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고문구에 나타난 외래어의 양상과 언어의식  :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pect and Consciousness of Foreign Language in Advertisement : Centering around the magazine of advertis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618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a language using and consciousness of foreign language in advertisement. These days in advertisement using foreign language is so much with frequency. Because a producer of advertisement would raise up satisfaction of adve...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a language using and consciousness of foreign language in advertisement. These days in advertisement using foreign language is so much with frequency. Because a producer of advertisement would raise up satisfaction of advertisement to customers in various point of view. So it is examined that aspects of using foreign language is divided into writing and meaning, and is looked into language consciousness of foreign language with superiority, group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consciousness. 1. It is studied about writing aspect of foreign language in advertisement. In advertisement, there are three writing forms. First it is written in korean language of all every words, sentences. Second there is mixing writing forms, so the words that foreign language is written by english and the words that korean language is written by korean. And third, every sentences are only written by english. 2. It is examined about meaning aspects of foreign language in advertisement. The case that combined foreign and korean language and wrote korean language all kinds of words would be happen meaning change. But the expression of english writing either word or sentence could not happen meaning change because customer could do a translation into korean. 3. The using foreign language is for a superiority through differentiate strategy. So the customer that use foreign language has a thought of superiority, and they think they are not the same as other customer. These differentiation could give expression to use foreign language. This is a strategy that makes for customer's superiority. 4. The using foreign language is for new expression and group consciousness. Every utterance are search for new, and fresh expression always. In advertisement foreign language is used for new expression often. Using foreign language means high quality imagnation and differentiation socially, and due to these actual condition advertisement uses to foreign language. 5. Using foreign language is for various expression through meaning change. In advertisement it is used incompatible words for making sentence to change meaning. And it is made new and fresh expre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광고문구에 나타난 외래어의 양상
      • 3. 외래어의 사용과 언어의식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광고문구에 나타난 외래어의 양상
      • 3. 외래어의 사용과 언어의식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준학, "한국인의 언어의식" 서울대 어학연구소 17 (17): 167-197, 1981

      2 양명희, "한국인의 언어 의식의 변화" 한국사회언어학회 15 (15): 107-128, 2007

      3 박영순, "한국어의 사회언어학" 한국문화사 94-99, 2007

      4 김하수,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배달말학회 25 (25): 247-259, 1999

      5 박은하, "한국 영화 제목의 외래어 사용 실태 -2000년 이후의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135-157, 2009

      6 강범모, "한국 영화 제목의 어휘론 - 특히 외래어 사용의 변천과 관련하여 -" 한국어학회 42 : 27-73, 2009

      7 조항록, "한국 언어문화와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어문화학회 1 (1): 193-210, 2004

      8 임규홍, "한국 신문의 외래어 지면 이름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1 (11): 193-214, 2003

      9 심영택, "청주 지역 옥외 광고물 외래어 표기 실태 조사" 청주교육대학교 38 : 181-209, 2001

      10 김정우, "인쇄광고 본문(Body Copy)의 의미전달 유형 in: 국어연구와 의미정보" 월인 683-712, 2005

      1 조준학, "한국인의 언어의식" 서울대 어학연구소 17 (17): 167-197, 1981

      2 양명희, "한국인의 언어 의식의 변화" 한국사회언어학회 15 (15): 107-128, 2007

      3 박영순, "한국어의 사회언어학" 한국문화사 94-99, 2007

      4 김하수,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배달말학회 25 (25): 247-259, 1999

      5 박은하, "한국 영화 제목의 외래어 사용 실태 -2000년 이후의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135-157, 2009

      6 강범모, "한국 영화 제목의 어휘론 - 특히 외래어 사용의 변천과 관련하여 -" 한국어학회 42 : 27-73, 2009

      7 조항록, "한국 언어문화와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어문화학회 1 (1): 193-210, 2004

      8 임규홍, "한국 신문의 외래어 지면 이름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1 (11): 193-214, 2003

      9 심영택, "청주 지역 옥외 광고물 외래어 표기 실태 조사" 청주교육대학교 38 : 181-209, 2001

      10 김정우, "인쇄광고 본문(Body Copy)의 의미전달 유형 in: 국어연구와 의미정보" 월인 683-712, 2005

      11 송철의, "외래어의 순화 방안과 수용대책" 국립국어원 8 (8): 21-40, 1998

      12 김수현, "외래어의 관용 표기에 관한 고찰" 이중언어학회 (39) : 1-24, 2009

      13 이상혁, "외래어의 개념 및 유형 설정" 돈암어문학회 15 : 101-123, 2002

      14 오선희, "외래어 수용에 관한 임계사용자 가설 - 영어 외래어를 중심으로 -" 언어교육원 41 (41): 227-246, 2005

      15 이승명, "외래어 수용 양태에 대한 어휘 의미론적 연구" 수련어문학회 9 : 9-40, 1982

      16 최재희, "외래어 사용의 심리적 배경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30 : 139-165, 1992

      17 김희정, "외래어 사용에 대한 광고효과 연구" 한국광고학회 12 (12): 145-163, 2001

      18 김어진, "외국어에 중독된 한국 1-10 , 조선일보 기사, 9. 13-9. 30"

      19 윤혜정, "옥외 광고물의 외래어 사용실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7 : 87-113, 2000

      20 성기철, "언어와 문화의 접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 105-123, 2004

      21 채완, "아파트 이름의 사회적 의미" 한국사회언어학회 12 (12): 231-252, 2004

      22 최형강, "신문의 어휘와 문자 사용 양상-외래어, 외국어와 로마자, 한자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5 (15): 187-213, 2007

      23 고성환, "신문, 잡지 분야의 외래어 사용 실태" 8 (8): 81-101, 1998

      24 이주행, "신문 잡지광고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 2 (2): 81-97, 1992

      25 김세중, "신문 광고와 외래어" 국립국어원 2 (2): 1992

      26 김미형, "생활의미론" 한국문화사 39-40, 2005

      27 이선영,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국립국어원 8 (8): 103-119, 1998

      28 신지연,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국어학의 연구과제와 방법론의 변화" 어문연구학회 11-20, 2008

      29 김수현, "방송 언어의 외래어 사용 실태" 이화어문학회 23 : 157-170, 2005

      30 이은경, "방송 분야의 외래어 사용" 국립국어원 8 (8): 41-59, 1998

      31 장소원, "말의 세상, 세상의 말" 월인 53-76, 2002

      32 이주행, "대중 매체와 언어" 역락 199-234, 2002

      33 김정은, "국어에 나타난 언어문화 in: 국어연구와 의미정보" 월인 713-731, 2005

      34 민현식, "국어 외래어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2 : 91-132, 1998

      35 김정은, "광고언어에 나타난 현대인의 의식문화" 한국사회언어학회 12 (12): 37-64, 2004

      36 박영준, "광고언어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어학회 17 : 5-300, 2002

      37 장소원, "광고 카피의 언어학적 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7 : 97-114, 1999

      38 최용기, "광고 언어 조사 연구" 겨레어문학회 25 : 147-180, 2000

      39 김정우, "광고 언어 사용 양상의 통시적 변천" 한국어학회 20 : 69-96, 2003

      40 민현식, "간판언어의 의미론" 한국어의미학회 9 : 221-259, 2001

      41 東照二, "鈴木潤 in: 재미있는 사회언어학" 보고사 34-86, 2001

      42 崔炅鳳, "外來語 使用의 肯定的?否定的 側面과 그 受容 方案"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365-38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