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의 정체성과 연구 방향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융합교육전공 대학원 과정의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99320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2019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2019
2019
한국어
375.4 판사항(6)
372.3 판사항(23)
충청북도
vii, 74 p. : 삽화, 초상 ; 26 cm
지도교수: 백성혜
권말부록: 교과융합수업 ; 면담을 위한 사전조사지(일반대학원용) ; 면담을 위한 사전조사지(교육대학원용)
참고문헌: p. 59-6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의 정체성과 연구 방향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융합교육전공 대학원 과정의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의 정체성과 연구 방향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융합교육전공 대학원 과정의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를 설계하였다. 즉, 연구자의 자기 이해로부터 나온 사고의 구조를 토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자들을 면담하기 위한 사전 조사를 하였으며, 심층인터뷰까지 내부자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를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융합교육 전공자들로 선정하고 면담을 위한 사전조사지 문항을 개발하였다. 면담을 위한 사전조사 문항은 단답형이 아닌 개방형 문항으로 작성하여 면담의 토대가 되는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을 위한 사전 조사 문항 개발과 검토는 융합교육 전공 교수 1인, 타 학과 학습연구년제 교사 1인에게 세 차례의 타당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문항은 2회의 예비 검사를 통해 2018년 8월15일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수집한 사전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면담을 위한 심화 질문을 위해 일반대학원 전공자와 교육대학원 전공자 각 2~4인 씩 심층인터뷰 대상자를 선정하여 2018년 10월 8일부터 심층인터뷰를 실행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심층인터뷰 참여대상자에게 전자메일 또는 SNS로 전송하여 연구자의 해석에 왜곡된 부분이 없는지 등에 대한 검토를 받아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원에 입학할 때 전공 선택을 하는 이유가 일반대학원 전공의 경우와 교육대학원 전공의 경우에 차이가 있었다.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급변하는 시대에 자신의 직업에 관련된 교육적 혁신을 위해 교육 기관인 대학원에서 도움을 얻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4차 산업혁명시대라는 주요관심사가 전공자들의 공통점이었고, 전문성, 지식, 역량 확장 및 콘텐츠 개발, 훈련, 연구, 능력 신장 등을 목적으로 입학하였다. 한편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모두 직업이 교사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자신의 수업에 도움을 받기 위해 대학원의 전공을 선택하였다. 특히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교과 내 교과 간 융합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각의 다양화 및 창의 융합 인재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하였다. 둘째 대학원 커리큘럼을 통해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현재 교육의 방향과 흐름, 각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하고 도전하는 교육 사례들을 접할 수 있고 이미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학문 간 융합교육 뿐 아니라 학문 내의 융합과 융합교육을 위한 교사와 학생들이 갖춰야할 기본 자질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한편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융합교육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교육이며, 교사들의 연구 역량으로 충분히 실천 가능한 것이고 자신의 전문성, 타 교과에 대한 이해 및 기초지식 함양의 필요성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신설 전공이므로 대학원에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의 제시, 연구 네트워크와 전임교수, 연계과정의 개설 등을 요구하였고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프로그램 개발, 사례 중심의 다양한 체험 수업, 타 교과와의 연계지도, 방법론 등을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 대학원 과정의 활성화 방법을 제언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