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 마을기 놀이 용어 사용과 제 양상의 사회문화적의미를 살펴 합리적인 용어 정립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쓰여 진 것이다. 마을공동체가 주도하는 마을기 문화는 한반도의 동, 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73581
2018
Korean
마을기 ; 마을기 놀이 ; 기세배 ; 전주기접놀이 ; 서낭대 싸움 ; 공동체문화 ; 재맥락화 ; 기세움 ; Village flag(Ma-uel-gi) ; Village flag playings(Ma-uel-gi no-ri) ; flag bowing(gi-se-bae) ; flag contact playing in Jeon-ju(Jeon-ju gi-jeop no-ri) ; the sticks of local god fighting(Seo-nang-dae sa-um) ; the culture of community ; recontextualization ; flag raising (gi-se-um)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05-234(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 마을기 놀이 용어 사용과 제 양상의 사회문화적의미를 살펴 합리적인 용어 정립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쓰여 진 것이다. 마을공동체가 주도하는 마을기 문화는 한반도의 동, 서...
이 글은 한국 마을기 놀이 용어 사용과 제 양상의 사회문화적의미를 살펴 합리적인 용어 정립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쓰여 진 것이다. 마을공동체가 주도하는 마을기 문화는 한반도의 동, 서편에 있는 여러 마을들에서 전승되고 있는데 동편의 경상도 지역은 마을신인 서남이 중심을 이루는 서낭기로, 서편의 경기, 충청, 전라도 지역은 농사활동과 밀접한 마을기로 호명되고 있었다. 마을기 용어는 기폭의 형상이나 문자, 크기, 성격 등을 기준으로 있다.
마을기로 행해지는 마을기 놀이 용어는 그 기반이 되는 마을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데 마을문화가 근대자본주의 이행과정에 소멸되며 기능이 축소되자 국가 또는 지식인들이 선택적으로 마을기 놀이를 복원, 보존하면서 문화자원화가 되었고 이 과정에 마을기놀이 민속의 재맥락화가 이루어지면서 ‘전주기접놀이’와 ‘익산금마기세배놀이’, 경남 창녕 ‘서낭 대싸움’ 등의 용어로 마을기 놀이 용어가 고착화 되었다. 다양한 놀이 용어가 기세배, 전주기접놀이, 서낭대 싸움 정도로 획일화되면서 공동체 문화를 표상하던 본질적 특성이 왜곡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용어들은 마을문화에 기반 하지 못한 채 지역을 대표하는 민속용어로 변화되고 지역발전을 상징하는 브랜드 용어로 고착화되어 사용되고 있고 각각의 놀이용어는 이렇다 할 기준이 없이 명명되며 사용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마을기 놀이 주체들이 자신들의 마을이름을 사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한편으로는 마을기 놀이 용어를 포괄할 수 있는 용어의 필요성이 제기되기에 각각의 명칭이 아닌 ‘기세움’ 놀이로 총칭할 것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reasonable ways of establishing the terms of Korean village flag playing (Ma-uel-gi no-ri) through examining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ir current usage and their phases. The cultures of Village 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reasonable ways of establishing the terms of Korean village flag playing (Ma-uel-gi no-ri) through examining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ir current usage and their phases.
The cultures of Village flag (Ma-uel-gi) which are led by the village community are handed down in many villages in the western and eastern areas in Korea. The village flags were called the flags of local god (Seo-nang-gi), where the local god (Seo-nang) are the main, in the eastern areas such as Kyung-sang province, while they were called Village flag (Ma-uel-gi),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agriculture, in the western areas such as Kyung-gi, Chung-chung, and Chulla provinces. The terms of village flags are based on the shapes of the flags, the letters on them, their sizes, and their characteristics, etc.
The terms of Village flag playing (Ma-uel-gi no-ri) are influenced by the cultural changes of the villages which they are grounded on. As the culture of the villages become extinct and reduced during die process of the transition to the capitalism, same intellectuals and the nation pick and choose to restore or preserve some of Village flag playings (Ma-uel-gi no-ri). Meanwhile, the folklore of Village flag playings (Ma-uel-gi no-ri) become recontextualized, and the terms such as ‘flag contact playing in Jeon-ju (Jeon-ju gi-jeop no-ri)’, ‘flag bow playing in Gum-ma, Ik-san (Ik-san Gum-ma gi-se-bae no-ri)’, ‘the sticks of local god fighting (Seo-nang-dae sa-um)’ in Chang-nyung, Kyung-nam porvince, ect. are stuck and fixed.
