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30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factors anticipated to affect sustainability of Korean agriculture are identified and selected, th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one are analyzed. To this end, the OECD policy analysis framework is employed to serve as a theo...

      In this study, the factors anticipated to affect sustainability of Korean agriculture are identified and selected, th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one are analyzed. To this end, the OECD policy analysis framework is employed to serve as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in that it contains a lot of relevant factors and/or sectors not only within agricultural sector but others interacting with the sector. Following the framework, the sustainability-related factors are allocated into economic, societ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and again belonged to more detailed group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s then conducted to quantitatively determine which factors are of higher priority and which problems are to be tackled imperatively. A comprehensive sustainability level of Korean agriculture assessed by the Sustainability Composite Index (SCI) was 56.1 points (out of 100 points) indicating tha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various sectors. Especially, the achievement level of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as low in the agricultural policy sector. It also shows that agricultural production and food safety, policy implementation capacities, and aging rural population have priority to be improved among the detailed indica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호, "현 정부 농정의 중간 평가와 개선과제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2011

      2 정정길, "행정과정책연구를위한시차적(時差的) 접근방법: 제도의 정합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1-19, 2002

      3 이용기, "한국 농축산물의 잠재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34 (34): 99-125, 2009

      4 김형성, "한국 농업정책의 시차적 접근-농가소득지원 정책과 농업구조조정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69-201, 2009

      5 "통계청"

      6 정학균, "친환경농업 직접지불제 개편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7 최양부, "지속가능한 생태농업을 향한 새 도전: 생태문명 시대 농의 생태화를 위한 새도전과 과제" 2018

      8 김창길,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 구축 연구(1/2차 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9 황수철, "지속가능성과 다기능성 기반의 농업발전 전략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018

      10 정정길, "정책과 제도의 변화과정과 인과법칙의 동태적 성격- 시차적(時差的) 접근방법 (Time Lag Approach)을 위한 제언 -" 한국정책학회 11 (11): 255-272, 2002

      1 이태호, "현 정부 농정의 중간 평가와 개선과제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2011

      2 정정길, "행정과정책연구를위한시차적(時差的) 접근방법: 제도의 정합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1-19, 2002

      3 이용기, "한국 농축산물의 잠재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34 (34): 99-125, 2009

      4 김형성, "한국 농업정책의 시차적 접근-농가소득지원 정책과 농업구조조정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69-201, 2009

      5 "통계청"

      6 정학균, "친환경농업 직접지불제 개편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7 최양부, "지속가능한 생태농업을 향한 새 도전: 생태문명 시대 농의 생태화를 위한 새도전과 과제" 2018

      8 김창길,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 구축 연구(1/2차 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9 황수철, "지속가능성과 다기능성 기반의 농업발전 전략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018

      10 정정길, "정책과 제도의 변화과정과 인과법칙의 동태적 성격- 시차적(時差的) 접근방법 (Time Lag Approach)을 위한 제언 -" 한국정책학회 11 (11): 255-272, 2002

      11 최종원, "시차이론과 행정개혁" 한국행정학회 37 (37): 289-305, 2003

      12 농촌진흥청, "농촌지도사업보고서" 2016

      13 박대식,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1/2차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14 황수철, "농정패러다임은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가?" 51 : 189-217, 2014

      15 황영모,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지원 프로그램 연구" 전북연구원 2016

      16 김수석, "농업・농촌분야 사회갈등 관리실태와 개선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17 농림부, "농업・농촌 발전기본계획" 2004

      18 김창길, "농업환경지표를 활용한 농업환경자원 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19 김태영, "농업환경보전 실천기술 도입 이론적 배경 및 우선순위 평가" 232-233, 2018

      20 이병훈, "농업총조사에 의한 시・군별 농업경쟁력 평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21 이춘수, "국가별 농업경쟁력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한국농식품정책학회 41 (41): 666-700, 2014

      22 김홍상, "’18~’22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23 "WORLD BANK DATABANK"

      24 "USDA ERS"

      25 "UNESCO"

      26 Sydorovych, O, "The meaning of agricultural sustainability: Evidence from a conjoint choice survey" 98 (98): 10-20, 2008

      27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6-2017" 2016

      28 Yunlong, C, "Sustainability in agriculture: a general review" 49 (49): 299-307, 1994

      29 von Wirén-Lehr, S, "Sustainability in agriculture - an evaluation of principal goaloriented concepts to clos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84 (84): 115-129, 2001

      30 "SCImago"

      31 "SAI PLATFORM"

      32 FAO, "Roles of Agriculture Project: Project Brief" 2007

      33 UN,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ur Common Future" 1987

      34 "OECD STATS"

      35 EU Commission, "Indicators for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Concerns into the Common Agriculture Policy" 2000

      36 Martilla, J,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1 (41): 77-79, 1977

      37 "IMF"

      38 IMD,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39 "GFSI"

      40 Prändl-Zika, V, "From subsistence farming towards a multifunctional agriculture: Sustainability in the Chinese rural reality" 87 (87): 236-248, 2008

      41 Giovannucci, D., "Food and Agriculture: the future of sustainability" United Nations 2012

      42 Binder, C. R., "Considering the normative, systemic and procedural dimensions in indicator-based sustainability assessments in agriculture" 30 (30): 71-81, 2010

      43 OECD, "Analysing Policies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vity Growth"

      44 EU Commission, "A Frame for Indicators for the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 of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2001

      45 농림축산식품부, "2018-2022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2018

      46 농림축산식품부, "2013-2017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2013

      47 농림부, "2008-2013 농업・농촌 발전기본계획"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정책학회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and Food Polic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2 0.52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