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외 캡슐담배 현황조사 = Research on Domestic and Foreign Click Cigaret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5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The rate of use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has rapidly increased worldwide, and it is a major concern in tobacco regulations since it has been perceived as a gateway product to initiate smoking, especially for new smokers such as teenagers, women, and young adults. So far, no independ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except the report of the foreign regulations on flavor capsule cigarettes. Therefore, we aim to determine the national distribution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to understand consumers‘ perceptions, to propose policy regulating flavor capsule cigarettes in this study.
      ○ A focus group interview in which a group of 41 people including male and female young adult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sked about their smoking behaviors and perceptions. Through the interview,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moking initiation with flavor capsule cigarettes by current smokers and non-smokers as well a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product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such a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products that can affect the use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The investigation can provide insights for further quanti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consumers and purchasing behaviors.
      ○ Sinc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does not maintain the list of flavor capsules cigarettes that are sold in the current market, we could not get the official documents. The information is not managed based on the product brands, and official data regarding sales volume was not available, either. Thus, we collected and compared the data from the price reports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distribution lists of retail stores, the websites of tobacco companies, and also news articles for newly marketed products. We made a draft list with the data, and confirmed with the customers service centers of each tobacco company.
      ○ As of April 2016, a total of 32 flavor capsule cigarette products are being sold in the current market. Since March 2015, 6 products were discontinued, and 6 products are newly released. Most of the new products were flavor capsule cigarettes, and it is inferred that the turnover rate is high. The 50% of the current products are manufactured from KT&G. According to the sales document from KT&G published in press, KT&G gained 8.41% in market share and sold a total of 4.686 billion cigarettes in 2014. Almost all products have 20 cigarettes per single pack, and each cigarette contains one capsule. Unusually, a certain product from A company has 5 different types of capsules, and each cigarette randomly contains one of five capsules. For another product from B company, each package contains 15 cigarettes with menthol capsules embedded in the filter and another 5 cigarettes with double capsules. Price range is from KRW 4100-4700.
      ○ With regard to approximately 30 cigarette brands with capsules marketed in South Korea, we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ingredients in capsul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enthol. Menthol, being used the most among the priority substance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including specificity,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tation, and reproducibility were evaluated. The most of the substances from qualitative analysis are able to be used as flavoring substances.
      ○ The United States, Canada, Germany, France, Turkey, Australia, Brazil, Chile and Ethiopia have controlled the use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employing various approaches such as ingredient controls, distribution regulations, display regulations and disclosure of information in that flavor capsule cigarettes that encourage smoking initiation among adolescents and wome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Article 9 advises to regulate flavoring substances which affect the attractiveness of cigarette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smoking and user dependency. On the contrary, South Korea has not implemented any regulations except the restriction on display of flavoring contents, and make packages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more attractive to young adults.
      ○ There needs to be comprehensive review for the FCTC guidelines, examples of other countries, and the attractiveness, hazards, toxicity, and nationwide trends in use of flavoring substances which would render strong evidence for the introduction of flavoring regulations on domestically manufactured and imported tobacco products. Very little is known about flavor capsule cigarettes which are threatening public health.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expected sales, user characteristics, process of smoking initiation,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the attractiveness of new and existing products, short-term and long-term dependency, and risk assessment methods and results need to be further investigated.
      번역하기

      ○ The rate of use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has rapidly increased worldwide, and it is a major concern in tobacco regulations since it has been perceived as a gateway product to initiate smoking, especially for new smokers such as teenagers, wome...

      ○ The rate of use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has rapidly increased worldwide, and it is a major concern in tobacco regulations since it has been perceived as a gateway product to initiate smoking, especially for new smokers such as teenagers, women, and young adults. So far, no independ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except the report of the foreign regulations on flavor capsule cigarettes. Therefore, we aim to determine the national distribution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to understand consumers‘ perceptions, to propose policy regulating flavor capsule cigarettes in this study.
