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요 국가별 병행수입 허용 기준에 관한 법ㆍ제도의 비교 및 시사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99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allel imports, also called gray market imports, are genuine goods produced under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IPRs), sold into one market, and then brought legally into another market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loca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IPR) owner.
      This paper provides parallel imports legal issues of United States of America, European Union and the republic of Korea under the IPR laws such as patent, trademarks, copyright and analyzes difference among countries.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arallel imports rul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uropean Union 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some implications through comparative legal analysis and concludes wit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of all, there is no need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legislate a law for activating parallel imports, and the republic of Korea makes well use of current resources(notice and announcement) enacted by Korea Customs Service. Second,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install a information sharing organization through inter-governmental linkage to support parallel imports. Third, Korea’s rule and system on parallel imports is similar to that of United States of America. So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learn how to operate from the United States.
      번역하기

      Parallel imports, also called gray market imports, are genuine goods produced under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IPRs), sold into one market, and then brought legally into another market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local intellectu...

      Parallel imports, also called gray market imports, are genuine goods produced under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IPRs), sold into one market, and then brought legally into another market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loca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IPR) owner.
      This paper provides parallel imports legal issues of United States of America, European Union and the republic of Korea under the IPR laws such as patent, trademarks, copyright and analyzes difference among countries.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arallel imports rul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uropean Union 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some implications through comparative legal analysis and concludes wit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of all, there is no need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legislate a law for activating parallel imports, and the republic of Korea makes well use of current resources(notice and announcement) enacted by Korea Customs Service. Second,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install a information sharing organization through inter-governmental linkage to support parallel imports. Third, Korea’s rule and system on parallel imports is similar to that of United States of America. So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learn how to operate from the United Stat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흥중, "할당관세 적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관세학회 8 (8): 49-68, 2007

      2 황의청, "한국과 중국의 병행수입제도에 관한 비교연구- 지적재산권을 중심으로" 한국통상정보학회 16 (16): 77-100, 2014

      3 최순용,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에 관한 연구" 73 : 104-112, 1994

      4 이상정,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에 관한 연구" 32 (32): 113-114, 1997

      5 맹정환, "저작권의 국제적 소진 이론에 대한 연구 : 미국 연방대법원 Kirtsaeng v. John Wiley & Sons, Inc. 133 S.CT. 1351(2013) 판결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여" 9 (9): 36-59, 2013

      6 배금자, "저작권에 있어서의 병행수입문제" 30 : 167-168, 2003

      7 구희령, "유명 해외 브랜드 반값에 … 병행수입 문 활짝 연다"

      8 "서울 고등법원 판례 98나35466(1999.6.22 판결)"

      9 박준석, "상표상품만의 병행수입론 논의를 넘어 특허 -상표-저작권 전반의 권리소진 이론으로(하)" 한국법학원 (133) : 159-193, 2012

      10 박준석, "상표상품만의 병행수입론 논의를 넘어 특허-상표-저작권 전반의 권리소진 이론으로" 한국법학원 (132) : 199-228, 2012

      1 강흥중, "할당관세 적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관세학회 8 (8): 49-68, 2007

      2 황의청, "한국과 중국의 병행수입제도에 관한 비교연구- 지적재산권을 중심으로" 한국통상정보학회 16 (16): 77-100, 2014

      3 최순용,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에 관한 연구" 73 : 104-112, 1994

      4 이상정,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에 관한 연구" 32 (32): 113-114, 1997

      5 맹정환, "저작권의 국제적 소진 이론에 대한 연구 : 미국 연방대법원 Kirtsaeng v. John Wiley & Sons, Inc. 133 S.CT. 1351(2013) 판결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여" 9 (9): 36-59, 2013

      6 배금자, "저작권에 있어서의 병행수입문제" 30 : 167-168, 2003

      7 구희령, "유명 해외 브랜드 반값에 … 병행수입 문 활짝 연다"

