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영근, "「현대국어의 서법체계에 대한 연구」-선어말어미의 것을 중심으로-" 국어연구회 15 : 143-224, 1965
2 유창돈 (劉昌惇),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64
3 고영근, "형태소의 분석 한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 : 29-35, 1978
4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주해" 역락 2019
5 고영근, "한국어와 언어 유형론" 월인 2018
6 김민국, "한국어 주어의 격 표지 연구" 태학사 2020
7 고영근,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집문당 1995
8 고영근,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집문당 2011
9 김창섭, "조사 ‘이서’에 대하여" 국어학회 (58) : 3-27, 2010
10 고영근, "이숭녕박사송수기념논문집" 을유문화사 1968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서법체계에 대한 연구」-선어말어미의 것을 중심으로-" 국어연구회 15 : 143-224, 1965
2 유창돈 (劉昌惇),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64
3 고영근, "형태소의 분석 한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 : 29-35, 1978
4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주해" 역락 2019
5 고영근, "한국어와 언어 유형론" 월인 2018
6 김민국, "한국어 주어의 격 표지 연구" 태학사 2020
7 고영근,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집문당 1995
8 고영근,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집문당 2011
9 김창섭, "조사 ‘이서’에 대하여" 국어학회 (58) : 3-27, 2010
10 고영근, "이숭녕박사송수기념논문집" 을유문화사 1968
11 고영근, "이숭녕 현대국어학의 개척자" 태학사 591-616, 2008
12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37
13 고영근,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집문당 2018
14 Ramstedt, G. J.,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제5책" 1939
15 안명철, "보조조사 ‘-서’의 의미" 국어학회 14 : 478-506, 1985
16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7 황화상, "‘이서’의 문법적 기능과 문법 범주" 배달말학회 (44) : 1-27, 2009
18 김민국, "'-이서'의 분포와 문법범주" 형태론 11 (11): 335-35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