      ○ A focus group interview in which a group of 41 people including male and female young adult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sked about their smoking behaviors and perceptions. Through the interview,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moking initiation with flavor capsule cigarettes by current smokers and non-smokers as well a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product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such a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products that can affect the use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The investigation can provide insights for further quanti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consumers and purchasing behaviors.
      ○ Sinc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does not maintain the list of flavor capsules cigarettes that are sold in the current market, we could not get the official documents. The information is not managed based on the product brands, and official data regarding sales volume was not available, either. Thus, we collected and compared the data from the price reports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distribution lists of retail stores, the websites of tobacco companies, and also news articles for newly marketed products. We made a draft list with the data, and confirmed with the customers service centers of each tobacco company.
      ○ As of April 2016, a total of 32 flavor capsule cigarette products are being sold in the current market. Since March 2015, 6 products were discontinued, and 6 products are newly released. Most of the new products were flavor capsule cigarettes, and it is inferred that the turnover rate is high. The 50% of the current products are manufactured from KT&G. According to the sales document from KT&G published in press, KT&G gained 8.41% in market share and sold a total of 4.686 billion cigarettes in 2014. Almost all products have 20 cigarettes per single pack, and each cigarette contains one capsule. Unusually, a certain product from A company has 5 different types of capsules, and each cigarette randomly contains one of five capsules. For another product from B company, each package contains 15 cigarettes with menthol capsules embedded in the filter and another 5 cigarettes with double capsules. Price range is from KRW 4100-4700.
      ○ With regard to approximately 30 cigarette brands with capsules marketed in South Korea, we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ingredients in capsul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enthol. Menthol, being used the most among the priority substance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including specificity,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tation, and reproducibility were evaluated. The most of the substances from qualitative analysis are able to be used as flavoring substances.
      ○ The United States, Canada, Germany, France, Turkey, Australia, Brazil, Chile and Ethiopia have controlled the use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employing various approaches such as ingredient controls, distribution regulations, display regulations and disclosure of information in that flavor capsule cigarettes that encourage smoking initiation among adolescents and wome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Article 9 advises to regulate flavoring substances which affect the attractiveness of cigarette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smoking and user dependency. On the contrary, South Korea has not implemented any regulations except the restriction on display of flavoring contents, and make packages of flavor capsule cigarettes more attractive to young adults.
      ○ There needs to be comprehensive review for the FCTC guidelines, examples of other countries, and the attractiveness, hazards, toxicity, and nationwide trends in use of flavoring substances which would render strong evidence for the introduction of flavoring regulations on domestically manufactured and imported tobacco products. Very little is known about flavor capsule cigarettes which are threatening public health.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expected sales, user characteristics, process of smoking initiation,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the attractiveness of new and existing products, short-term and long-term dependency, and risk assessment methods and results need to be further investig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 캡슐담배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주로 청소년, 여성, 젊은 성인층 등 신규흡연자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어 담배 규제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되고 있음. 현재까지 국내에는 캡슐담배 해외 규제현황 보고 외에 집중 연구가 없었으며, 이 연구에서 최초로 국내 유통 현황부터 사용자 인식, 캡슐담배 규제 관련 정책 제안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폭넓게 연구를 진행하였음.
      ○ 수도권 지역 만 19세~35세 젊은 성인 남녀를 4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사용 습관 및 인식을 살펴봄. 기존 흡연자, 기존 비흡연자들이 캡슐 담배를 흡연하게 되는 과정과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 환경적 요인, 제품적 요소, 제품에 대한 개인의 지식이나 태도를 알아 보았음. 이 조사는 향후 캡슐담배 사용자 인식 및 구매 행동 관련 양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함.