      8 "서울 고등법원 판례 98나35466(1999.6.22 판결)"

      9 박준석, "상표상품만의 병행수입론 논의를 넘어 특허 -상표-저작권 전반의 권리소진 이론으로(하)" 한국법학원 (133) : 159-193, 2012

      10 박준석, "상표상품만의 병행수입론 논의를 넘어 특허-상표-저작권 전반의 권리소진 이론으로" 한국법학원 (132) : 199-228, 2012

      11 "상표권 및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 비밀에 보호에 관한 법률"

      12 김재식, "병행수입품에 대한 정보비대칭과 지각된 위험의 완화 방안" 한국무역보험학회 13 (13): 47-67, 2012

      13 문병기, "병행수입, 왜 정식 수입제품보다 쌀까?"

      14 박형래, "병행수입(Parallel Imports)하의 가격과 유통경로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7 (7): 43-66, 2006

      15 박형래, "병행수입(Parallel Imports)과 최적해외시장 진입방식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9 (9): 231-249, 2008

      16 이만우, "병행수입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한국경제연구학회 2008

      17 김인철, "미국 저작권법하에서 권리소진의 원칙에 대한 소고" 한국정보법학회 14 (14): 109-140, 2010

      18 임원선, "미국 저작권법"

      19 이용근, "무역실무" 삼영사 2008

      20 노현숙,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최초판매원칙 적용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47 (47): 729-766, 2012

      21 문일환, "디지털 저작물과 권리소진 원칙-EULA 해석과 Forward-and-Delete를 중심으로" 한국정보법학회 18 (18): 139-170, 2014

      22 박성수, "디국내에 등록된 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가 부착된 상품을 수입하는 행위가 이른바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으로 인정되어 등록상표권의 침해를 구성하지 않기 위한 요건(2005. 6. 9. 선고 2002다 61965 판결 : 공2005하, 1111)"

      23 이봉의, "독점규제법상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성격과 규제체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48 (48): 237-259, 2007

      24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25 나종갑, "권리소진(權利消盡)의 원칙(First Sale Doctrine)과 진정상품(眞正商品)의 병행수입(竝行輸入, the Parallel Importation of Genuine Goods)" (여름) : 154-180, 2002

      26 김기홍, "국내 병행수입 시장의 실태분석과 향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6 (16): 3-25, 2014

      27 "관세청 고시 제2011-25호.(2011.06.23.)"

      28 "관세청 고시 제2006-20호.(2006.04.25.)"

      29 류수현, "관세법론" 무역경영사 2008

      30 고용부, "관세법령상 병행수입의 허용기준에 관한 연구" 15 : 401-427, 2003

      31 "관세법 제235조"

      32 나종갑, "知的財産權에 관한 韓美間의 通商紛爭과 眞正商品의 竝行輸入 許容法理의 再檢討" 법무부 (61) : 10-35, 2005

      33 Maskus Keith E., "Vertical price control and parallel imports :theory and evidence" 12 (12): 551-570, 2004

      34 "United States Code of Federal Regulation Title of Customs Duties"

      35 "United States Code Title 19 Customs Duties"

      36 "The Treaty Of Rome, 25 March 1957"

      37 Flath, David, "Parallel imports and the japan fair trade commission" 35 (35): 3-28, 2008

      38 Miller, Stefan M, "Parallel imports : towards a flexible uniform international rule" 15 (15): 21-43, 2009

      39 Conley, C., "Parallel imports : the tired debate of the exhaus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why the WTO should harmonize the haphazard law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189 : 190-220, 2008

      40 Abbott, F., "First report(final)to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trade law of the international law association on the subject of parallel importation" 1 : 607-636, 1998

      41 "Directive 89/104/EEC"

      42 "Directive 2008/95/EC"

      43 Richardson, Martin, "An elementary proposition concerning parallel imports" 56 : 233-245,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7 1.05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