連結函數는 强한·條件의 函數로,連擴函數이면 連結函數가 되지만 逆은 成立되지 않음은 잘 알려진 사실로 많은 學者들이 連結國數의 特性 및 連續函數化에 對하여 硏究하고 있다. 本論文...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02236
Baik, Yong-Bai (사범대학(기하학)) ; Hong, Woo-Chorl (사범대학(위상수학))
1978
English
370
KCI등재
학술저널
7-1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連結函數는 强한·條件의 函數로,連擴函數이면 連結函數가 되지만 逆은 成立되지 않음은 잘 알려진 사실로 많은 學者들이 連結國數의 特性 및 連續函數化에 對하여 硏究하고 있다. 本論文...
連結函數는 强한·條件의 函數로,連擴函數이면 連結函數가 되지만 逆은 成立되지 않음은 잘 알려진 사실로 많은 學者들이 連結國數의 特性 및 連續函數化에 對하여 硏究하고 있다. 本論文에서는 連結函數에 있어서 位相空間上에 또는 函數자체에 條件을 부여하여 連結函數의 特性과 그에 따른 몇 가지의 連讀函數化에 對하여 아래와 같이 밝혔다.
1)f:X→Y가 單調, 連結函數이며 Y가 Hansdorff 位相空間이면 모든 Y의 元素 y에 對하여 f^(-1)(y)는 位相空間X에서 閉部分集合이다.
2)f:X→Y가 開, 連結函數이며 X는 第一순번 位相空間이고 Y는 第一순번, 半局所連結位相空間이면, f는 連續函數가 된다.
3)f:X→Y가 쌍連結函數이고 Almost 連續函數이고,f^(-1)가 連結保存하면 X가 Hansdorff, Y가 Hansdorff 局所連結正規位相空間일때,f는 連續函數가 된다.
4}f:x→Y가 쌍連結函數이고 全單射이면 Y가 半局連結 T_(i)位相空間이면 f는 連續函數이다.
5)f:x→Y가 쌍連結函數이고 全單射이며 X와 Y가 모두 半局所連結 T_(i)位相空間이면 f는 位相同形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