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실내 무선 DS-CDMA 방식에서 다중경로 페이딩 영향을 고려한 DLL 설계와 성능평가 = DLL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 Indoor Wireless DS-CDMA System under the Multipath Fading Effec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다중경로 환경하에서 DLL (Delay lock loop)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체 동작상태는 정상상태 시간오차 확률밀도함수와 MTLL (mean-time-to-lose-lock)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중경로에서 페이딩 환경에서 지연성분의 존재로 진상-지상 판별함수 S(${\epsilon}$)가 0이 되는 추적 오차점 ${\epsilon}_{0}$가 0이 아님을 보이고, 지연성분의 전력 $g_{2}$, 지연시간 ${\tau}_{d}$의 증가로 인하여 ${\epsilon}_{0}$의 절대값이 증가하며, MTLL의 값이 작아짐을 보였다. 여기에서는 위의 변수들을 이용하여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에서의 시간오차 확률밀도함수와 MTLL을 선형적으로 구하였으며, 다중경로의 영향이 클 경우에는 MTLL은 상당히 낮아짐을 보이고, 이때 진상-지상 오프셋 ${\Delta}$의 증가시킴으로써 MTLL의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우리는 먼저 S(${\epsilon}$)가 0이 되는 추적오차점 ${\epsilon}_{0}$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상-지상 판별함수 S(${\epsilon}$)를 선형 근사화시켰으며, 진상-지상 오프셋 ${\Delta}$의 증가에 따른 시간오차 확률밀도함수와 MTLL을 구하고 DDLL의 동작상태를 연구하여, 다중경로의 지연성분에 대한 전력 및 지연시간에 따라 MTLL이 상당히 낮게 되며, 이러한 경우 진상-지상 오프셋 ${\Delta}$을 증가시켜줌으로써 MTLL을 충분히 증가시키고 DLL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다중경로 환경하에서 DLL (Delay lock loop)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체 동작상태는 정상상태 시간오차 확률밀도함수와 MTLL (mean-time-to-lose-lock)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

      이 논문에서는 다중경로 환경하에서 DLL (Delay lock loop)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체 동작상태는 정상상태 시간오차 확률밀도함수와 MTLL (mean-time-to-lose-lock)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중경로에서 페이딩 환경에서 지연성분의 존재로 진상-지상 판별함수 S(${\epsilon}$)가 0이 되는 추적 오차점 ${\epsilon}_{0}$가 0이 아님을 보이고, 지연성분의 전력 $g_{2}$, 지연시간 ${\tau}_{d}$의 증가로 인하여 ${\epsilon}_{0}$의 절대값이 증가하며, MTLL의 값이 작아짐을 보였다. 여기에서는 위의 변수들을 이용하여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에서의 시간오차 확률밀도함수와 MTLL을 선형적으로 구하였으며, 다중경로의 영향이 클 경우에는 MTLL은 상당히 낮아짐을 보이고, 이때 진상-지상 오프셋 ${\Delta}$의 증가시킴으로써 MTLL의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우리는 먼저 S(${\epsilon}$)가 0이 되는 추적오차점 ${\epsilon}_{0}$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상-지상 판별함수 S(${\epsilon}$)를 선형 근사화시켰으며, 진상-지상 오프셋 ${\Delta}$의 증가에 따른 시간오차 확률밀도함수와 MTLL을 구하고 DDLL의 동작상태를 연구하여, 다중경로의 지연성분에 대한 전력 및 지연시간에 따라 MTLL이 상당히 낮게 되며, 이러한 경우 진상-지상 오프셋 ${\Delta}$을 증가시켜줌으로써 MTLL을 충분히 증가시키고 DLL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DLL(Delay lock loop) under the multipath fading effects. The evaluated performance measures include the steady-state timing erro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and the mean-time-to-lose-lock (MTLL) under multipath fading effects. The discriminator characteristic S(${\epsilon}$) is shown to be zero at the point of timing error ${\epsilon}_{0}$ that is not zero, and the MTLL decreases as the delayed signal power $g_{2}$ and delayed time ${\tau}_{d}$ increase. We approximate the steady-state timing error PDF linearly with these variables and evaluate the steady-state timing error PDF and MTLL. The severe multipath fading effects result lower MTLL, in this case we make MTLL larger by increasing the early-late discriminator offset ${\Delta}$. First, we calculate the timing error point ${\epsilon}_{0}$, and present the performance of DLL under multipath fading. The timing error PDF, MTLL and the performance of DLL with ${\Delta}$ are also investigated. And we conclude that the larger ${\Delta}$ makes a higher MTLL and a better performance of DLL under multipath fading effects.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DLL(Delay lock loop) under the multipath fading effects. The evaluated performance measures include the steady-state timing erro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and the mean-time-to-lose-lock (MTLL) under multipath fading effec...

      This paper analyzes DLL(Delay lock loop) under the multipath fading effects. The evaluated performance measures include the steady-state timing erro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and the mean-time-to-lose-lock (MTLL) under multipath fading effects. The discriminator characteristic S(${\epsilon}$) is shown to be zero at the point of timing error ${\epsilon}_{0}$ that is not zero, and the MTLL decreases as the delayed signal power $g_{2}$ and delayed time ${\tau}_{d}$ increase. We approximate the steady-state timing error PDF linearly with these variables and evaluate the steady-state timing error PDF and MTLL. The severe multipath fading effects result lower MTLL, in this case we make MTLL larger by increasing the early-late discriminator offset ${\Delta}$. First, we calculate the timing error point ${\epsilon}_{0}$, and present the performance of DLL under multipath fading. The timing error PDF, MTLL and the performance of DLL with ${\Delta}$ are also investigated. And we conclude that the larger ${\Delta}$ makes a higher MTLL and a better performance of DLL under multipath fading effe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