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포스터에서 나타나는 여성 도상 -1952년부터 1989년까지 포스터를 중심으로- = The Images of Women in North Korean Posters -focused on posters from 1952 to 198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71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52년부터 1989년까지의 북한 포스터 150장에 나타난 여성의 도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주의 체제라는 미명하에 설립된 북한 사회에서 여성의 이미지가 어떠한 유형...

      본 연구는 1952년부터 1989년까지의 북한 포스터 150장에 나타난 여성의 도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주의 체제라는 미명하에 설립된 북한 사회에서 여성의 이미지가 어떠한 유형으로 시각화 되었는지에 대하여 조형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네덜란드 레이든 대학(Leiden University)의 협조를 얻어 북한 포스터 컬렉터인 빌렘 반 데 비즐 (Willem van der Bijl) 컬렉션을 모 표본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는 도상의 유형을 크게 생산자형, 소비자형, 찬양/숭배형, 질서유도형, 화합주도형, 어머니형의 분류로 나누어 각각의 도상에 대한 시선 및 표정, 제스쳐, 소도구, 배경, 슬로건 등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시각 기제들이 모여 여성 도상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 포스터에 등장하는 여성 도상은 생산자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산자형을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여성 도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반면, 농업과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 도상이 생산자형 도상의 대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1989년 이전까지의 북한의 여성은 주로 농업과 산업의 생산력 증대를 위한 노동력으로 시각화되고, 도상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에 반하여 포스터 속 여성 도상 가운데 소비자형 도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아, 생산과 소비 모두를 강조하는 자본주의 사회와는 달리, 북한 사회는 기본적으로 생산력 증산에 집중하고 있는 사회임이 드러났다. 드물게 나타나는 소비자형 도상들은 적극적 소비를 하는 여성의 모습 대신, 국가와 사회를 위해 저금을 하는 모습들이 나타났는데, 이는 이 시기의 북한 여성들이 소비 주체로서의 위치를 획득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찬양/ 숭배형에서는 정면 자세와 시선 및 표정으로 인해 권위를 부여하였고, 어머니형에서는 모든 국가적 노동력의 근원이 어머니임을 암시하는 도상을 그려냄으로써, 북한 정부에서 바라보는 여성의 인식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북한의 여성 도상에 대한 시각적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넘어, 그동안 정치적 선전 도구로만 여겨온 북한 포스터를 디자인적 시각에서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관점의 틀을 마련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women are depicted on 150 pieces of North Korean posters published from 1952 to 1989. This study uses the formative way to analyze how female images are visualized under the North Korean region, which is built on the so...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women are depicted on 150 pieces of North Korean posters published from 1952 to 1989. This study uses the formative way to analyze how female images are visualized under the North Korean region, which is built on the socialist system. The subjects are borrowed from the Willem van der Bill Collection of North Korean posters with the support of the Leiden University in the Netherlands. The method first categorizes the activities the characters are engaged in - in terms of production, consumption, adoration, discipline and family-support. Then, by partitioning th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s of the characters and by interpreting surrounding background subjects and slogans phrases, I analyze how these parts are organized to form the female type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females in the posters are producers, mainly in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hat they seldomly serve in the service industry. This implies that during this time, women were regarded as laborers to amplify the productivity of the country. Contrary to a capitalistic system which balances supply and demand, North Korea pursues a supply-driven economy in which female consumers are difficult to find in the posters. In a few images, consumers are represented to emphasize thriftiness while lacking autonomous consumption; this was likely as females in their traditional society. Likewise, the women adhere to a straight, forward-looking stance, illustrating a respect to authority and an image of family-supporting motherhood. All these interpretations are linked to how the North Korean regime manipulate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women in the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육영수, "이미지와 슬로건으로 읽는 북한의 정치문화 - 포스터 분석을 중심으로, 1990-2000" 부산경남사학회 (86) : 131-158, 2013

      2 김효진,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9 (19): 1-35, 2015

      3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민음사 2015

      4 김효진, "북한인민의 사회문화사 :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2 (2): 2015

      5 이종석, "북한의 역사 2" 역사비평사 2011

      6 김동한, "북한의 사회문화"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한울아카데미 2006

      7 이구열, "북한미술 50년" 돌베개 2001

      8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 열화당 2013

      9 "네덜란드 레이든 대학교 디지털 컬렉션"

      10 "광복 70주년 기념 북한프로젝트"

      1 육영수, "이미지와 슬로건으로 읽는 북한의 정치문화 - 포스터 분석을 중심으로, 1990-2000" 부산경남사학회 (86) : 131-158, 2013

      2 김효진,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9 (19): 1-35, 2015

      3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민음사 2015

      4 김효진, "북한인민의 사회문화사 :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2 (2): 2015

      5 이종석, "북한의 역사 2" 역사비평사 2011

      6 김동한, "북한의 사회문화"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한울아카데미 2006

      7 이구열, "북한미술 50년" 돌베개 2001

      8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 열화당 2013

      9 "네덜란드 레이든 대학교 디지털 컬렉션"

      10 "광복 70주년 기념 북한프로젝트"

      11 "경향 신문"

      12 "http://khnews.kheraldm.com/view.php?ud=20170711000576&md=20170714003450_BL&kr=1"

      13 "The Korea Herald, 2017년 7월 11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