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계획개발된 단독주택지구의 주차문제에 대한 토지이용 원인 = 강릉 교동2택지개발사업지구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1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계획적으로 조성된 단독주택지구의 주차부족을 야기하는 근본적 원인이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 토지이용계획에 있음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계획적으로 조성된 단독주택지구의 주차부족을 야기하는 근본적 원인이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 토지이용계획에 있음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강릉시 교동2택지개발지구의 단독주택지구를 사례로 개발계획에 나타난 토지이용계획과 주차계획 등을 검토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토지이용현황과 주차실태를 조사하였다.
      단독주택지구의 주차문제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토지이용계획에 있는데, 이는 주차수요가 과소 추정되고 주차장 공급이 부족한 결과를 낳았다. 또한 개발 이후의 토지이용과 주차에 대한 관리가 소홀했다는 점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토지이용계획 수립 시점부터 향후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여 적절한 토지이용계획 및 주차장 확보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주차수요의 변화를 반영한 토지이용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problems of land-use plan which causes the lack of parking space and to study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The land-use plan and the parking plan of the Gyo-dong 2 land development project are examined and the land u...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problems of land-use plan which causes the lack of parking space and to study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The land-use plan and the parking plan of the Gyo-dong 2 land development project are examined and the land use and the parking conditions are surveyed.
      The major cause of parking problem is not to have planned land use realistically. Because of the non-realistic land use plan, the parking demands are underestimated and it has resulted in decreasing the supply of parking space. In addition, the land use and parking managements have been negligent since the land development. In order to improve the parking problem, the change of land use should be considered in land use plan. And actual land use and parking plans should be made and land use management which considers the change of parking demands should be practic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의 검토
      • Ⅲ. 교동2지구의 개발계획 및 현황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의 검토
      • Ⅲ. 교동2지구의 개발계획 및 현황
      • Ⅳ. 주차문제의 요인 및 개선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인, "택지개발지구내 점포겸용단독주택의 지구단위계획에 관한 연구 - 건축물의 규모와 허용용도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2 (22): 317-339, 2009

      2 곽재혁, "택지개발지구내 상업시설의 입지경향 및 활성화요인에 관한 연구" 22 (22): 403-406, 2002

      3 박몽섭,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의 물리적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5 (15): 43-52, 2004

      4 박동한,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21 (21): 763-766, 2001

      5 송선기,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용지내 상업용도 침투의 영향요소 분석: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34-47, 2010

      6 국토해양부,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

      7 안재락, "택지개발사업지구내 단독주택지의 개발실태와 거주환경평가" 8 (8): 47-70, 2000

      8 동재욱, "택지개발사업으로 조성된 단독주택단지내의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15 (15): 75-86, 1999

      9 정응호, "택지개발사업시행에 따른 토지 이용변화 고찰" 14 (14): 201-219, 2010

      10 윤해상, "택지개발 지구내 단독 주택의 건축적 특성 및 변용에 관한 연구" 16 (16): 83-90, 2000

      1 김영인, "택지개발지구내 점포겸용단독주택의 지구단위계획에 관한 연구 - 건축물의 규모와 허용용도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2 (22): 317-339, 2009

      2 곽재혁, "택지개발지구내 상업시설의 입지경향 및 활성화요인에 관한 연구" 22 (22): 403-406, 2002

      3 박몽섭,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의 물리적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5 (15): 43-52, 2004

      4 박동한,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21 (21): 763-766, 2001

      5 송선기,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용지내 상업용도 침투의 영향요소 분석: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34-47, 2010

      6 국토해양부,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

      7 안재락, "택지개발사업지구내 단독주택지의 개발실태와 거주환경평가" 8 (8): 47-70, 2000

      8 동재욱, "택지개발사업으로 조성된 단독주택단지내의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15 (15): 75-86, 1999

      9 정응호, "택지개발사업시행에 따른 토지 이용변화 고찰" 14 (14): 201-219, 2010

      10 윤해상, "택지개발 지구내 단독 주택의 건축적 특성 및 변용에 관한 연구" 16 (16): 83-90, 2000

      11 김종민, "주차장정비계획의 주차시설공급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고찰" 29 (29): 157-170, 1994

      12 배웅규, "주차장완화구역의 실태분석을 통한 지정기준 개선 및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183-192, 2011

      13 정기수, "주차장 운영방식에 따른 주차특성 분석" 13 (13): 5-13, 2010

      14 김상구, "주차관련 교통사고 특성 분석을 통한 주차문화 개선 방안" 대한토목학회 27 (27): 573-578, 2007

      15 황경수, "제주시 거주자우선주차제 문제해결 요소 탐색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7 (27): 97-106, 2009

      16 정헌영, "운전자의 주차장소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41-44, 1996

      17 최창의, "신시가지 조성이 도시인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강릉시 교동Ⅱ지구 택지개발사업을 사례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143-162, 2005

      18 김순관, "서울시 민자유치 주택가 공동주차장 건설사업의 타당성 조사분석" 2001

      19 권영인, "불법주차 단속지표 및 기준의 개발에 관한 연구-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24 (24): 31-36, 2004

      20 윤형관, "불법주차 규제정책에 관한 연구" (18) : 117-159, 2005

      21 김인, "부산광역시 주차행정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주차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불법주차 근절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7-28, 2007

      22 정성용, "민영주차장 활성화를 통한 대도시 불법주차 해소방안" 9 (9): 39-56, 1997

      23 한수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블록단위 주차시스템의 청주사례 연구" 30 (30): 51-57, 2011

      24 이영우, "도시별.용도지역별 주차특성 분석" 11 (11): 113-120, 2008

      25 박경원,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민간자원의 활용" 27 (27): 645-665, 1993

      26 김윤선, "도시 주거지 학교와 공원의 주차장 입체화 사례의 형태와 이용 특성 분석" 한국주거학회 22 (22): 1-12, 2011

      27 박인선, "단독주택용지의 이용실태와 효율적 이용방안" 4 (4): 15-31, 2006

      28 이술이, "공영주차장의 생산성 증진방안" 501-519, 2004

      29 신재훈, "건축물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18 (18): 369-376, 1998

      30 이유택, "건축도시관련법에 있어서의 주차장 상한 지역지정에 관한 연구" 18 (18): 331-336, 1998

      31 김호영, "거주지우선주차제의 사전.사후평가에 관한 연구" 19 (19): 571-578, 1999

      32 이재영, "개별건물기반 주차상한제 운영을 위한 적정주차대수 추정에 관한 수정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 (20): 257-268, 2010

      33 강릉시, "강릉교동2지구 택지개발사업 기본계획" 1994

      34 이숙준, "I. 택지개발지구내 주변 환경에 따른 단독주택지 경계부건축물 용도변화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7 (17): 141-14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