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 -열녀에 관한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 Yeonam'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based on his five writings on virtuous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9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eonam's five writings on virtual women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hi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His perception on in which conditions virtuous women could be produced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he believed that the long- term enlightenment by the ruling parties, related discourses and the a-subjectif desires of women themselves made a contribution to producing lots of virtuous women in his contemporary age.
      And then the side effect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and Yeonam's view of it were discusse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temporary virtuous women, and he took a very dismal and critical view of it. In his perspective, that was a weird phenomenon that the cart was put before the horse, as contemporary women were almost forced by strict social standard and transcendental norms to become virtuous instead of authentically trying to keep their own chast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eonam's five writings on virtual women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hi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His perception on in which conditions virtuous women could be produced was a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eonam's five writings on virtual women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hi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His perception on in which conditions virtuous women could be produced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he believed that the long- term enlightenment by the ruling parties, related discourses and the a-subjectif desires of women themselves made a contribution to producing lots of virtuous women in his contemporary age.
      And then the side effect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and Yeonam's view of it were discusse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temporary virtuous women, and he took a very dismal and critical view of it. In his perspective, that was a weird phenomenon that the cart was put before the horse, as contemporary women were almost forced by strict social standard and transcendental norms to become virtuous instead of authentically trying to keep their own chas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연암이 열녀에 관해 쓴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열녀의 생산 조건에 대한 연암의 인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연암은 연암 당대 열녀가 확대재생산될 수밖에 없는 조건을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던 지배층의 교화와 이에 봉사하는 담론, 그리고 여성들의 탈주체화된 욕망 실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열녀 생산 메커니즘의 부작용과 그에 대한 연암의 진단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연암 당대 열녀가 확대재생산되고 그 결과 종사하는 여성들이 늘어난 현상에 대해 연암은 매우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현상은 연암이 보기에는 본말이 전도된 기현상이다. 왜냐하면 여성들의 절행이나 열행이 남편에 대한 의를 지키겠다는 마음의 진성성에서 유발되기보다는 엄격한 사회적 시선과 선험적 규범에 의해 강요된 선택이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연암이 열녀에 관해 쓴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열녀의 생산 조건에 대한 연암의 인식을 살펴볼 것이...

      이 논문은 연암이 열녀에 관해 쓴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열녀의 생산 조건에 대한 연암의 인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연암은 연암 당대 열녀가 확대재생산될 수밖에 없는 조건을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던 지배층의 교화와 이에 봉사하는 담론, 그리고 여성들의 탈주체화된 욕망 실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열녀 생산 메커니즘의 부작용과 그에 대한 연암의 진단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연암 당대 열녀가 확대재생산되고 그 결과 종사하는 여성들이 늘어난 현상에 대해 연암은 매우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현상은 연암이 보기에는 본말이 전도된 기현상이다. 왜냐하면 여성들의 절행이나 열행이 남편에 대한 의를 지키겠다는 마음의 진성성에서 유발되기보다는 엄격한 사회적 시선과 선험적 규범에 의해 강요된 선택이었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동, "증보박지원소설연구" 태학사 1998

      2 박일용, "조선후기 <전>과 소설을 통해서 본 사실과 허구, 그리고 소설적 진실" 한국중국소설학회 13 : 2001

      3 강명관, "열녀의 탄생" 돌베개 2009

      4 박지원, "연암집 상·중·하" 돌베개 2007

      5 김명호, "연암의 현실인식과 <전>의 변모양상. in: 전환기의 동아시아 문학" 창작과비평사 1985

      6 이동근, "연암 <전>의 문학사적 일고찰" 대구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3 : 1995

      7 박종채, "역주 과정록" 태학사 1997

      8 홍인숙, "봉건 가부장제의 여성 재현-조선 후기 열녀전,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고전여성문학회 2001

      9 이종주, "박지원 한문단편 연구Ⅰ" 서강어문학회 4 : 1985

      10 김혈조, "燕巖의 『烈女咸陽朴氏傳』再考 -새로운 자료 소개를 겸하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4) : 339-374, 2006

      1 김영동, "증보박지원소설연구" 태학사 1998

      2 박일용, "조선후기 <전>과 소설을 통해서 본 사실과 허구, 그리고 소설적 진실" 한국중국소설학회 13 : 2001

      3 강명관, "열녀의 탄생" 돌베개 2009

      4 박지원, "연암집 상·중·하" 돌베개 2007

      5 김명호, "연암의 현실인식과 <전>의 변모양상. in: 전환기의 동아시아 문학" 창작과비평사 1985

      6 이동근, "연암 <전>의 문학사적 일고찰" 대구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3 : 1995

      7 박종채, "역주 과정록" 태학사 1997

      8 홍인숙, "봉건 가부장제의 여성 재현-조선 후기 열녀전,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고전여성문학회 2001

      9 이종주, "박지원 한문단편 연구Ⅰ" 서강어문학회 4 : 1985

      10 김혈조, "燕巖의 『烈女咸陽朴氏傳』再考 -새로운 자료 소개를 겸하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4) : 339-374, 2006

      11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1

      12 서은아, "<열녀함양박씨전>의 박씨와 『삼강행실도: 열녀편』의 관계를 통해 본 열녀제작의 심리적 요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6) : 273-296, 2008

      13 이가원, "<열녀함양박씨전>연구. in: 연암소설연구" 을유문화사 1965

      14 성현경, "<열녀함양박씨전>과 <열녀함양박씨전 병서>의 구성. in: 한국고전산문학회" 동화문화사 1981

      15 박기석, "<열녀함양박씨전> 연구" 국어교육학회 111 : 1993

      16 김일근, "<열녀 함양박씨전>과 박씨의 정려기고" 겨레어문학회 11 : 1989

      17 최지녀, "<열녀 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 연구" 국문학회 16 (16): 165-186,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