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뉴스 댓글이 사회문제에 대한 청소년의 의견 형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nline News Comments on Adolescents’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0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dvent of online news media, reading news comments has become an ordinary experience for news users. Adopting the theory of social influence and attribution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whether news comments affect adolescents when establishing their own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First, adolescents are likely to perceive public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following the news comments which were displayed under the article. They use news comments as a heuristic to infer public opinion. Second, perceived public opinion influences one’s opinion about the cause of the social problems in the case of external attribution conditions. Third, perceived public opinion affects adolescents when deciding their own opinion; this leads them to support the solutions which are in line with the perceived public opin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news literacy education focusing on critical reading of news comments. Also, by dealing with online news comments in class, social studies tried to help adolescents be better informed citizens and to enlarge their perspectives toward social problems.
      번역하기

      With the advent of online news media, reading news comments has become an ordinary experience for news users. Adopting the theory of social influence and attribution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whether news comments affect adolescent...

      With the advent of online news media, reading news comments has become an ordinary experience for news users. Adopting the theory of social influence and attribution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whether news comments affect adolescents when establishing their own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First, adolescents are likely to perceive public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following the news comments which were displayed under the article. They use news comments as a heuristic to infer public opinion. Second, perceived public opinion influences one’s opinion about the cause of the social problems in the case of external attribution conditions. Third, perceived public opinion affects adolescents when deciding their own opinion; this leads them to support the solutions which are in line with the perceived public opin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news literacy education focusing on critical reading of news comments. Also, by dealing with online news comments in class, social studies tried to help adolescents be better informed citizens and to enlarge their perspectives toward social probl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민, "한국 청년들은 왜 인터넷 댓글에 공감하는가? - 정치기사의 온라인 댓글창을 중심으로"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3) : 43-74, 2018

      2 한겨레, "피싱 메일 몰라?…한국 청소년 ‘디지털 문해력’ OECD 바닥 ‘충격’"

      3 김선호, "포털 뉴스서비스 및 댓글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 인식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4 (4): 2018

      4 최수정, "페이스북(Facebook)에서 뉴스 댓글이 이용자들의 여론 인식, 책임귀인 및 정책 의견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271-313, 2017

      5 이미나, "청소년 수용자들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효과 연구 -파당적 뉴스에 대한 프레이밍과 객관보도규범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111-155, 2011

      6 심미선, "청년층의 뉴스 콘텐츠 이용패턴과 전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7 강재원, "인터넷 뉴스기사에 달린 댓글의 효과 연구 : 이슈의 관여도와 의견의 일치성 여부를 고려해서" 한국언론학회 56 (56): 143-166, 2012

      8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254-281, 2008

      9 Sunstein, C. R., "우리는 왜 극단에끌리는가" 프리뷰 2011

      10 정일권,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302-327, 2006

      1 이수민, "한국 청년들은 왜 인터넷 댓글에 공감하는가? - 정치기사의 온라인 댓글창을 중심으로"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3) : 43-74, 2018

      2 한겨레, "피싱 메일 몰라?…한국 청소년 ‘디지털 문해력’ OECD 바닥 ‘충격’"

      3 김선호, "포털 뉴스서비스 및 댓글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 인식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4 (4): 2018

      4 최수정, "페이스북(Facebook)에서 뉴스 댓글이 이용자들의 여론 인식, 책임귀인 및 정책 의견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271-313, 2017

      5 이미나, "청소년 수용자들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효과 연구 -파당적 뉴스에 대한 프레이밍과 객관보도규범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111-155, 2011

      6 심미선, "청년층의 뉴스 콘텐츠 이용패턴과 전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7 강재원, "인터넷 뉴스기사에 달린 댓글의 효과 연구 : 이슈의 관여도와 의견의 일치성 여부를 고려해서" 한국언론학회 56 (56): 143-166, 2012

      8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254-281, 2008

      9 Sunstein, C. R., "우리는 왜 극단에끌리는가" 프리뷰 2011

      10 정일권,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302-327, 2006

      11 전자배, "사회과에서의 뉴스 리터러시 수업의 방향 모색: 댓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3 (53): 137-162, 2021

      12 김은미,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33-64, 2006

      13 나은경, "댓글 읽기/쓰기를 통한 온라인 소통이대의민주주의 사회에서 갖는 의미 : 인터넷 뉴스 댓글 이용과 사회신뢰, 정치신뢰, 언론신뢰, 그리고 정치지식" 한국언론학회 53 (53): 109-132, 2009

      14 이재신,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2 (42): 248-278, 2008

      15 양정애, "뉴스리터러시 교육Ⅰ : 커리큘럼 및 지원체계"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16 김선호, "뉴스 댓글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17 Habermas, J.,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나남출판 2001

      18 이준기, "개인의 정치성향이 뉴스 댓글에 대한 신뢰성과 사회적 영향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 17 (17): 173-187, 2012

      19 Flanagan, C. A., "Youth Political Development : An Introduction" 54 (54): 447-456, 1998

      20 Chaiken, S., "Unintended thought" Guilford Press 212-252, 1989

      2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22 Heider, F.,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John Wiley & Sons 1958

      23 Aronson, E., "Social Psychology" Pearson 2015

      24 Shehata, A., "News habits among adolescents : The influence of family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news media use evidence from a three-wave panel study" 19 (19): 758-781, 2016

      25 이미나, "NIE 텍스트로서의 전략적 vs. 이슈적 뉴스가 청소년의 정치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5 (45): 167-201, 2013

      26 Fiske, S. T.,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John Wiley & Sons 2010

      27 Sun, Y., "Framing Obesity : How News Frames Shape Attributions and Behavioral Responses" 21 (21): 139-147, 2016

      28 Jeong, S., "Effects of Media Attributions on Responsibility Judgments and Policy Opinions" 21 (21): 24-49, 2018

      29 Sundar, S. S., "Conceptualizing sources in online news" 51 (51): 52-72, 2001

      30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2020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