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2 최진희, "인문산책: 러시아 문화 7 영화; 20 세기 최고의 걸작 “전함 포템킨”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몽타주 기법 교과서" 100 : 56-57, 2015
3 박혜연, "웨스 앤더슨의 환상영화"
4 Anderson, W., "웨스 앤더슨 컬렉션: 일곱 가지 컬러" 월북 2017
5 "영화진흥위원회"
6 Metz, C.,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문학과 지성사 2011
7 조혜정,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68) : 227-253, 2016
8 지명혁, "영화예술의 이해" 집문당 2002
9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쿨레쇼프, 푸도프킨, 에이젠슈테인의 예술적 미학원리" 열화당 2006
10 신강호, "영화사를 바꾼 명장면으로 영화 읽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2 최진희, "인문산책: 러시아 문화 7 영화; 20 세기 최고의 걸작 “전함 포템킨”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몽타주 기법 교과서" 100 : 56-57, 2015
3 박혜연, "웨스 앤더슨의 환상영화"
4 Anderson, W., "웨스 앤더슨 컬렉션: 일곱 가지 컬러" 월북 2017
5 "영화진흥위원회"
6 Metz, C.,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문학과 지성사 2011
7 조혜정,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68) : 227-253, 2016
8 지명혁, "영화예술의 이해" 집문당 2002
9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쿨레쇼프, 푸도프킨, 에이젠슈테인의 예술적 미학원리" 열화당 2006
10 신강호, "영화사를 바꾼 명장면으로 영화 읽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1 이주봉, "영화미디어의 주체효과와 자기반영성 :표현주의 영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과 <노스페라투>를 중심으로" 방송·예술연구소 9 (9): 169-192, 2014
12 이아람찬, "영화교육론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3 정재형, "영화교육 교육표준 연구" 7 : 1-23, 2012
14 한국영화학회 영화교육위원회, "영화교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영화학회 2004
15 Hayward, S.,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2012
16 신양섭, "영화 <취화선>에서의 풍경 이미지의 논리 구조: 동양 산수화와 미술 인상주의의구조적 공통점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76) : 175-209, 2018
17 진영선, "영화 <아가씨>의 내러티브에 영향을 미치는 미술적 요소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501-520, 2019
18 Gast, W., "영화" 문학과지성사 1999
19 이지연, "영상 제작을 통한 미술교과 기반 인성교육의 실천적 이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8 (38): 135-159, 2014
20 안인기, "시각적 문해력 이후의 시각문화교육"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5 (15): 55-74, 2014
21 황보성진, "스토리텔링 교수법을 적용한 영화교육 연구" 6 (6): 33-63, 2014
22 Siety, E., "쇼트-영화의 시작"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6
23 박건용, "소품을 활용한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 <곤지암> 소품의 공포감 창출을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5 : 175-185, 2018
24 이지연, "새로운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시각문화교육의 가능성과 적용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61-78, 2011
25 정정화, "비디오 서사 분석 – 문학과 영화를 참조한 비디오 서사 특징 –"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347-362, 2019
26 Zettl, H., "방송제작론" 한경사 2016
27 이종승, "미장센 : 영화 창작 논리의 해부" 아모르문디 2019
28 배상준, "미장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9 곽정연, "미디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교육- 독일문학작품을 각색한 단편영화 제작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0 (60): 183-205, 2014
30 강미경, "모바일 앱 접근성에 대한 연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지침 국가표준 2.0을 기반으로 모바일 앱 쇼핑몰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 (2): 1-8, 2017
31 이지연,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가치와 가능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 (14): 123-139, 2013
32 이승희,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대중적 시각문화의 기호학적 분석: 영화 <토끼 울타리(Rabbit-Proof Fence)>를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68) : 143-173, 2018
33 김레오, "기초 영상 문법과 소통 능력 향상 융합 수업 -인터뷰 영상 제작을 통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41-349, 2019
34 "교육부"
35 신원선, "short cut 영화제작실습이 영상문학 학습에 미치는 효능성 연구" 387-404, 2018
36 Mendel, B., "The Life Aquatic with Steve Zissou ❲Film❳"
37 Pilcher, L. D., "The Darjeeling Limited ❲Film❳"
38 Mendel, B., "Rushmore ❲Film❳"
39 Mendel, B., "Royal Tenenbaums ❲Film❳"
40 Anderson, W., "Moonrise Kingdom ❲Film❳"
41 Brigitte Hipfl, "Media Education: Contemporary Challenges"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1 (11): 151-190, 2010
42 Rudin, S., "Fantastic Mr. Fox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