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고메시지 조절초점과 소비자 자기해석 유형에 따른 복수의 광고모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8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보원의 원천확대와 사회적 합의성의 증가로 인해 복수모델이 단수모델보다광고효과가 높으며, 모델 간의 조화도가 높을수록 광고효과가 더 높을 것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델 수의 증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델 수의 증가와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는 메시지 조절초점 유형(향상초점 메시지와 예방초점 메시지)와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의존적 자기해석과 독립적 자기해석)이라는 두 조절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으리라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복수모델은 단수모델보다 광고효과가 높으며 복수모델에서는 복수조화모델이복수부조화모델보다 더 높은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모델에서는 향상초점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단수모델에서는 메시지 유형에 따른 효과 차이는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의존적 자기해석 유형의 소비자들에게는 복수모델이 효과적이며, 독립적 자기해석 유형의 소비자들에게는 단수모델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모델을 광고에 기용함에 있어 복수모델의 조화도에 따라 효과는 어떻게 달라질 수있으며, 메시지 조절초점 유형과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이 조절효과요인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이론적시사점을 논의하는 한편, 복수모델 사용에 있어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보원의 원천확대와 사회적 합의성의 증가로 인해 복수모델이 단수모델보다광고효과가 높으며, 모델 간의 조화도가 높을수록 광고효과가 더 높을 것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

      본 연구는 정보원의 원천확대와 사회적 합의성의 증가로 인해 복수모델이 단수모델보다광고효과가 높으며, 모델 간의 조화도가 높을수록 광고효과가 더 높을 것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델 수의 증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델 수의 증가와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는 메시지 조절초점 유형(향상초점 메시지와 예방초점 메시지)와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의존적 자기해석과 독립적 자기해석)이라는 두 조절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으리라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복수모델은 단수모델보다 광고효과가 높으며 복수모델에서는 복수조화모델이복수부조화모델보다 더 높은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모델에서는 향상초점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단수모델에서는 메시지 유형에 따른 효과 차이는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의존적 자기해석 유형의 소비자들에게는 복수모델이 효과적이며, 독립적 자기해석 유형의 소비자들에게는 단수모델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모델을 광고에 기용함에 있어 복수모델의 조화도에 따라 효과는 어떻게 달라질 수있으며, 메시지 조절초점 유형과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이 조절효과요인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이론적시사점을 논의하는 한편, 복수모델 사용에 있어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at multiple models, in terms of multiple source effect and social consensus, are more effective than single model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the models the effect of advertising will prove to be higher. And also,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essage regulatory focus (promotion-focused message vs. prevention-focused message) and self-construal (dependent vs. independent) on the advertising effect of multiple models. It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effects of advertising by single model, multiple harmonic model and multiple dissonance model. On the condition of multiple model, the promotion-focused message is more effective and there is no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 between the promotion-focused message and prevention-focused message on the condition of single model. And then it was proved that for dependent consumer multiple model is effective and for independent consumer single model is effective. In the purpose of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this research therefore presents the overall perspectives of the advertising effect of multiple models including moderating roles of message regulatory focus and self-construal in terms of involvement, harmony and gender differenc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at multiple models, in terms of multiple source effect and social consensus, are more effective than single model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the models the effect of advertising will prove to be hig...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at multiple models, in terms of multiple source effect and social consensus, are more effective than single model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the models the effect of advertising will prove to be higher. And also,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essage regulatory focus (promotion-focused message vs. prevention-focused message) and self-construal (dependent vs. independent) on the advertising effect of multiple models. It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effects of advertising by single model, multiple harmonic model and multiple dissonance model. On the condition of multiple model, the promotion-focused message is more effective and there is no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 between the promotion-focused message and prevention-focused message on the condition of single model. And then it was proved that for dependent consumer multiple model is effective and for independent consumer single model is effective. In the purpose of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this research therefore presents the overall perspectives of the advertising effect of multiple models including moderating roles of message regulatory focus and self-construal in terms of involvement, harmony and gender differ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서론 및 연구의 목적
      •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 유명인의 효과
      • 모델 수의 증가에 따른 원천확대효과
      • 국문초록
      • 서론 및 연구의 목적
      •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 유명인의 효과
      • 모델 수의 증가에 따른 원천확대효과
      • 귀인이론
      • 조절초점의 정보처리
      • 자기해석
      • 복수모델의 조화 효과
      •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연구문제 정리
      • 연구방법
      • 실험설계의 개관
      • 광고제품 선정을 위한 사전조사
      • 광고모델 선정을 위한 사전조사
      • 메시지 유형 설정을 위한 사전조사
      • 상황적 자기해석 점화
      • 실험 광고물 제작과 측정척도
      • 자료의 분석방법
      • 연구결과
      • 측정 문항 신뢰도 검증과 조작 점검
      •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검증결과
      • 결론
      • 연구결과의 전체적 해석
      •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한준, "조절초점 성향과 제품유형에 따른 메시지 조절초점 효과에 대한 연구" 9 (9): 5-32, 2012

