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고등학생의 데이팅 폭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90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were 548 adolescents in high schools.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t-test, ANOVA, and correlation by using the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58.6% of respondents have had one or more dates with the other sex, so the association with the other sex is remarkably universal and natural. (2) In the case of physical violence, 18.5% claimed that they have been injured in some ways, and 18.3% said some kind of harm was done to them. (3) In terms of psychological violence, 32.8% reported psychological damage and 35.6% reported being harmed. (4) In terms of sexual violence, 20.8% reported damage, while 18.2% said they were harmed. (5)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experience of violence. (6) When we looked at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s, we found that boys rather than girl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rather than academic school students have more violent experien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were 548 adolescents in high schools.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t-test, ANOVA, and correlation b...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were 548 adolescents in high schools.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t-test, ANOVA, and correlation by using the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58.6% of respondents have had one or more dates with the other sex, so the association with the other sex is remarkably universal and natural. (2) In the case of physical violence, 18.5% claimed that they have been injured in some ways, and 18.3% said some kind of harm was done to them. (3) In terms of psychological violence, 32.8% reported psychological damage and 35.6% reported being harmed. (4) In terms of sexual violence, 20.8% reported damage, while 18.2% said they were harmed. (5)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experience of violence. (6) When we looked at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s, we found that boys rather than girl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rather than academic school students have more violent experi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혼전 단계의 폭력 -1990년대의 문헌 고찰-" 37 (37): 129-140, 1999

      2 "현대 가족학" 학지사 194-196, 2001

      3 "청소년의 이성교제에 대한 실태 연구" 1996

      4 "청소년의 성에 관한 연구" 1996

      5 "청소년의 부모 폭력에 관한 연구-가정환경과 관련하여-" 37 (37): 123-137, 1999

      6 "청소년 성문화를 통해 본 성폭력 실태 및 대책" 1996

      7 "청년 발달의 이해" 1999

      8 "지속적인 이성교제에서의 갈등 표출 행동" 1993

      9 "중학생들의 이성교제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1984

      10 "이성교제에 관한 연구" 1975

      1 "혼전 단계의 폭력 -1990년대의 문헌 고찰-" 37 (37): 129-140, 1999

      2 "현대 가족학" 학지사 194-196, 2001

      3 "청소년의 이성교제에 대한 실태 연구" 1996

      4 "청소년의 성에 관한 연구" 1996

      5 "청소년의 부모 폭력에 관한 연구-가정환경과 관련하여-" 37 (37): 123-137, 1999

      6 "청소년 성문화를 통해 본 성폭력 실태 및 대책" 1996

      7 "청년 발달의 이해" 1999

      8 "지속적인 이성교제에서의 갈등 표출 행동" 1993

      9 "중학생들의 이성교제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1984

      10 "이성교제에 관한 연구" 1975

      11 "이성교제 중 발생한 폭력" 36 (36): 49-61, 1998

      12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와 교제폭력의 실태에 관한 연구" 2001

      13 "미혼 대학생의 혼전 단계에서의 신체적 폭력의 경험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14 (14): 187-197, 1996

      14 "미혼 남녀의 개인적 상황적 변인이 데이팅 폭력에 미치는 영향" 43-63, 2003

      15 "도시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문제와 성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성교육 실시의 타당성과 성교육 지도 방향 개선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1993

      16 "데이팅 관계에서 폭력집단의 특성과 신체적 폭력 발생의 맥락" 4 (4): 187-211, 1999b

      17 "데이트 폭력 경험자들의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 353-368, 2002

      18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37 (37): 73-90, 1999

      1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37 (37): 72-89, 1999

      20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73-91, 2003

      21 "대학생들의 데이팅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 가해자를 중심으로-" 27-42, 1999a

      22 "대학 내 성폭력 관련 정책" 95-, 2001

      23 "농촌지역 청소년들의 이성교제 성행동과 성교육에 관한 연구" 1998

      24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성교제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서울 시내 남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1982

      25 "Violence in the context of dating and sex" 6 : 45-59, 1985

      26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1989

      27 "Romance and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Issues 4" 467-482, 1983

      28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hysical aggression during courtship" 82-90, 1987

      29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12 (12): 1997

      30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Risk factors and adaptations to violence in 8" Transaction press 145-, 1990

      31 "Multiple correlate of physical aggression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5" 61-73, 1990

      32 "Interactive process in dating aggress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iolence 6" 97-113, 1992

      33 "Incidence in a national sample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247-256, 1991

      34 "Factors mediating the link between witnessing interparental and dating violence" 13 (13): 39-57, 1998

      35 "Courtship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97-102, 1981

      36 "Contextual factors surrounding conflict resolution while dating 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29-36, 1991

      37 "Abuse and aggression in court couples" 3 : 229-244, 1982

      38 "94 여학생 대학생활, 취업준비, 성의식에 관한 실태 조사" 94-,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7 0.85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