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정적 소비자 인식 제품의 광고 프레이밍 효과 = The Advertisement Framing Effects of Products Conceived by Consumers as Immor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광고 프레이밍의 효과에서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제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부정적 인식이 강한 대부업을 대상으로 광고소구 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에 따른 광고 효과를 파악하였다. 실험설계는 광고 소구유형(이성적 소구 vs.감성적 소구)과 메시지 프레이밍(부정적 프레이밍 vs. 긍정적 프레이밍)에 따른 집단 간2×2 팩토리얼 디자인(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이었다. 서울 소재 대학의 대학생 23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광고 소구유형(시각적)과 메시지 프레이밍(언어적)에 따라 총 4개의 실험집단(이성적/감성적 × 긍정적/부정적)이 무작위로 집단별 균등할당되었다. 종속 변인인 광고효과를 광고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대부업 광고태도는 감성적 소구가 이성적 소구보다, 긍정적 프레이밍 보다 부정적프레이밍에 대한 광고 태도점수가 높았다. 관여도를 고려하였을 때, 이성소구와 감성소구 모두 긍정 프레이밍보다 위기 위식을 불러일으키는 부정 프레이밍의 광고에 대한 소비자 평가가 높았다. 그러나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저관여집단의 경우 감성 소구유형의 광고에서 부정 프레이밍보다 긍정 프레이밍의 소비자 광고태도가 높았다. 관여도와 광고 소구유형, 소구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대부업의 경우, 광고 효과는 고관여 집단보다 저관여 집단에 있어 더 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구매의도는 어떠한 통계적 유의점도 발견할 수 없었다.
      번역하기

      광고 프레이밍의 효과에서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제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부정적 인식이 강한 대부업을 대상으로 광고소구 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에 ...

      광고 프레이밍의 효과에서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제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부정적 인식이 강한 대부업을 대상으로 광고소구 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에 따른 광고 효과를 파악하였다. 실험설계는 광고 소구유형(이성적 소구 vs.감성적 소구)과 메시지 프레이밍(부정적 프레이밍 vs. 긍정적 프레이밍)에 따른 집단 간2×2 팩토리얼 디자인(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이었다. 서울 소재 대학의 대학생 23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광고 소구유형(시각적)과 메시지 프레이밍(언어적)에 따라 총 4개의 실험집단(이성적/감성적 × 긍정적/부정적)이 무작위로 집단별 균등할당되었다. 종속 변인인 광고효과를 광고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대부업 광고태도는 감성적 소구가 이성적 소구보다, 긍정적 프레이밍 보다 부정적프레이밍에 대한 광고 태도점수가 높았다. 관여도를 고려하였을 때, 이성소구와 감성소구 모두 긍정 프레이밍보다 위기 위식을 불러일으키는 부정 프레이밍의 광고에 대한 소비자 평가가 높았다. 그러나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저관여집단의 경우 감성 소구유형의 광고에서 부정 프레이밍보다 긍정 프레이밍의 소비자 광고태도가 높았다. 관여도와 광고 소구유형, 소구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대부업의 경우, 광고 효과는 고관여 집단보다 저관여 집단에 있어 더 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구매의도는 어떠한 통계적 유의점도 발견할 수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of advertisement framing effects, very few have attempted see the influence of products conceived by consumers as immoral.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advertising effects of advertisement message types and message framing through manipulated advertisement for moneylending business which conceived by Korean as immoral. We conducted a survey on 230 college students to gather the data needed. And four printing advertisements by advertising selling type(reasonable and sensitive) and message framing(positive/negative) were evaluated by four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Finally,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were compared.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ssage types and framing. Emotional and negative message framing had more effect on advertising than rational and positive message fram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involvement, message types, and message framing on advertising were significant whereas the interaction effect of involvement, message types, and message framing on purchase intention were not significant. A key implication of this is that advertisement for product with bad consumers` perception should provide well-planned message types and framing to lead consumers` positive emotional reactions and make them purchase.
      번역하기

      Although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of advertisement framing effects, very few have attempted see the influence of products conceived by consumers as immoral.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advertising effects of adve...

