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의 지진재난 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the government'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aster 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82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were verified. Metho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fire officials, and the survey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25.0 program. Resul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which is a factor i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which is a factor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Conclusion: Th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could be obtained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s in Korea.
      번역하기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were verified. Me...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were verified. Metho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fire officials, and the survey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25.0 program. Resul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which is a factor i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which is a factor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Conclusion: Th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could be obtained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s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의 주체인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재난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자료는 SPSS 25.0 프로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지진 재난대응역량은 재난관리 운영성과 요인인 재난 사전예방준비 뿐만 아니라, 재난 사후대응관리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진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은 재난관리 운영성과 요인인 재난 사전예방준비 뿐만 아니라, 재난 사후대응관리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지진대비 재난관리의 운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의 주체인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재난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의 주체인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재난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자료는 SPSS 25.0 프로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지진 재난대응역량은 재난관리 운영성과 요인인 재난 사전예방준비 뿐만 아니라, 재난 사후대응관리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진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은 재난관리 운영성과 요인인 재난 사전예방준비 뿐만 아니라, 재난 사후대응관리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지진대비 재난관리의 운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석현, "폐기학습 이론의 우리나라 재해재난관리정책에의 함의: 예방계획 및 관리원칙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8 (48): 407-433, 2014

      2 최용호, "지방정부의 사전대비 재난관리체제 효율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민호, "우리나라 국방 재난관리 체계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32 (32): 105-111, 2017

      4 Zimmerman, R., "The relationship of emergency management to governmental policies on man-made technological disasters" 45 : 46-55, 1985

      5 Kim, K. R., "Introduction to Disaster Management" Jeonghoon Publication 2013

      6 Mushkatel, A. H., "Emergency management and the intergovernmental system" 45 : 123-126, 1985

      7 Quarantelli, E. L., "Disaster crisis management : A summary of research finding" 25 (25): 78-89, 1988

      8 Yang, K. 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2006

      9 Byun, W. T.,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Prevention-focused on Perception of Residents for Earthquak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18

      10 Ko, I. J.,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Establish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ssessment System : Focusing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Graduate School of Jeju University 2015

      1 조석현, "폐기학습 이론의 우리나라 재해재난관리정책에의 함의: 예방계획 및 관리원칙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8 (48): 407-433, 2014

      2 최용호, "지방정부의 사전대비 재난관리체제 효율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민호, "우리나라 국방 재난관리 체계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32 (32): 105-111, 2017

      4 Zimmerman, R., "The relationship of emergency management to governmental policies on man-made technological disasters" 45 : 46-55, 1985

      5 Kim, K. R., "Introduction to Disaster Management" Jeonghoon Publication 2013

      6 Mushkatel, A. H., "Emergency management and the intergovernmental system" 45 : 123-126, 1985

      7 Quarantelli, E. L., "Disaster crisis management : A summary of research finding" 25 (25): 78-89, 1988

      8 Yang, K. 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2006

      9 Byun, W. T.,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Prevention-focused on Perception of Residents for Earthquak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18

      10 Ko, I. J.,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Establish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ssessment System : Focusing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Graduate School of Jeju University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7-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재정보학회 -> 한국재난정보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742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