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마늘추출물이 과산화지질급여 비만쥐의 지질강하, 항산화효과 및 염증매개물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llium victorials Extract on Lowing Lipid, Anti-oxidation and Concentr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8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ffects of Allium victorials extract on lowering lipid, anti-oxidation andconcentr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FFA),triglyceride(TG),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 plasma decreased in the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andplasma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revealed a tendency to increase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Concentration oftotal cholesterol and TG in liver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Concentration ofthiobarbituric acid(TBARS) in plasma and liver showed a lower values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than that ofcontrol group.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GSH-Px),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in liver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NO), ceruloplasmin and α1-acid glycoprotein in plasma showed a lower values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seresults indicate that the Allium victorials extract have an functional material for lowering lipid, anti-oxidation andanti-inflammatory effec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ffects of Allium victorials extract on lowering lipid, anti-oxidation andconcentr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FFA),triglyceride(TG), total cholesterol a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ffects of Allium victorials extract on lowering lipid, anti-oxidation andconcentr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FFA),triglyceride(TG),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 plasma decreased in the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andplasma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revealed a tendency to increase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Concentration oftotal cholesterol and TG in liver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Concentration ofthiobarbituric acid(TBARS) in plasma and liver showed a lower values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than that ofcontrol group.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GSH-Px),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in liver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NO), ceruloplasmin and α1-acid glycoprotein in plasma showed a lower values in Allium victorials extract groups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seresults indicate that the Allium victorials extract have an functional material for lowering lipid, anti-oxidation andanti-inflammatory eff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마늘추출물이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비만쥐의 지질강하, 항산화효과 및 염증매개물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그 결과 혈장 FFA, TG, total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감소했으며, 혈장HDL-cholesterol 농도는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증가했다. 간장 내 totalcholesterol 농도 및 TG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모두가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NO, Ceruloplasmin 및 α1-acid glycoprotein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마늘추출물에 지질강하, 항산화 및항염증작용에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물질이 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산마늘추출물이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비만쥐의 지질강하, 항산화효과 및 염증매개물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그 결과 혈장 FFA, TG, total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 농도는...

      본 연구는 산마늘추출물이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비만쥐의 지질강하, 항산화효과 및 염증매개물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그 결과 혈장 FFA, TG, total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감소했으며, 혈장HDL-cholesterol 농도는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증가했다. 간장 내 totalcholesterol 농도 및 TG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모두가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NO, Ceruloplasmin 및 α1-acid glycoprotein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마늘추출물에 지질강하, 항산화 및항염증작용에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물질이 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원, "식이성 고지혈 및 비만에 대한 산마늘 추출물의 효과" 한국생약학회 36 (36): 109-115, 2005

      2 이은, "솔잎분말이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의 혈장 및 간장의 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926-930, 2003

      3 이성숙, "산마늘로부터 단리한 kaempferol과 quercetin의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 한국목재공학회 32 (32): 17-27, 2004

      4 함승시, "산마늘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21-226, 2004

      5 김길남, "광도 변화에 따른 산마늘, 곰취, 곤달비의 생장 및 Ascorbic acid 함량분석" 한국임학회 99 (99): 68-74, 2010

      6 Nishimura, H. T., "Thermochemical transformation of sulfur compounds in Japanese domestic Allium victorialis L" 13 : 257-263, 2000

      7 Kono, Y., "Superoxide radical inhibits catalase" 257 : 5751-5754, 1982

      8 Kissebah, A. H.,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adipose tissue and liver in the pathogenesis of endogenous hypertriglyceridemia in man" 12 : 563-571, 1976

      9 Levander, O. A., "Platelet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s an index of selenium status in rats" 113 : 55-63, 1983

      10 Vergroeson, A. T, "Physiological effects of dietary linoleic acid" 35 : 1-9, 1997

      1 최종원, "식이성 고지혈 및 비만에 대한 산마늘 추출물의 효과" 한국생약학회 36 (36): 109-115, 2005

      2 이은, "솔잎분말이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의 혈장 및 간장의 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926-930, 2003

      3 이성숙, "산마늘로부터 단리한 kaempferol과 quercetin의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 한국목재공학회 32 (32): 17-27, 2004

      4 함승시, "산마늘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21-226, 2004

      5 김길남, "광도 변화에 따른 산마늘, 곰취, 곤달비의 생장 및 Ascorbic acid 함량분석" 한국임학회 99 (99): 68-74, 2010

      6 Nishimura, H. T., "Thermochemical transformation of sulfur compounds in Japanese domestic Allium victorialis L" 13 : 257-263, 2000

      7 Kono, Y., "Superoxide radical inhibits catalase" 257 : 5751-5754, 1982

      8 Kissebah, A. H.,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adipose tissue and liver in the pathogenesis of endogenous hypertriglyceridemia in man" 12 : 563-571, 1976

      9 Levander, O. A., "Platelet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s an index of selenium status in rats" 113 : 55-63, 1983

      10 Vergroeson, A. T, "Physiological effects of dietary linoleic acid" 35 : 1-9, 1997

      11 Nielsen, S., "Obesity and cardivascular disease is body structure a factor" 8 : 200-204, 1997

      12 Singh, R. J., "Nitration of gamma-tocopherol and oxidation of alphatocopherol by 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 /H2O2- : Role of nitrigen dioxide free radical" 95 : 12912-12917, 1988

      13 Buege, J. A.,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In Methods in Enzymology" London Academic Press 302-309, 1978

      14 Kesavulu, M. 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levels in type 2 diabetics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s" 26 : 387-392, 2000

      15 Koutsos, E. A., "Interactions between the immune system, nutrition and productivity of animals. in Recent advances in animal nutrition" Nottingham University Press 173-190, 2001

      16 Saito, M, "Interaction between lipid peroxide formation and nutritional status" 41 : 343-349, 1988

      17 Lioyd, D, "How to avoid oxygen" 286 : 249-250, 1999

      18 Lee, H. J., "Extra actives from the Allium victorialis" 98 : 106-114, 2007

      19 Flohe, L., "Convenient assays for superoxide dismutase, In CRC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287-293, 1992

      20 Lee, K. T., "Constituents and the antitumor principle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24 : 44-50, 2001

      21 Arnaud, P., "Ceruloplasmin" 163 : 441-452, 1988

      22 Bruce, A. F., "Biology of disease :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47 : 412-426, 1982

      23 Rotruck, J. T., "Biochemical role as a component of glutathione peroxidase" 179 : 588-, 1973

      24 Ohkawa, H., "Assay for lipid peroxide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95 : 351-358, 1979

      25 Shirataki, Y., "Antioxidative activity of Allium victorialis. L. extract" 21 : 3331-3339, 2001

      26 Kim, T. G., "Antiatherogenic effect of the extract of Allium victorialis on the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the rabbit and transgenic mouse" 31 : 149-156, 2000

      27 Johnson, L. H., "A spectro phto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atalase activity in small tissue samples" 331-336,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