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과 중국의 동북아 물류중심 전략은 모두 기존의 단순한 환적화물 처리 기지의 수준을 넘어서 장기적으로는 세계적인 물류ㆍ비즈니스 비즈니스센터를 육성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4131
-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과 중국의 동북아 물류중심 전략은 모두 기존의 단순한 환적화물 처리 기지의 수준을 넘어서 장기적으로는 세계적인 물류ㆍ비즈니스 비즈니스센터를 육성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
현재 한국과 중국의 동북아 물류중심 전략은 모두 기존의 단순한 환적화물 처리 기지의 수준을 넘어서 장기적으로는 세계적인 물류ㆍ비즈니스 비즈니스센터를 육성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공항ㆍ항만을 개발하고 글로벌 기업의 물류센터 및 지역본부를 유치한다는 목표로 하여 우선적으로 물류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각종 물류제도를 개선하는 데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주강삼각지, 장강삼각지, 환발해만 경제권역을 중심으로 하는 연해지역 물류기지들과 한국의 부산, 인천, 광양을 중심으로 하는 서해, 남해 지역 물류기지들은 앞으로 동북아 물류 허브의 지위를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물류허브화 경쟁 현황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양국 주요 물류거점도시들의 인프라 현황을 살펴보고, 양국의 주요 항만인프라를 비교, 소개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