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민중적 시각으로 본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3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민중적 시각으로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을 보면, 권력 안의 요소가 집중적으로 수혜를 입음으로써 권력 밖의 요소가 불평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령, 문화콘텐츠의 권력적 좌표 중 ‘통치’에서는 정부와 지자체, ‘지리’에서는 수도권과 지방, ‘목표’에서는 경제와 문화, ‘매체’에서는 디지털과 비디지털의 관계에서 권력구조를 형성하게 하고, 이 중 후자가 불평등의 경험주체가 된다. ‘계층’의 경우에는 엘리트와 대중의 관계에서 생산 · 소비적 측면의 권력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관계에 포함되지 않는 민중이 불평등의 경험주체가 되는 것이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에게 편하게 인식되는 문화콘텐츠는 주로 상품성 문화콘텐츠이다. 여기에 나타나는 기본 권력구조는 ‘문화콘텐츠에 의해 형성된 권력의 안과 밖이, 문화콘텐츠로부터 비롯된 불평등한 현실의 국면들을 중심에 두고 갈등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문화콘텐츠의 바람직한 발전과정은 이러한 갈등들을 해소해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권력에 종속된 집단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현재의 구조화된 권력상태를 전도시키는 방법은 또 다른 갈등을 형성하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문화콘텐츠는 권력구조에 나타나는 대립요소들이 화해와 상생에서 나아가 ‘평등관계’ 형성을 위한 실천적 노력을 해나갈 때 사회문화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민중적 시각으로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을 보면, 권력 안의 요소가 집중적으로 수혜를 입음으로써 권력 밖의 요소가 불평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령, 문화콘텐츠...

      민중적 시각으로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을 보면, 권력 안의 요소가 집중적으로 수혜를 입음으로써 권력 밖의 요소가 불평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령, 문화콘텐츠의 권력적 좌표 중 ‘통치’에서는 정부와 지자체, ‘지리’에서는 수도권과 지방, ‘목표’에서는 경제와 문화, ‘매체’에서는 디지털과 비디지털의 관계에서 권력구조를 형성하게 하고, 이 중 후자가 불평등의 경험주체가 된다. ‘계층’의 경우에는 엘리트와 대중의 관계에서 생산 · 소비적 측면의 권력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관계에 포함되지 않는 민중이 불평등의 경험주체가 되는 것이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에게 편하게 인식되는 문화콘텐츠는 주로 상품성 문화콘텐츠이다. 여기에 나타나는 기본 권력구조는 ‘문화콘텐츠에 의해 형성된 권력의 안과 밖이, 문화콘텐츠로부터 비롯된 불평등한 현실의 국면들을 중심에 두고 갈등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문화콘텐츠의 바람직한 발전과정은 이러한 갈등들을 해소해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권력에 종속된 집단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현재의 구조화된 권력상태를 전도시키는 방법은 또 다른 갈등을 형성하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문화콘텐츠는 권력구조에 나타나는 대립요소들이 화해와 상생에서 나아가 ‘평등관계’ 형성을 위한 실천적 노력을 해나갈 때 사회문화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the power structural inequality aspect of cultural contents seen from a people’s view, it is shown the elements outside the power experience the inequality since the elements inside the power receive the intensive benefits. For example, from the power coordinates of cultural contents, the power structures are formed in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 the view of ‘governing’, between metropolitan area and local in the view of ‘geology’, between economy and culture in the view of ‘goal’, between digital and non-digital in the view of ‘media’, the letters experience the inequality. In case of ‘class’, the power structure in the view of production, consumption is formed in the relation between elites and people, the people who don’t belong to such a relation experience the inequality.
      When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the cultural contents drat we can recognize easily are commercial cultural contents. The basic power structure shown here is the structure where ‘inside and outside of powers formed by cultural contents conflict around the aspects of inequal reality originated from cultural contents’.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desirable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is the process to solve such conflicts. But things that should be kept in mind, the method to reverse the current structured power to eliminate the inequality of power-dependent groups is not desirable because it can create another conflicts. Finally, cultural contents can be developed socially and culturally when the conflict elements appearing in the power structure make the practical effort for the formation of ‘equality’ based on reconciliation and win-win.
      번역하기

      When the power structural inequality aspect of cultural contents seen from a people’s view, it is shown the elements outside the power experience the inequality since the elements inside the power receive the intensive benefits. For example, from th...

