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으로서 영화의 교육적 가능성 탐구: 미장센의 이해와 활용 = Possibility of Film Education a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Mise-en-sce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23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basic research that explores what kind of film education is possible in the area of art educat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frame of film media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discuss how film aesthetics are visualized and delivered through visual aesthetics and film language. Next, the research trend of film media education was reviewed. Further,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film image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mise-en-scene that was not emphasized in art education yet.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Mise-en-scen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aesthetic creation and creator's style in film media education. I would like to understand Mise-en-scene image and it’s power based on the case of Wes Anderson's film, which expresses the unique and creative image of Mise-en-scene in film making. In order to reconstruct the framework of film media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we must pay more attention to the specific creative process of creating ideas into images by understanding and utilizing film aesthetics, film language, and mise en scenes.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basic research that explores what kind of film education is possible in the area of art educat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frame of film media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This paper is a basic research that explores what kind of film education is possible in the area of art educat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frame of film media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discuss how film aesthetics are visualized and delivered through visual aesthetics and film language. Next, the research trend of film media education was reviewed. Further,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film image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mise-en-scene that was not emphasized in art education yet.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Mise-en-scen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aesthetic creation and creator's style in film media education. I would like to understand Mise-en-scene image and it’s power based on the case of Wes Anderson's film, which expresses the unique and creative image of Mise-en-scene in film making. In order to reconstruct the framework of film media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we must pay more attention to the specific creative process of creating ideas into images by understanding and utilizing film aesthetics, film language, and mise en scen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는 우리 삶에 큰 영향을 주는 시각미디어이자 종합예술이다. 본 논문은 영화를 미술교육의 시선으로 바라본다면 어떤 교육이 가능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기초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시각에서 영화교육의 틀을 재구성하기 위한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교육의 연구 동향을 짚어보고, 그간 강조되지 않은 미장센에 초점을 맞춰 이미지의 창작 및 재구성을 논의하였다. 영화교육에 있어 “의미”의 표현을 위한 시각적 요소와 미장센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창작자의 의도를 한정된 프레임 속에서 시각적 요소로 어떻게 감각적이고 창의적으로 전달하는지를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교육에서 미학적 창작과 창작자의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소인 미장센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에 영화 창작에 있어 개성적인 미장센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웨스 앤더슨(Wes Anderson) 감독의 영화를 사례를 기반으로 미장센 이미지와 힘을 이해하고자 한다. 미술교육의 시각에서 영화교육의 틀(framework)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상미학, 촬영기법, 미장센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이미지로 탄생시키는 구체적인 창작의 과정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번역하기

      영화는 우리 삶에 큰 영향을 주는 시각미디어이자 종합예술이다. 본 논문은 영화를 미술교육의 시선으로 바라본다면 어떤 교육이 가능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기초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

      영화는 우리 삶에 큰 영향을 주는 시각미디어이자 종합예술이다. 본 논문은 영화를 미술교육의 시선으로 바라본다면 어떤 교육이 가능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기초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시각에서 영화교육의 틀을 재구성하기 위한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교육의 연구 동향을 짚어보고, 그간 강조되지 않은 미장센에 초점을 맞춰 이미지의 창작 및 재구성을 논의하였다. 영화교육에 있어 “의미”의 표현을 위한 시각적 요소와 미장센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창작자의 의도를 한정된 프레임 속에서 시각적 요소로 어떻게 감각적이고 창의적으로 전달하는지를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교육에서 미학적 창작과 창작자의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소인 미장센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에 영화 창작에 있어 개성적인 미장센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웨스 앤더슨(Wes Anderson) 감독의 영화를 사례를 기반으로 미장센 이미지와 힘을 이해하고자 한다. 미술교육의 시각에서 영화교육의 틀(framework)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상미학, 촬영기법, 미장센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이미지로 탄생시키는 구체적인 창작의 과정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2 최진희, "인문산책: 러시아 문화 7 영화; 20 세기 최고의 걸작 “전함 포템킨”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몽타주 기법 교과서" 100 : 56-57, 2015

      3 박혜연, "웨스 앤더슨의 환상영화"

      4 Anderson, W., "웨스 앤더슨 컬렉션: 일곱 가지 컬러" 월북 2017

      5 "영화진흥위원회"

