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겨울 대성리 31인전」…대규모 현장(現場)작업 화가(畵家)—연극—음악인들 자연과「짓거리」"
2 "환경조각전"
3 박일호, "환경미술의 의미와 전망 : 생태학과 미술" 현대미술학회 6 : 67-93, 2002
4 최태만, "환경미술의 대응" 6 (6): 179-192, 1994
5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 1900년대 도입과 정착에서 오늘의 단면과 상황까지" 열화당 2013
6 "최운영과의 인터뷰, 2021.4.1"
7 "첨단 미술과 만난다: 92겨울·대성리전 25~31일, 바깥미술회 창립대회 열려"
8 "제3회 다무그룹전"
9 "제1회 다무전: 있는 것과 보이는 것"
10 "정혜령과의 인터뷰, 2021.4.26"
1 "「겨울 대성리 31인전」…대규모 현장(現場)작업 화가(畵家)—연극—음악인들 자연과「짓거리」"
2 "환경조각전"
3 박일호, "환경미술의 의미와 전망 : 생태학과 미술" 현대미술학회 6 : 67-93, 2002
4 최태만, "환경미술의 대응" 6 (6): 179-192, 1994
5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 1900년대 도입과 정착에서 오늘의 단면과 상황까지" 열화당 2013
6 "최운영과의 인터뷰, 2021.4.1"
7 "첨단 미술과 만난다: 92겨울·대성리전 25~31일, 바깥미술회 창립대회 열려"
8 "제3회 다무그룹전"
9 "제1회 다무전: 있는 것과 보이는 것"
10 "정혜령과의 인터뷰, 2021.4.26"
11 "젊은 전위의 축제 겨울·대성리전"
12 "자라섬국제바깥미술전: 화해(和諧), 그리고 은유의 숲"
13 "자라섬국제바깥미술전: 자라는 섬"
14 "자라섬국제바깥미술전: 새움트다"
15 "자라섬국제바깥미술전: 겨울 대지에 핀 꽃"
16 "임충재와의 인터뷰, 2021.7.14; 2021.11.29"
17 "인간과 자연의 관계 사색-제2회 「대성리 35인전」"
18 "열린예술: 신촌전"
19 "역사와 환경전"
20 "스케치 도시 공간 벗어나 자연을 작업현장으로"
21 "설원의「이벤트」…자연은 캔버스처럼…"
22 "서울대공원전: 울타리 새로운 경계"
23 유현주, "삶을 위한 예술, 생태예술들의 탐험" 현대미술학회 24 (24): 31-53, 2020
24 "바깥미술회"
25 구준서, "바깥미술전 기획자 최운영 인터뷰: 자라섬에서 또 다른 바깥을 찾는다" 경기문화재단 (42) : 107-, 2006
26 "바깥미술 자라섬전: 씨알하나"
27 "바깥미술 자라섬전: 대지의 신명"
28 "바깥미술 북한강전: 적응과 저항사이"
29 "바깥미술 물길전"
30 "바깥미술 두물머리전: 순환의 땅 大地를 상상하다"
31 "바깥미술 남한강전: 땅 밖의 땅 섬"
32 "바깥미술 35년 아카이브전"
33 "바깥미술 25주년 기념 세미나: 바깥미술 25년의 역사와 의미"
34 "바깥, 자라섬전: 자연 그 열림과 닫힘"
35 "바깥, 북한강전: 적응과 저항사이"
36 "바깥 난지도전: 버려진 섬, 치유의 산"
37 "땅의 힘! 바람의 힘! 자생적 삶에 스며든 沖氣와 神命"
38 "대전엑스포 ‘93"
39 정중헌, "눈덮인 산하서 젊음·예술의 집념 「겨울 대성리 31인전」…대규모 현장작업"
40 "김윤규와의 인터뷰, 2021.7.30"
41 "김용민과의 인터뷰, 2021.8.17"
42 "김경서와의 인터뷰, 2021.3.15"
43 "금강현대미술제"
44 "겨울·대성리·75인전"
45 "겨울·대성리·65인전"
46 "겨울·대성리·63인전"
47 "겨울·대성리·45인전"
48 "겨울·대성리·43인전"
49 "겨울·대성리·31인전"
50 "겨울·대성리·28인전"
51 "겨울·대성리·16인전"
52 김경서, "감추기 드러내기 있게하기 : 1981~2006 한국 자연설치미술의 새 장을 연 바깥미술 26년사" 다빈치 2006
53 "’96 열린예술-대성리전- 自然·自然·自然"
54 "‘87 겨울대성리전"
55 Sooran Choi, "The South Korean “Meta-Avant-Garde,” 1961~1993: Subterfuge as Radical Agency"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18
56 "2017 세미원-두물경을 잇는 바깥미술, 두강이 만나다"
57 "1990 지구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