 및 13.25로 나타나 사료이용효율은 15.5%가량 저하되었다. 한편, 남쪽과 북쪽 사육장에서 사육된 거세우간의 출하체중, 도체중량, 도체율, 육량등급 및 육질의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육장의 위치로 인하여 바닥표면의 상태가 불량한 조건의 깔짚 축적식 우사에서 비육말기 거세우를 사육할 경우, 활동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와 휴식 시 접촉면을 통한 전도열의 손실요인이 발생하여 증체율 및 사료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육우사육에서 축사의 방향 및 지붕자재 선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oor condition on the fattening performance of cattle, sixteen finishing Hanwoo steers of weighting 570kg were fed for 16 weeks to slaughter on two types of sawdust bedding pen oriented to the south(SP) and the north(NP) then obtained following results. The floor condition of SP roofed by transparent material was dry and flat during overall experimental period, whereas, that of NP roofed by solid slate was muddy and rough even in summer and fall, and then frozen in winter period resulted in interfering with the locomotion and resting behavior of steers. Average daily dry matter intake of steers was not different between tow treatments, however, the average daily gain of steers in NP and SP was 0.64kg and 0.75kg, respectively, meaning that gained 14.3% less for the NP group(p<0.05), accordingly, feed requirement(feed/gain) and TDN/gain increased by 15.9% and 15.5%,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laughter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meat yield index and meat quality traits between two treat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poor floor condition of feeding pen could decrease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cattle by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for locomotion and conductive energy loss while resting on the floor surface.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housing orientation of cattle shed and the selection of roof material are important factors in beef cattle production.
      번역하기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oor condition on the fattening performance of cattle, sixteen finishing Hanwoo steers of weighting 570kg were fed for 16 weeks to slaughter on two types of sawdust bedding pen oriented to the south(SP) and the 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oor condition on the fattening performance of cattle, sixteen finishing Hanwoo steers of weighting 570kg were fed for 16 weeks to slaughter on two types of sawdust bedding pen oriented to the south(SP) and the north(NP) then obtained following results. The floor condition of SP roofed by transparent material was dry and flat during overall experimental period, whereas, that of NP roofed by solid slate was muddy and rough even in summer and fall, and then frozen in winter period resulted in interfering with the locomotion and resting behavior of steers. Average daily dry matter intake of steers was not different between tow treatments, however, the average daily gain of steers in NP and SP was 0.64kg and 0.75kg, respectively, meaning that gained 14.3% less for the NP group(p<0.05), accordingly, feed requirement(feed/gain) and TDN/gain increased by 15.9% and 15.5%,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laughter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meat yield index and meat quality traits between two treat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poor floor condition of feeding pen could decrease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cattle by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for locomotion and conductive energy loss while resting on the floor surface.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housing orientation of cattle shed and the selection of roof material are important factors in beef cattle produc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