      6 Metz, C.,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문학과 지성사 2011

      7 조혜정,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68) : 227-253, 2016

      8 지명혁, "영화예술의 이해" 집문당 2002

      9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쿨레쇼프, 푸도프킨, 에이젠슈테인의 예술적 미학원리" 열화당 2006

      10 신강호, "영화사를 바꾼 명장면으로 영화 읽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2 최진희, "인문산책: 러시아 문화 7 영화; 20 세기 최고의 걸작 “전함 포템킨”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몽타주 기법 교과서" 100 : 56-57, 2015

      3 박혜연, "웨스 앤더슨의 환상영화"

      4 Anderson, W., "웨스 앤더슨 컬렉션: 일곱 가지 컬러" 월북 2017

      5 "영화진흥위원회"

      6 Metz, C.,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문학과 지성사 2011

      7 조혜정,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68) : 227-253, 2016

      8 지명혁, "영화예술의 이해" 집문당 2002

      9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쿨레쇼프, 푸도프킨, 에이젠슈테인의 예술적 미학원리" 열화당 2006

      10 신강호, "영화사를 바꾼 명장면으로 영화 읽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1 이주봉, "영화미디어의 주체효과와 자기반영성 :표현주의 영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과 <노스페라투>를 중심으로" 방송·예술연구소 9 (9): 169-192, 2014

      12 이아람찬, "영화교육론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3 정재형, "영화교육 교육표준 연구" 7 : 1-23, 2012

      14 한국영화학회 영화교육위원회, "영화교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영화학회 2004

      15 Hayward, S.,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2012

      16 신양섭, "영화 <취화선>에서의 풍경 이미지의 논리 구조: 동양 산수화와 미술 인상주의의구조적 공통점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76) : 175-209, 2018

      17 진영선, "영화 <아가씨>의 내러티브에 영향을 미치는 미술적 요소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501-520, 2019

      18 Gast, W., "영화" 문학과지성사 1999

      19 이지연, "영상 제작을 통한 미술교과 기반 인성교육의 실천적 이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8 (38): 135-159, 2014

      20 안인기, "시각적 문해력 이후의 시각문화교육"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5 (15): 55-74, 2014

      21 황보성진, "스토리텔링 교수법을 적용한 영화교육 연구" 6 (6): 33-63, 2014

      22 Siety, E., "쇼트-영화의 시작"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6

      23 박건용, "소품을 활용한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 <곤지암> 소품의 공포감 창출을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5 : 175-185, 2018

      24 이지연, "새로운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시각문화교육의 가능성과 적용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61-78, 2011

      25 정정화, "비디오 서사 분석 – 문학과 영화를 참조한 비디오 서사 특징 –"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347-362, 2019

      26 Zettl, H., "방송제작론" 한경사 2016

      27 이종승, "미장센 : 영화 창작 논리의 해부" 아모르문디 2019

      28 배상준, "미장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9 곽정연, "미디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교육- 독일문학작품을 각색한 단편영화 제작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0 (60): 183-205, 2014

      30 강미경, "모바일 앱 접근성에 대한 연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지침 국가표준 2.0을 기반으로 모바일 앱 쇼핑몰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 (2): 1-8, 2017

      31 이지연,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가치와 가능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 (14): 123-139, 2013

      32 이승희,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대중적 시각문화의 기호학적 분석: 영화 <토끼 울타리(Rabbit-Proof Fence)>를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68) : 143-173, 2018

      33 김레오, "기초 영상 문법과 소통 능력 향상 융합 수업 -인터뷰 영상 제작을 통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41-349, 2019

      34 "교육부"

      35 신원선, "short cut 영화제작실습이 영상문학 학습에 미치는 효능성 연구" 387-404, 2018

      36 Mendel, B., "The Life Aquatic with Steve Zissou ❲Film❳"

      37 Pilcher, L. D., "The Darjeeling Limited ❲Film❳"

      38 Mendel, B., "Rushmore ❲Film❳"

      39 Mendel, B., "Royal Tenenbaums ❲Film❳"

      40 Anderson, W., "Moonrise Kingdom ❲Film❳"

      41 Brigitte Hipfl, "Media Education: Contemporary Challenges"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1 (11): 151-190, 2010

      42 Rudin, S., "Fantastic Mr. Fox ❲Fil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5 0.897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