It is thought to make the intrinsic nature of village flag playing distorted and perverted drat various terms of the playing are standardized into only a few terms like gi-se-bae, Jeon-ju gi-jeop no-ri, and Seo-nang-dae sa-um, etc, for village flag is fundamentally intended to symbolize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of a village. These terms are used without any foundation of a village culture, and they are altered into the representative folk terms of some region or become fixed as a brand name of a region to symbolize its development. Futhermore, there are not any criteria for distinguishing and naming the terms. Therefore, the subjects of village flag playing need to make effort to use their own village name in village flag playing and the general term which can include each term of village flag playing should be established. The term, flag raising (gi-se-um) will be appropriate for the comprehensive one for each village flag play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길성, "令旗" 문화재관리국 1970
2 류정아, "한국지역축제 조사평가 및 개선방안연구 총괄보고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6
3 "한국역사정보시스템 홈페이지"
4 양재연,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전라북도 편" 문화재관리국 1971
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예술사전" 도서출판 평사리 2015
6 김선태, "한국마을기의 존재양상과 사회문화적 의미" 민속원 2016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2-8"
8 김선태, "한국 용기의 형상과 의미" 국립해양박물관 183-, 2017
9 김선태, "한국 마을기 문화 전승양상과 과제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포럼 1 : 2015
10 심영택, "표현 형식과 지시 내용의 상호 규정성 연구 : 언어의 한계" 한국어교육학회 54 : 1995
1 최길성, "令旗" 문화재관리국 1970
2 류정아, "한국지역축제 조사평가 및 개선방안연구 총괄보고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6
3 "한국역사정보시스템 홈페이지"
4 양재연,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전라북도 편" 문화재관리국 1971
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예술사전" 도서출판 평사리 2015
6 김선태, "한국마을기의 존재양상과 사회문화적 의미" 민속원 2016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2-8"
8 김선태, "한국 용기의 형상과 의미" 국립해양박물관 183-, 2017
9 김선태, "한국 마을기 문화 전승양상과 과제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포럼 1 : 2015
10 심영택, "표현 형식과 지시 내용의 상호 규정성 연구 : 언어의 한계" 한국어교육학회 54 : 1995
11 최길성, "중요민속자료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70
12 최길성, "중요민속자료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70
13 촌산지순, "조선의 향토오락" 집문당 1992
14 박달한, "제4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팜플렛" 한국민속예술축제전위원회 1999
15 전주시사편찬위원회, "전주시사" 청운출판사 1986
16 김익두, "전주기접놀이 계룡리합굿" 민속원 2017
17 익산문화원, "웅포 용왕제와 기싸움놀이 발굴조사보고서" 도서출판 글마당 1996
18 한양명, "영산쇠머리대기"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19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안동문화권학술조사보고서" 안동문화권학술조사단 1971
20 임형진, "소라실장승제" 안동대학교민속학연구소 1 : 1989
21 익산기세배보존회, "민속놀이 익산 기세배, 제25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팜플렛"
22 한양명, "문경모산굴기세배" 문경새재박물관 2000
23 안태현, "문경 모산굴기세배" 문경새재박물관 2000
24 정수진, "무형문화재의 탄생" 역사비평사 2008
25 김월덕, "만경강 유역 농기의례의 마을간 연대원리-금마 ‘기세배’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37) : 353-376, 2008
26 朱剛玄, "두레 硏究"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6
27 한양명, "놀이민속의 탈맥락화와 재맥락화-영산줄다리기의 경우-" 한국민속학회 49 : 85-119, 2009
28 김선태, "공동체의 표상으로서 마을기의 형상과 의미"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3
29 이보형, "神대와 農旗" 한국문화인류학회 8 : 1976
30 村山智順, "朝鮮の鄕土娛樂" 朝鮮總督府 1941
31 村山智順, "朝鮮の 鄕土娛樂" 朝鮮總督府 1941
32 변덕진, "昌寧一帶의 서낭기에 대하여" 효성여대 5 : 1969
33 宋錫夏, "咸悅의 旗爭" 6 (6): 1936
34 宋錫夏, "咸悅의 旗爭" 6 (6): 1936
35 전주기접놀이보존회, "10년의 기록-전주기접놀이" 신아출판사 2008
민중적 시각으로 본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