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혈액의 관찰’ 탐구 보고서에서 드러난 학생의 관찰 결과 기술 및 결론 도출의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escription on the Results of Observation and the Conclusion Drawing from the Reports on the ‘Observation of the Blo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09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growing importance of 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inquiry and the student’s experience of inquiry. Experiment with observation is one of the fundamental way of school inquiry and it also resembles the practice of scientists. This study ...

      There is a growing importance of 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inquiry and the student’s experience of inquiry. Experiment with observation is one of the fundamental way of school inquiry and it also resembles the practice of scientists.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description on the observation results and the conclusion drawing in the ‘observation of blood’ experiment in secondary school. Based on the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y, data from the students’ repor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ductivel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ata, we also analyzed the frequency of each category, too. Research findings show that students’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on their observation of the blood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imple statement, observation statement, and observation and scientific reason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conclusion drawing were also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y were simple conclusion, combination of observed data, and scientific reasoning based on the evidence.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types were qualitative description of the observation and conclusions consisted with mere combination of the res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more scaffolds and educational efforts to enhance students’ inquiry practice specifically focused on the well balanced observation and scientific reaso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경, "학생들의 보고서 쓰기에 대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 수행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848-860, 2009

      2 박명희,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345-350, 2005

      3 이혜정, "초등예비교사들의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인과적 의문의 사고 유형과 생성과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249-258, 2005

      4 전상학, "초등 교육과정에 제시된 식물 세포 관찰 탐구 활동 개선 방안 및 적용: 설탕 용액과 스마트폰 현미경 어댑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4 (14): 137-150, 2020

      5 권용주,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431-439, 2005

      6 신동훈, "생명 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339-351, 2006

      7 박성혜, "동료 검토 활동이 실험보고서의 질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988-1001, 2010

      8 이민주, "노랑초파리를 활용한 프로젝트 유전 실험 수업 모듈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46 (46): 290-299, 2018

      9 권용주, "기공과 새우 과제에서 초중등 교사들이 생성한 관찰의 분석 및 관찰력 지수의 개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83-111, 2007

      10 송신철,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의 실험 보고서 작성에 대한 학년별 인식 조사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36 (36): 303-312, 2012

      1 김미경, "학생들의 보고서 쓰기에 대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 수행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848-860, 2009

      2 박명희,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345-350, 2005

      3 이혜정, "초등예비교사들의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인과적 의문의 사고 유형과 생성과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249-258, 2005

      4 전상학, "초등 교육과정에 제시된 식물 세포 관찰 탐구 활동 개선 방안 및 적용: 설탕 용액과 스마트폰 현미경 어댑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4 (14): 137-150, 2020

      5 권용주,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431-439, 2005

      6 신동훈, "생명 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339-351, 2006

      7 박성혜, "동료 검토 활동이 실험보고서의 질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988-1001, 2010

      8 이민주, "노랑초파리를 활용한 프로젝트 유전 실험 수업 모듈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46 (46): 290-299, 2018

      9 권용주, "기공과 새우 과제에서 초중등 교사들이 생성한 관찰의 분석 및 관찰력 지수의 개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83-111, 2007

      10 송신철,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의 실험 보고서 작성에 대한 학년별 인식 조사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36 (36): 303-312, 2012

      11 진현정, "고등학생의 현미경 관찰 활동에 대한 결과 보고 오류 유형 분석틀의 고안 및 오류 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5 (35): 127-137, 2011

      12 송신철,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활동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6 (46): 24-38, 2018

      13 Wallace, C. S., "Writ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4

      14 McNeill, K. L., "Thinking with Data" Erlbaum 233-265, 2007

      15 Park, Y., "The observ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bout the learn of Camellia" 23 (23): 23-38, 2001

      16 Park, J., "The meaning of scientific observation and analysis of students’ observational activity" 19 (19): 487-500, 1999

      17 Kitchener, R. F., "The Conduct of Inquiry: An Introduction to Logic and Scientific Metho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9

      18 Lee, S., "Student’s observation and influence of teacher’s feedback in observation diary" Chu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5

      19 Driver, R., "Science in Schools" HMSO 1982

      20 Chadwick, B., "Science in Perspective:Book 1" Science Press 1994

      21 Duschl, R., "Science education in three-part harmony:Balancing conceptual, epistemic, and social learning goals" 32 (32): 268-291, 2008

      22 NGSS Lead State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3

      23 Keys, C. W., "Investigating the thinking processes of eighth grade writers during the composition of a scientific laboratory report" 37 (37): 676-690, 2000

      24 Bybee, R. W., "Inquiring into Inquiry Learning and Teaching in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46, 2000

      25 Sadler, T. D.,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 scientific issues: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41 (41): 513-536, 2004

      26 MOE,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

      27 Abell, 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Erlbaum 1105-1149, 2007

      28 Shin, M., "Features of the 8th grade students’ asking question, planning method, analyzing data, and draw conclusion generated for conducting self-directed, openended scientific inquir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8

      29 Sandoval, W. A., "Explanation-driven inquiry: Integrating conceptual and epistemic scaffolds for scientific inquiry" 88 (88): 345-372, 2004

      30 Masnick, A. M., "Error matters: An initial explor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experiment error" 4 (4): 67-98, 2003

      31 MO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

      32 Crawford, B. A., "Confronting prospective teachers’ ideas of evolution and scientific inquiry using technology and inquirybased tasks" 42 (42): 613-637, 2005

      33 Reiser, B. J., "Cognition and Instruction: Twenty-five Years of Progress" Erlbaum 263-305, 2001

      34 Brickhouse, N. W., "Children's observation, ideas, and the development of classroom theories about light" 31 (31): 639-656, 1994

      35 Kuhn, D., "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Blackwell 2004

      36 Kim, C.,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scientific inquiry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Part Ⅱ, Instructional materials" 15 (15): 133-148, 1995

      37 정수연,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43 (43): 43-63, 2019

      38 송신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I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6 (46): 187-201,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12-03-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교육학회지 -> 생물교육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3 1.199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