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연소시험을 통한 실내마감재의 유해성 및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azardousness and Fire Risk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rough Combustion 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49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normal building fires, the main risk of combustion expansion is not only the combustibles materials in a building but also the risk to the spread of surface combustion of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gulate the methods and standards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f flame retardant in fire law and building ordinances. In this study, the fir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re analyzed through the cone-calorimeter test,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test and the VSR measuring test of building material. First, the results of the cone-calorimeter test confirmed that the ignition and flame combustion were started as soon as the radiant heat shield was removed, which could be a rapid propagation factor of the flame in the event of fire. Second, the results of the VSR measuring test showed that harmful gases for human body were released from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s observed from the result of examination,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five species including form blocks) should be used not only in the multi-use facilities occupied by unspecified majority but also in residences because of the sudden increase of the combustion in case of fire. Hence, it is urgent to limit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based on the use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e maximum thermal discharge rate and the emission of harmful gases.
      번역하기

      In normal building fires, the main risk of combustion expansion is not only the combustibles materials in a building but also the risk to the spread of surface combustion of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gulate the ...

      In normal building fires, the main risk of combustion expansion is not only the combustibles materials in a building but also the risk to the spread of surface combustion of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gulate the methods and standards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f flame retardant in fire law and building ordinances. In this study, the fir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re analyzed through the cone-calorimeter test,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test and the VSR measuring test of building material. First, the results of the cone-calorimeter test confirmed that the ignition and flame combustion were started as soon as the radiant heat shield was removed, which could be a rapid propagation factor of the flame in the event of fire. Second, the results of the VSR measuring test showed that harmful gases for human body were released from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s observed from the result of examination,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five species including form blocks) should be used not only in the multi-use facilities occupied by unspecified majority but also in residences because of the sudden increase of the combustion in case of fire. Hence, it is urgent to limit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based on the use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e maximum thermal discharge rate and the emission of harmful ga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훈, "화재조사 이론과 실무" 동화기술 2019

      2 이창우, "화재조사 감식기술" 성안당 2017

      3 한봉훈 ; 민세홍, "화염전파성시험을 통한 폼블럭의 화재특성 연구" 한국방재학회 18 (18): 189-196, 2018

      4 산업표준심의회, "한국산업표준 KS F ISO 5660-1:2021 연소성능시험-열방출률, 연기발생률, 질량감소율-제1부: 열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및 연기발생률(동적 측정)" 2021

      5 한봉훈 ; 서동호 ; 권영희 ; 민세홍, "콘칼로리미터와 적외선분광계(FTIR)를 이용한 폼블럭의 연소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23-32, 2017

      6 박영주 ; 이해평, "주택화재에서 실내벽지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6 (16): 261-267, 2016

      7 박영주 ; 이해평 ; 김해림, "주택화재 감식을 위한 바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1 (11): 197-206, 2011

      8 서현정 ; 손동원, "주요 건축 내장재의 연소가스 유해성 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 29 (29): 49-56, 2015

      9 한봉훈, "연소시험에 의한 폼블럭 실내마감재의 화재위험성 평가・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9

      10 국가기술표준원, "안전기준 준수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21-489호) 제2조2항23호 23. 부속서 23(벽지 및 종이장판지)"

      1 이승훈, "화재조사 이론과 실무" 동화기술 2019

      2 이창우, "화재조사 감식기술" 성안당 2017

      3 한봉훈 ; 민세홍, "화염전파성시험을 통한 폼블럭의 화재특성 연구" 한국방재학회 18 (18): 189-196, 2018

      4 산업표준심의회, "한국산업표준 KS F ISO 5660-1:2021 연소성능시험-열방출률, 연기발생률, 질량감소율-제1부: 열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및 연기발생률(동적 측정)" 2021

      5 한봉훈 ; 서동호 ; 권영희 ; 민세홍, "콘칼로리미터와 적외선분광계(FTIR)를 이용한 폼블럭의 연소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23-32, 2017

      6 박영주 ; 이해평, "주택화재에서 실내벽지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6 (16): 261-267, 2016

      7 박영주 ; 이해평 ; 김해림, "주택화재 감식을 위한 바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1 (11): 197-206, 2011

      8 서현정 ; 손동원, "주요 건축 내장재의 연소가스 유해성 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 29 (29): 49-56, 2015

      9 한봉훈, "연소시험에 의한 폼블럭 실내마감재의 화재위험성 평가・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9

      10 국가기술표준원, "안전기준 준수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21-489호) 제2조2항23호 23. 부속서 23(벽지 및 종이장판지)"

      11 ㈜BK인스트루먼트, "실내마감재(5종) VSR 측정 보고서" 2022

      12 김시윤, "실내 장식용 벽지의 방염처리에 따른 난연성 증가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13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NFDS, National Fire Data System)"

      14 박미라 ; 김광일 ; 김태구, "벽지의 종합적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17 (17): 33-39, 2003

      15 최연이, "벽면 내장재로서의 벽지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6

      16 소방청, "방염성능기준(소방청고시 제2021-7호)"

      17 김용성 ; 조성오, "다중이용업소 실내마감재료 사용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216-224, 2013

      18 오규형 ; 최연이 ; 이성은, "내장벽지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1 (21): 90-97, 2007

      19 윤희상, "건축내장재 화재위험성 평가방법의 국제 동향"

      20 ㈜BK인스트루먼트, "[ENVEX 2021] BKI-VSR 소개 보고서" 2021

      21 한국소방산업기술원, "KFI 시험성적서(제2200634호-제2200638호)"

      22 한국소비자원, "DIY 벽지 안전성 조사"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