      2 김귀곤, "정치광고의 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한 민감성: 조절초점의 적합성 관점에서" 한국광고학회 20 (20): 83-99, 2009

      3 김영조, "자기해석의 차이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57-173, 2007

      4 강서현, "유명인 커플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모델 간의 조화와 제품 유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5 허종호, "유명인 모델의 속성과 메시지 조절초점 간의 적합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4 (24): 183-202, 2013

      6 성영신, "유명인 모델과 소비자의 성별 일치성 및 모델의 시선 대상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70) : 119-146, 2006

      7 이정교, "유명인 광고의 이해: 이론과 전략" 한경사 2012

      8 전달영, "유명인 광고모델과 일반인 모델의 광고효과" (봄) : 151-178, 1996

      9 김봉철, "유명인 광고모델 선정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광고주 및 광고 제작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 AHP분석" 한국광고학회 22 (22): 7-28, 2011

      10 박범길, "유명 광고모델의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1 (11): 155-192, 2009

      1 고한준, "조절초점 성향과 제품유형에 따른 메시지 조절초점 효과에 대한 연구" 9 (9): 5-32, 2012

      2 김귀곤, "정치광고의 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한 민감성: 조절초점의 적합성 관점에서" 한국광고학회 20 (20): 83-99, 2009

      3 김영조, "자기해석의 차이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57-173, 2007

      4 강서현, "유명인 커플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모델 간의 조화와 제품 유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5 허종호, "유명인 모델의 속성과 메시지 조절초점 간의 적합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4 (24): 183-202, 2013

      6 성영신, "유명인 모델과 소비자의 성별 일치성 및 모델의 시선 대상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70) : 119-146, 2006

      7 이정교, "유명인 광고의 이해: 이론과 전략" 한경사 2012

      8 전달영, "유명인 광고모델과 일반인 모델의 광고효과" (봄) : 151-178, 1996

      9 김봉철, "유명인 광고모델 선정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광고주 및 광고 제작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 AHP분석" 한국광고학회 22 (22): 7-28, 2011

      10 박범길, "유명 광고모델의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1 (11): 155-192, 2009

      11 이성수, "외모관련 소비행동에 대한 자기해석의 영향: 자기제시의 매개와 외모강조 상황의 조절"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1 (11): 137-157, 2010

      12 이병관, "온라인 구전(e-WOM)에서 자기해석(Self Construal)이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1 (11): 757-771, 2010

      13 김재휘, "예방행동의 결과를 얻는 시점에 따른 효과적인 설득 메시지 유형: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1 (11): 451-474, 2010

      14 서용한, "소비자 조절초점이 명품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대한경영정보학회 30 (30): 73-92, 2011

      15 김미애, "모델의 연령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5 (5): 37-59, 2012

      16 김경민, "메시지 프레이밍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품유형과 광고모델의 수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1 (11): 25-42, 2008

      17 조숙자, "대학생의 친밀-실리 관계에 대한 암묵적 표상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27-147, 2006

      18 우석봉, "광고효과에 대한 자기해석과 광고비주얼 표현의 일치성 여부의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 한국광고학회 23 (23): 47-69, 2012

      19 김완석, "광고태도가 상표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상표친숙도의 영향" (봄) : 31-49, 1997

      20 류강석, "광고모델의 인종구성이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가 제품원산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5 (15): 277-296, 2004

      21 김경민, "광고모델의 수와 광고형태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1-15, 2007

      22 김경민, "광고모델의 수와 광고제시형태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4 (14): 71-90, 2009

      23 김재휘, "광고모델의 설득 효과: 모델의 수와 인종에 관한 사회적 추론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9 (9): 333-354, 2008

      24 엄남현, "광고 대행사에서 근무하는 광고인들의 유명인 옹호 광고에 대한 태도 연구 : 심층 인터뷰를 통한 탐색적 고찰" 한국광고PR실학회 9 (9): 49-67, 2016

      25 김재휘, "건강예방행동 촉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 프레이밍과 시점-간 선택에서의 근시안적 편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2 (22): 111-133, 2011

