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생들의 교양교육 만족도 및 인식 =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6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양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을 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교양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교수진의 전문성, 강좌 수, 일반적인 만족, 교양필수 이수학점, 교양선택 최소 이수학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양 필수과목, 강의실의 제반 환경, 개설 교양과목의 다양성에서는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교양수업 수강하는 이유는 ‘학점 이수(졸업학점에 필요)를 위해서’, ‘수업 시간이 맞아서’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수업 수강하는 동기는 ‘다양한 학문적 지식을 넓힐 수 있어서’, ‘본인의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므로’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과목의 반별 수강 적정 인원수는 ‘21-40명’, ‘41-60’ 순으로 나타났다. 강의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책걸상’, ‘멀티미디어 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 필수과목의 중요성은 실용영어, RWP, 중국어순으로 나타났다. 교양과목 제한 이수학점은 ‘31-50학점’, ‘51-70학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 수업에서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단답형’, ‘O/X형, 선다형’이었다. 융·복합 교양교육에 대한 인지는 66.3%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교육수혜자인 대학생의 교양교육 만족도와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교육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교양교육 개선의 반영에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양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을 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교양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교수진의 전문성, 강좌 수, 일반적인 만족, 교...

      본 연구는 교양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을 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교양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교수진의 전문성, 강좌 수, 일반적인 만족, 교양필수 이수학점, 교양선택 최소 이수학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양 필수과목, 강의실의 제반 환경, 개설 교양과목의 다양성에서는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교양수업 수강하는 이유는 ‘학점 이수(졸업학점에 필요)를 위해서’, ‘수업 시간이 맞아서’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수업 수강하는 동기는 ‘다양한 학문적 지식을 넓힐 수 있어서’, ‘본인의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므로’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과목의 반별 수강 적정 인원수는 ‘21-40명’, ‘41-60’ 순으로 나타났다. 강의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책걸상’, ‘멀티미디어 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 필수과목의 중요성은 실용영어, RWP, 중국어순으로 나타났다. 교양과목 제한 이수학점은 ‘31-50학점’, ‘51-70학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 수업에서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단답형’, ‘O/X형, 선다형’이었다. 융·복합 교양교육에 대한 인지는 66.3%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교육수혜자인 대학생의 교양교육 만족도와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교육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교양교육 개선의 반영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general liberal arts classes through a survey of 380 college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classes was in the order of faculty expertise, number of courses, general satisfaction, required credits, and minimum el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low in the required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the general environment of the classroom, and the variety of open courses. The reason for taking liberal arts classes was to complete credits (needed for graduation credits) and because class time is right . The motivation for taking a liberal arts class was because I can broaden my various academic knowledge and because it helps me to develop my competencies . The proper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was 21-40, followed by 41-60. The areas requiring improvement in the classroom were desktop and multimedia facilities in that order.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was in the order of Practical English, RWP, and Chinese. Restricted credits for liberal arts were 31 -50 credits and 51 -70 credits . The most preferred methods of evaluation in liberal arts classes were short answer , O / X, and multiple choice . Awareness of convergence and hybrid liberal arts education was found to be 66.3%.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that strengthens the speci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general liberal arts classes through a survey of 380 college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classes was in the order of faculty expertise, number of courses, general satisfactio...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general liberal arts classes through a survey of 380 college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classes was in the order of faculty expertise, number of courses, general satisfaction, required credits, and minimum el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low in the required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the general environment of the classroom, and the variety of open courses. The reason for taking liberal arts classes was to complete credits (needed for graduation credits) and because class time is right . The motivation for taking a liberal arts class was because I can broaden my various academic knowledge and because it helps me to develop my competencies . The proper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was 21-40, followed by 41-60. The areas requiring improvement in the classroom were desktop and multimedia facilities in that order.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was in the order of Practical English, RWP, and Chinese. Restricted credits for liberal arts were 31 -50 credits and 51 -70 credits . The most preferred methods of evaluation in liberal arts classes were short answer , O / X, and multiple choice . Awareness of convergence and hybrid liberal arts education was found to be 66.3%.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that strengthens the speci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