      Although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of advertisement framing effects, very few have attempted see the influence of products conceived by consumers as immoral.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advertising effects of advertisement message types and message framing through manipulated advertisement for moneylending business which conceived by Korean as immoral. We conducted a survey on 230 college students to gather the data needed. And four printing advertisements by advertising selling type(reasonable and sensitive) and message framing(positive/negative) were evaluated by four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Finally,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were compared.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ssage types and framing. Emotional and negative message framing had more effect on advertising than rational and positive message fram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involvement, message types, and message framing on advertising were significant whereas the interaction effect of involvement, message types, and message framing on purchase intention were not significant. A key implication of this is that advertisement for product with bad consumers` perception should provide well-planned message types and framing to lead consumers` positive emotional reactions and make them purcha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휘, "희소성 메시지와 프레이밍 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183-204, 2007

      2 전홍식, "흡연 여부에 따른 담배회사의 메시지 유형별 금연광고가 광고태도, 금연의도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1 (21): 25-53, 2010

      3 이수범, "화장품 광고의 소구유형과 소비가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288-320, 2010

      4 방송통신위원회, "최근 3년간 케이블업체(OS)의 대부업 광고 매출 현황" 2009

      5 조형오, "자궁암 검진광고의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분석: 사전 건강신념과 메시지 프레이밍 기대수준의 조절 역할" 10 (10): 123-148, 1999

      6 이호배, "위협 소구 광고의 프레이밍 효과: 인지욕구와 관여도의 조절 역할" 11 (11): 109-133, 2000

      7 박희석, "여행사의 인터넷광고 반응과 광고태도,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 간의 관계" 79-94, 2001

      8 서문식, "신제품 사전예고 광고의 광고 효과 연구 - 소구, 혁신성, 출시시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0) : 5-39, 2011

      9 유붕노, "신광고론" 일조각 1992

      10 이학식, "소비자 행동" 법문사 2006

      1 김재휘, "희소성 메시지와 프레이밍 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183-204, 2007

      2 전홍식, "흡연 여부에 따른 담배회사의 메시지 유형별 금연광고가 광고태도, 금연의도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1 (21): 25-53, 2010

      3 이수범, "화장품 광고의 소구유형과 소비가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288-320, 2010

      4 방송통신위원회, "최근 3년간 케이블업체(OS)의 대부업 광고 매출 현황" 2009

      5 조형오, "자궁암 검진광고의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분석: 사전 건강신념과 메시지 프레이밍 기대수준의 조절 역할" 10 (10): 123-148, 1999

      6 이호배, "위협 소구 광고의 프레이밍 효과: 인지욕구와 관여도의 조절 역할" 11 (11): 109-133, 2000

      7 박희석, "여행사의 인터넷광고 반응과 광고태도,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 간의 관계" 79-94, 2001

      8 서문식, "신제품 사전예고 광고의 광고 효과 연구 - 소구, 혁신성, 출시시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0) : 5-39, 2011

      9 유붕노, "신광고론" 일조각 1992

      10 이학식, "소비자 행동" 법문사 2006

      11 안광호, "사회과학조사방법론 : SPSS를 활용" 학현사 2004

      12 전호성, "비교 광고 상황에서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Negativity Bias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0 (20): 115-145, 2005

      13 김경민, "메시지 프레이밍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품유형과 광고모델의 수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1 (11): 25-42, 2008

      14 서울 YMCA, "대학생 대부업체 인식 및 실태조사" 2009

      15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대부업에 대한 소비자의식조사" 296 (296): 11-14, 2008

      16 금융위원회,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보호 법률 시행령"

      17 김효성, "기능성화장품 광고의 광고소구유형별 광고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 제품유형별 소비자 반응조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18 조형오, "금연광고메시지가 대학생의 흡연태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특성과 메시지프레이밍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45 : 25-49, 1999

      19 조형오, "금연광고 메시지 유형의 효과 분석: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 방향의 매개역할" 11 (11): 133-156, 2000