      26 김완석, "객체화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 자기해석의 관계: 한국·중국·일본 여대생 비교"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23-46, 2009

      27 McCraken, G.,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16 : 310-321, 1989

      28 Mogilner, C., "Time will tell: Distant appeal of promotion and imminent appeal of prevention" 34 : 670-681, 2008

      29 Wang, J., "The role of regulatory focus in preference construction" 43 (43): 28-38, 2006

      30 Liberman, N., "The role of feasibility and desirability consideration in near and distant future decisions: A test of temporal constant theory" 75 : 5-18, 1998

      31 Lynch, J., "The match up effect of spokesperson and product congruence: a schema theory interpretation" 11 (11): 417-445, 1994

      32 Baker, M. J.,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14 (14): 538-555, 1997

      33 Harkins, S. G., "The effects of source magnification of cognitive effort on attitu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view" 40 : 401-413, 1981

      34 Tripp, C., "The effect of single versus multiple product endorsement" University of Arkansas 1990

      35 도선재, "TV 광고의 모델 사용 유형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광고학회 19 (19): 49-74, 2008

      36 Moore, D. J., "Source magnification: The role of multiple sources in the processing of advertising appeals" 24 : 412-417, 1987

      37 Milyavskata, M., "Seeking social connectedness: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impression formation using photographic cues of social connectedness" 150 (150): 689-702, 2010

      38 Pennnington, G. L., "Regulatory focus and temporal distance" 39 (39): 563-576, 2003

      39 Crowe, E., "Regulatory focus and strategic inclinations: promotion and prevention in decision-making" 69 : 117-132, 1997

      40 Higgins, E. T.,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30 : 1-46, 1998

      41 Kahle, L. R.,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celebrity endorser: A social adaptation perspective" 11 : 954-961, 1985

      42 Mowen, John C, "On explaining and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s" 8 (8): 437-441, 1981

      43 Till, B. D., "Matching products with endorsers: Attractive versus expertise" 15 (15): 576-586, 1998

      44 Burnkrant, R. E., "Influence of other people on consumer attributions toward brand and person" 10 (10): 319-338, 1982

      45 趙盛謙, "Fishbein의 多次元的 態度模型의 妥當性에 관한 檢證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46 Shah, J., "Expectancy value effects: Regulatory focus as determinant of magnitude and direction" 73 (73): 447-458, 1997

      47 Higgins, E. T., "Emotional responses to goal attainment: Strength of regulatory focus as moderator" 72 (72): 515-525, 1997

      48 Alba, J. W.,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13 : 411-454, 1987

      49 Hofstede, G., "Cultures and organization" MaGraw Hill 1991

      50 Nisbett, R. E., "Culture and systems of thought : Holistic versus analytical cognition" 108 (108): 291-310, 2001

      51 Markus, H. R., "Culture and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98 : 224-253, 1991

      52 Roese, N. J., "Counterfactual thinking and regulatory focus:Implications for action versus inaction and sufficiency versus necessity" 77 : 1109-1120, 1999

      53 Trope, Y.,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117 (117): 440-463, 2010

      54 Kamins, M. A., "Congruence between spokesperson and product type:A Match-up Hypothesis Perspective" 11 (11): 569-586, 1994

      55 DeSarbo, W., "Celebrity-brand congruence analysis" 8 (8): 17-52, 1985

      56 Misra, S., "Celebrity spokesperson and brand congruence: An assessment of recall and affect" 21 (21): 159-171, 1990

      57 Erdogan, Z., "Celebrity endorsement: Advertising agency manager’s perspective" 13 : 1-15, 2000

      58 Lee, A. Y., "Bringing the frame into focus: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it on processing fluency and persuasion" 86 (86): 205-218, 2004

      59 Higgins, E. T., "Beyond pleasure and pain" 52 (52): 1-46, 1997

      60 Sparkman Jr, R. M., "Attribution theory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7 : 219-224, 1980

      61 Kamins, M. A., "An investigation into the ‘match-up’ hypothesis in celebrity advertising: When beauty may be only skin deep" 19 (19): 4-13, 1990

      62 Hsu, C. -K., "An examination on multiple celebrity endorsers in advertising" 11 (11): 19-29, 2002

      63 Freiden, J. B., "Advertising spokesperson effects: An examination of endorser type and gender on two audiences" 24 (24): 33-41, 1984

      64 Belch, G. E., "Advertising and promotion: An inter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perspective" McGraw-Hill Irwin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6 1.39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