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군정기 민간공보처(OCI)의 PR활동에 관한 역사적 접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8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해방 후 한국에진주한 미군의 민간공보처(OCI: Office of Civil Information) 가 우리나라에서 전개한 PR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1947년 5월 말에 발족한 민간공보처의 책임자는 스튜어트(James L. Stuwart)였으며, 직원 113명 가운데 20%는 미국 민간인이었고 10%의 미국 군인과 70%의 한국인이었다. 연구 결과, 민간공보처의 주요 임무, 조직 체계, 업무 성과를 분석하고, 민간공보처의 활동을 통해 PR에 관한 지식이 한국에 전파되었음을 논의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해방 후 한국에진주한 미군의 민간공보처(OCI: Office of Civil Information) 가 우리나라에서 전개한 PR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1947년 5월 말에 발족한 민간공보처의 책임자는 스튜어...

      이 연구에서는해방 후 한국에진주한 미군의 민간공보처(OCI: Office of Civil Information) 가 우리나라에서 전개한 PR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1947년 5월 말에 발족한 민간공보처의 책임자는 스튜어트(James L. Stuwart)였으며, 직원 113명 가운데 20%는 미국 민간인이었고 10%의 미국 군인과 70%의 한국인이었다. 연구 결과, 민간공보처의 주요 임무, 조직 체계, 업무 성과를 분석하고, 민간공보처의 활동을 통해 PR에 관한 지식이 한국에 전파되었음을 논의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 of the word, public relations in Korea. ‘Public Relations’ and its activities were introduced to Korea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in August 1945 and subsequent three-year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Name of the organization was Office of Civil Information (OCI) headed by James L. Stewart, a former newspaper journalist. Although he had no experience as a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 what OCI did was identical to the PR agency business. When OCI was established in May 1947 it had a staff of 113 comprised of 20% American civilians, around 10% military personnel and 70% Korean employees. Clearly, the mission of OCI was to persuade Koreans to understand American policy and favorably respond to it, Korean employees of OCI would have known Americans activities in OCI. In addition, many more Koreans must have learned of th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hrough their exposure to many OCI-sponsored events. However, records on public relations agency activities or studies on public relations in Korea are yet to be found after the dissolution of OCI in 1949 except a couple of isolated cases. The term, public relations, was gradually replaced by a Korean-language equivalent of Hongbo and the expression; the PR era was coined in 1970s developing to an earnest public relations business in late 1980s. This study presents, therefore, an issue for further research on why development of public relations in Korea was so delayed in spite of the excellent OCI precedence.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 of the word, public relations in Korea. ‘Public Relations’ and its activities were introduced to Korea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in August 1945 and subsequent three-year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Name of the ...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 of the word, public relations in Korea. ‘Public Relations’ and its activities were introduced to Korea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in August 1945 and subsequent three-year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Name of the organization was Office of Civil Information (OCI) headed by James L. Stewart, a former newspaper journalist. Although he had no experience as a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 what OCI did was identical to the PR agency business. When OCI was established in May 1947 it had a staff of 113 comprised of 20% American civilians, around 10% military personnel and 70% Korean employees. Clearly, the mission of OCI was to persuade Koreans to understand American policy and favorably respond to it, Korean employees of OCI would have known Americans activities in OCI. In addition, many more Koreans must have learned of th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hrough their exposure to many OCI-sponsored events. However, records on public relations agency activities or studies on public relations in Korea are yet to be found after the dissolution of OCI in 1949 except a couple of isolated cases. The term, public relations, was gradually replaced by a Korean-language equivalent of Hongbo and the expression; the PR era was coined in 1970s developing to an earnest public relations business in late 1980s. This study presents, therefore, an issue for further research on why development of public relations in Korea was so delayed in spite of the excellent OCI preced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연구의 필요성
      •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 연구 결과
      • 민간공보처의 주요 임무
      • 국문초록
      • 연구의 필요성
      •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 연구 결과
      • 민간공보처의 주요 임무
      • 민간공보처의 조직 체계
      • 민간공보처의 업무 성과
      •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희, "한국 PR기업의 역사와 사례" 나남출판 2009

      2 차재영, "주한 미 점령군의 선전활동 연구" 5 : 29-52, 1994

      3 "재조선 미육군사령부 군정청 (1946. 4. 18). 법령 제71호"

      4 김병희, "일본 광고회사 덴츠가 한국 광고산업의 형성에 미친 영향" 한국광고학회 20 (20): 111-129, 2009

      5 박권상, "미군정하의 한국 언론에 관한 연구 (하)" 61-68, 1987

      6 박권상, "미군정하의 한국 언론에 관한 연구 (상)" 63-76, 1987

      7 유병은, "미군정청 시대의 한국방송" 117-121, 1995

      8 김민환, "미군정의 언론정책" 8 : 6-38, 1995

      9 한국법제연구회, "미군정법령 총람" 한국법제연구회 1971

      10 박용규, "미군정기 방송의 구조와 역할" 44 : 3-43, 2005

      1 김병희, "한국 PR기업의 역사와 사례" 나남출판 2009

      2 차재영, "주한 미 점령군의 선전활동 연구" 5 : 29-52, 1994

      3 "재조선 미육군사령부 군정청 (1946. 4. 18). 법령 제71호"

      4 김병희, "일본 광고회사 덴츠가 한국 광고산업의 형성에 미친 영향" 한국광고학회 20 (20): 111-129, 2009

      5 박권상, "미군정하의 한국 언론에 관한 연구 (하)" 61-68, 1987

      6 박권상, "미군정하의 한국 언론에 관한 연구 (상)" 63-76, 1987

      7 유병은, "미군정청 시대의 한국방송" 117-121, 1995

      8 김민환, "미군정의 언론정책" 8 : 6-38, 1995

      9 한국법제연구회, "미군정법령 총람" 한국법제연구회 1971

      10 박용규, "미군정기 방송의 구조와 역할" 44 : 3-43, 2005

      11 신인섭, "미군정기 민간공보처(OCI)의 PR활동 연구" 35-59, 2014

      12 김민환, "미군정 공보 기구의 언론활동" 42-49, 1991

      13 동아일보, "뒷골목 난"

      14 김병희, "광고회사 보상제도에 관한 광고인의 인식분석: 피, 커미션, 인센티브 문제를 중심으로" 2 (2): 130-150, 2009

      15 電通, "電通PR廣報史: 昭和20年代, 30年代を中心に" 電通 1997

      16 猪狩誠也, "日本の廣報PR100年" 同友館 2011

      17 "RG 332,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XXIV Corps, G-2 Historical Section, Records Regarding USAMGIK, U.S.-U.S.S.R. Relations in Korea and Korean Political Affairs, 1945∼1948, Box 42, 1 of 4. (02011280)"

      18 Burress, C., "James L. Stewart: Longtime liaison to Asia"

      19 "G-2, History of the Office of Civil Information. 30 May 1947 through 30 June 19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6 1.39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