      20 김완석, "광고태도가 상표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상표 친숙도의 영향" 34 : 31-49, 1997

      21 김형길, "광고소구 형태에 따른 소비자 이미지 변화연구" 5 (5): 39-62, 2000

      22 최진명, "광고 메시지의 목적 프레이밍: 경제적 및 심리적 혜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프레이밍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한국방송광고공사 76 (76): 119-141, 2007

      23 부경희, "공익광고 메시지의 귀인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 메시지 프레이밍 중개 요인들을 중심으로" 12 (12): 7-35, 2001

      24 趙炳亮, "廣告의 커뮤니케이션 構造와 意味作用에 관한 硏究" 漢陽大學校 大學院 1989

      25 Andreoni, J., "Warm-glow versus cold-prickle :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framing on cooperation in experiments" 1 : 1-21, 1995

      26 Mackenzie, S. B.,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5 : 532-539, 1983

      27 Maheswaran, D.,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and issue involvement" 27 : 361-367, 1990

      28 Burke, M. C., "The impact of feelings on ad-based affect and cognition" 22 : 69-83, 1989

      29 Petty, R. E.,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tion" 19 : 123-205, 1986

      30 Rothman, A. J.,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on Intentions to Perform Health Behaviors" 29 : 408-433, 1993

      31 Meyerowitz, B,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Breast Self-Examination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 52 (52): 500-510, 1987

      32 Moschis, G. P., "Point of View: Cigarette Advertising and Young Smokers" 29 : 51-60, 1989

      33 Homer, P. M. & Yoon, S. G., "Message framing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ad-based feelings, affect, and cognition" 21 : 19-34, 1992

      34 Zaichkowsky, J. L.,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12 : 341-352, 1985

      35 Hill, R. P., "Measuring emotional responses to advertising" 13 : 164-169, 1986

      36 Levin, I. P., "How consumers are affected by the framing of attribute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consuming the product" 15 : 374-378, 1988

      37 Levin, I. P., "How consumer are affected by the framing of attribute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consuming the product" 15 : 374-378, 1988

      38 Gaeth, G. J., "Framing of attribute information in product description" 17 : 531-534, 1990

      39 Smith, G. E., "Framing in advertising and moderating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36 (36): 49-64, 1996

      40 Shiv, B., "Factors Affecting the Impact of Negatively and Positively Framed Ad Messages" 24 : 285-294, 1997

      41 Ford, G. T., "Consumer skepticism of advertising claims: Testing hypotheses from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16 : 433-441, 1990

      42 Engel, J. F., "Consumer behavior(8th ed)" The Dryden Press 519-536, 1995

      43 Solomon, M. R., "Consumer Behavior(8th ed.)" Pearson International Edition 2009

      44 Greenwald, A. G., "Cognitive learning, cognitive response to persuasion, and attitude chang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Attitudes" Academic Press 1968

      45 Roberson, M. R., "Beyond fear appeals: Negative and Positive persuasive appeals to health and self-esteem" 13 : 27-287, 1998

      46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tion-Wesley 1975

      47 Homer, P. M., "Attitudinal Effects of Character-based Versus Competence-based Negative Political Communications" 3 (3): 163-185, 1994

      48 Allport, G. W., "Attitude.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Clark Univ, Press 1935

      49 Batra, R., "Affective Response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13 : 234-249, 1986

      50 Muehling, D. D., "Advertising's immediate and delayed influence on brand attitudes: Considerations across message-involvement levels" 17 (17): 23-24, 1988

      51 Aaker, D. A., "Advertising management" Prentice Hall 1987

      52 Belch, G. E., "Advertising and Promotion(8th ed.)" McGraw-Hill Irwin 2009

      53 Schoenbachler, D., "Adolescent processing of social and physical threat communication" 25 (25): 37-54, 1996

      54 Lavidge, R., "A model of predictive measurement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25 : 59-62, 1961

      55 Hartmann, G. W., "A field experiment on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nd rational political leaflets in determining election results" 31 : 99-114, 193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72 2.31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