      When the power structural inequality aspect of cultural contents seen from a people’s view, it is shown the elements outside the power experience the inequality since the elements inside the power receive the intensive benefits. For example, from the power coordinates of cultural contents, the power structures are formed in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 the view of ‘governing’, between metropolitan area and local in the view of ‘geology’, between economy and culture in the view of ‘goal’, between digital and non-digital in the view of ‘media’, the letters experience the inequality. In case of ‘class’, the power structure in the view of production, consumption is formed in the relation between elites and people, the people who don’t belong to such a relation experience the inequality.
      When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the cultural contents drat we can recognize easily are commercial cultural contents. The basic power structure shown here is the structure where ‘inside and outside of powers formed by cultural contents conflict around the aspects of inequal reality originated from cultural contents’.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desirable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is the process to solve such conflicts. But things that should be kept in mind, the method to reverse the current structured power to eliminate the inequality of power-dependent groups is not desirable because it can create another conflicts. Finally, cultural contents can be developed socially and culturally when the conflict elements appearing in the power structure make the practical effort for the formation of ‘equality’ based on reconciliation and win-w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민중과 민중의식을 적용한 문화콘텐츠의 민중적 시각 확립
      • 3. 민중적 시각에서 포착되는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민중과 민중의식을 적용한 문화콘텐츠의 민중적 시각 확립
      • 3. 민중적 시각에서 포착되는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동일, "한국설화와 민중의식" 정음사 1985

      2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6

      3 "콘텐츠산업진흥법"

      4 성해영, "정치엘리트와 대중의 관계" 1995

      5 "연합뉴스"

      6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지식의 의지)" 나담 2017

      7 막스 베버, "사회학의 기초개념" 문예출판사 2017

      8 비판사회학회,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한울아카데미 2017

      9 나승만, "민중주의민속학과 우리민속학의 전망" 비교민속학회 (48) : 11-41, 2012

      10 임재해, "민속문화론" 문학과지성사 1986

      1 조동일, "한국설화와 민중의식" 정음사 1985

      2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6

      3 "콘텐츠산업진흥법"

      4 성해영, "정치엘리트와 대중의 관계" 1995

      5 "연합뉴스"

      6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지식의 의지)" 나담 2017

      7 막스 베버, "사회학의 기초개념" 문예출판사 2017

      8 비판사회학회,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한울아카데미 2017

      9 나승만, "민중주의민속학과 우리민속학의 전망" 비교민속학회 (48) : 11-41, 2012

      10 임재해, "민속문화론" 문학과지성사 1986

      11 정창권, "문화콘텐츠학강의(깊이 이해하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2 인문콘텐츠학회, "문화콘텐츠입문" 북코리아 2006

      13 김진형, "문화콘텐츠의 인식범위 확장과생산․소비 메커니즘 진단" 인문콘텐츠학회 (42) : 151-176, 2016

      14 김진형, "문화콘텐츠의 민중의식과 변혁적 가치로의 실천방향"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1) : 1-24, 2017

      15 강현구, "문화콘텐츠와 인문학적 상상력" 글누림 2005

      16 김진형, "문화콘텐츠와 멀티유즈 전략" 민속원 2015

      17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12

      18 "문화체육관광부 공식홈페이지"

      19 "문화산업진흥기본법"

      20 김규찬, "문화산업정책 20년 평가와 전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5

      21 패트리샤 오브라이언, "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 그 이론과 실제" 조합공동체 소나무 1996

      22 임재해, "도시 속의 민속문화 전승양상과 도시민속학의 새 지평" 실천민속학회 9 : 5-50, 2007

      23 태지호, "공간형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4 이정훈, "경기도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전략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4

      25 노재봉, "populisn(민중주의) 논고"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8 (8): 1984

      26 "KCN한국소상공인신문"

      27 "IBK기업은행 공식블로그"

      28 앤서니 기든스, "7판 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2014

      29 문화체육관광부, "2016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