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모의실제수업 모형 적용의 의미 탐색 = Exploration of the meaning on the application of Real Simulation Teach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57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모의수업과 현장 수업의 다름으로 인하여 겪고 있는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K대학의 모의실제수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지난 10개 학기동안 K대...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모의수업과 현장 수업의 다름으로 인하여 겪고 있는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K대학의 모의실제수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지난 10개 학기동안 K대학에서 실시한 모의실제수업의 전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운영과정의 특성화를 통해서 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고 있었고, 제3학년 1학기 「유아교과교육론」, 제2학기 「영유아교수방법」의 수업시간에 지역사회 유아교육기관 유아가 참여하는 모의실제수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모의실제수업 계획과 유아교육기관 참여 계획을 동시에 수립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여러 가지 준비는 역할조로 구성하여 담당할 일을 수행하였다. 모의실제수업 후에는 통합평가를 실시하여 모의실제수업의 전 과정을 회고하도록 하고 있었다. 모의실제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현장적응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al simulation teaching at university K, which has been conducted to eliminate uncertainty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due to differences between simulation teaching and actual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al simulation teaching at university K, which has been conducted to eliminate uncertainty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due to differences between simulation teaching and actual teaching. Data that were produced in every process of real simulation teaching at the university during the past 10 semesters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is university tried to reconcile theory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specialize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real simulation teaching was actually provided for preschoolers who attended lo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uring the course of 「The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in the first semester of third year and during another course of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same third year. Plans on real simulation teaching and another plan 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mapped out at the same time to make it happen. The students who offered real simulation teaching made preparations for that after they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and decided what to do in each group. After providing real simulation teaching, integrated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reflect on every process of it. real simulation teaching is expected to be effective at boosting the adjust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each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해미,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539-555, 2009

      2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 본 아동 이해의문제" 6 (6): 96-110, 1997

      3 권은주,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 - 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57-82, 2010

      4 이경민,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수업’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09-144, 2009

      5 전경원, "유아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교문사 2008

      6 황윤세, "유아교사론 교과목에서의 “개념도와 학습주기를 활용한 맥락적 수업”의 적용과정"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47-65, 2009

      7 김현주, "유아교사론" 정민사 2011

      8 이경화,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가르침의 순간’의 의미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5-196, 2014

      9 임우영,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323-350, 2011

      10 임부연, "유아교과교육론" 공동체 2013

      1 박해미,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539-555, 2009

      2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 본 아동 이해의문제" 6 (6): 96-110, 1997

      3 권은주,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 - 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57-82, 2010

      4 이경민,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수업’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09-144, 2009

      5 전경원, "유아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교문사 2008

      6 황윤세, "유아교사론 교과목에서의 “개념도와 학습주기를 활용한 맥락적 수업”의 적용과정"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47-65, 2009

      7 김현주, "유아교사론" 정민사 2011

      8 이경화,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가르침의 순간’의 의미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5-196, 2014

      9 임우영,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323-350, 2011

      10 임부연, "유아교과교육론" 공동체 2013

      11 곽현주, "유아교과교육론" 정민사 2014

      12 김연진, "유아건강교육" 동문사 2010

      13 성은영, "예비유아교사의 발문 증진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탐색-발문 특성 및 발문에 대한 어려움과 요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59-184, 2008

      14 마지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과 현장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51-273, 2010

      15 홍은주,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 및 모의수업 경험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대한아동복지학회 10 (10): 23-40, 2012

      16 이대균, "예비유아교사들의 첫 모의수업에 나타난 수업의 특징과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수업분석의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267-288, 2012

      17 조희정,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563-587, 2012

      18 김경철,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한 수업분석의 경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99-424, 2010

      19 김정원,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공동체 2013

      20 김미량, "영유아교수방법론" 공동체 2013

      21 임부연, "영유아 교수·학습방법" 동문사 2013

      22 박은혜, "수업사례활동의 효과에 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평가" 11 (11): 105-125, 2002

      23 이혁규, "수업 비평의 이론과 실제" 교육공동체 벗 2014

      24 백순근, "비디오 포트폴리오 평가가 중등 예비교사의 발표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9 (9): 107-127, 2008

      25 Dewey. J.,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87

      26 박영예, "모의수업을 통한 예비 초등영어 교사의 반성적 교수활동 분석" 신영어영문학회 42 (42): 203-230, 2009

      27 김경철,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 양성교육이 예비 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25-150, 2009

      28 유혜령, "교육현상학적 질적 연구에서의 성찰과 연구 기법의 문제"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37-46, 2009

      29 조무남, "교육학론" 학지사 2006

      30 주삼환,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장학의 이론과기법" 양서원 2003

      31 구정모, "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원격 연수에 마이크로티칭 기법의 적용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2004

      32 Edwards, C.,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blex 151-169, 1993

      33 조희정, "ASSURE 이론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의모의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83-106, 2013

      34 이연승, "2·3년제 대학의 교육 실습과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1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