      ○ 가격신고를 받는 기획재정부에서 캡슐담배 목록을 별도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공식적인 캡슐담배 유통품 목록을 구할 수 없었음. 판매량 정보 역시 정부에서는 하위브랜드별로 관리하고 있지 않아 공식자료는 구할 수 없는 상황임. 이에 기획재정부 담배가격 신고현황 및 소매점유통 담배품목, 담배회사 홈페이지, 신제품 발매기사 등을 수집, 비교하여 캡슐담배 목록(안)을 작성하고 담배회사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캡슐담배 유통품 목록을 조사함.
      ○ 2016년 4월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캡슐담배는 32종이며 2015년 3월에 비해 6종이 단종되고 6종이 새롭게 출시됨. 신제품이 주로 캡슐담배로 집중된 것을 알 수 있고, 턴오버가 빠르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음. 국내 유통 캡슐담배 중 품목 수 기준으로 KT&G가 50% 정도를 차지함. 언론에 공개된 KT&G 판매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KT&G 캡슐담배의 시장 점유율은 8.41%, 판매량은 46억 8천 6백만 개비임. 대부분 한 개비에 1개의 동일한 캡슐이 든 캡슐담배 20개비가 한 갑에 담겨 판매됨. A사의 특정 제품은 한 개비에 1개의 캡슐이 들었지만, 각기 다른 5개의 캡슐을 포함한 5종의 캡슐담배 20개비가 한 갑 안에 들어서 판매됨. B사의 특정 제품은 한 개비에 2개의 다른 캡슐이 든 담배와 한 개비에 1개의 캡슐이 든 담배가 한 갑안에 혼합되어 있음. 포장은 모두 한 갑에 20개비이며, 가격은 최저 4,100원부터 최고 4,700원 범위임.
      ○ 소매점의 담뱃진열대에 있는 담배제품 중 캡슐담배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과 계산대 근처의 광고 중 캡슐담배가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하였음.
      ○ 시중에서 판매중인 캡슐담배 제품 31종을 대상으로 캡슐 내 성분 정성 및 멘톨 정량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성분이 담배의 맛과 향을 내기 위한 향료로서 사용되는 물질로 나타났음. 정성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멘톨 성분에 대한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재현성 등을 통해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음.
      ○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터키, 호주, 브라질, 칠레, 에티오피아 등 해외에서는 청소년, 여성 등의 흡연 시작을 조장한다는 배경에서 성분 규제, 유통 규제, 진열 규제, 정보 공개 등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캡슐담배를 규제하고 있음. WHO FCTC 제9조에서는 담배 사용의 만연과 사용자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담배제품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향성분 규제를 권고함.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가향성분 함유를 제한하는 규제가 유일하며, 우리나라 캡슐담배 패키지는 젊은 성인들에게 매력을 발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캡슐담배를 포함한 가향담배 규제를 위해서는 WHO FCTC 권고 및 해외 사례, 현재까지 밝혀진 가향성분의 매력성뿐만 아니라 유해성, 독성 자료, 국내 사용 현황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해야 함. 그러나 새로운 흡연자를 유인하는 등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캡슐담배에 대해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이 사실임. 이 연구는 초기 기초 연구로서, 국내 제조 및 수입 담배제품을 대상으로 가향제 규제 도입에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음. 향후 판매량, 사용자 특성, 신규 사용 경로, 소비자 인식 및 태도, 신제품 및 기존 담배의 매력도, 장단기 중독성, 유해성 평가법 및 결과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
      번역하기

      ○ 캡슐담배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주로 청소년, 여성, 젊은 성인층 등 신규흡연자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어 담배 규제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되고 있음. 현재까지 국내에...

      ○ 캡슐담배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주로 청소년, 여성, 젊은 성인층 등 신규흡연자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어 담배 규제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되고 있음. 현재까지 국내에는 캡슐담배 해외 규제현황 보고 외에 집중 연구가 없었으며, 이 연구에서 최초로 국내 유통 현황부터 사용자 인식, 캡슐담배 규제 관련 정책 제안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폭넓게 연구를 진행하였음.
      ○ 수도권 지역 만 19세~35세 젊은 성인 남녀를 4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사용 습관 및 인식을 살펴봄. 기존 흡연자, 기존 비흡연자들이 캡슐 담배를 흡연하게 되는 과정과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 환경적 요인, 제품적 요소, 제품에 대한 개인의 지식이나 태도를 알아 보았음. 이 조사는 향후 캡슐담배 사용자 인식 및 구매 행동 관련 양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함.
      ○ 가격신고를 받는 기획재정부에서 캡슐담배 목록을 별도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공식적인 캡슐담배 유통품 목록을 구할 수 없었음. 판매량 정보 역시 정부에서는 하위브랜드별로 관리하고 있지 않아 공식자료는 구할 수 없는 상황임. 이에 기획재정부 담배가격 신고현황 및 소매점유통 담배품목, 담배회사 홈페이지, 신제품 발매기사 등을 수집, 비교하여 캡슐담배 목록(안)을 작성하고 담배회사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캡슐담배 유통품 목록을 조사함.
      ○ 2016년 4월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캡슐담배는 32종이며 2015년 3월에 비해 6종이 단종되고 6종이 새롭게 출시됨. 신제품이 주로 캡슐담배로 집중된 것을 알 수 있고, 턴오버가 빠르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음. 국내 유통 캡슐담배 중 품목 수 기준으로 KT&G가 50% 정도를 차지함. 언론에 공개된 KT&G 판매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KT&G 캡슐담배의 시장 점유율은 8.41%, 판매량은 46억 8천 6백만 개비임. 대부분 한 개비에 1개의 동일한 캡슐이 든 캡슐담배 20개비가 한 갑에 담겨 판매됨. A사의 특정 제품은 한 개비에 1개의 캡슐이 들었지만, 각기 다른 5개의 캡슐을 포함한 5종의 캡슐담배 20개비가 한 갑 안에 들어서 판매됨. B사의 특정 제품은 한 개비에 2개의 다른 캡슐이 든 담배와 한 개비에 1개의 캡슐이 든 담배가 한 갑안에 혼합되어 있음. 포장은 모두 한 갑에 20개비이며, 가격은 최저 4,100원부터 최고 4,700원 범위임.
      ○ 소매점의 담뱃진열대에 있는 담배제품 중 캡슐담배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과 계산대 근처의 광고 중 캡슐담배가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하였음.
      ○ 시중에서 판매중인 캡슐담배 제품 31종을 대상으로 캡슐 내 성분 정성 및 멘톨 정량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성분이 담배의 맛과 향을 내기 위한 향료로서 사용되는 물질로 나타났음. 정성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멘톨 성분에 대한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재현성 등을 통해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음.
      ○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터키, 호주, 브라질, 칠레, 에티오피아 등 해외에서는 청소년, 여성 등의 흡연 시작을 조장한다는 배경에서 성분 규제, 유통 규제, 진열 규제, 정보 공개 등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캡슐담배를 규제하고 있음. WHO FCTC 제9조에서는 담배 사용의 만연과 사용자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담배제품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향성분 규제를 권고함.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가향성분 함유를 제한하는 규제가 유일하며, 우리나라 캡슐담배 패키지는 젊은 성인들에게 매력을 발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캡슐담배를 포함한 가향담배 규제를 위해서는 WHO FCTC 권고 및 해외 사례, 현재까지 밝혀진 가향성분의 매력성뿐만 아니라 유해성, 독성 자료, 국내 사용 현황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해야 함. 그러나 새로운 흡연자를 유인하는 등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캡슐담배에 대해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이 사실임. 이 연구는 초기 기초 연구로서, 국내 제조 및 수입 담배제품을 대상으로 가향제 규제 도입에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음. 향후 판매량, 사용자 특성, 신규 사용 경로, 소비자 인식 및 태도, 신제품 및 기존 담배의 매력도, 장단기 중독성, 유해성 평가법 및 결과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