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 가로시설물의 변화에 관한 연구 = Study on Changes of Street Furniture in Digital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748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도시의 가로 공간도 그 변화를 하고 있다. 이동 통신 기기와 인터넷은 우리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에 큰 변화를 주었고,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실내 공간에서 가로 공간으로 그 적용범위를 확대 해 나가고 있다. 가로시설물은 인간의 가로 공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주는 편의 시설로서 첨단화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이러한 현상에 관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일반적인가로 시설물 개체 수 변화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세대와 관련된 대표적인 두 곳, 대학로와 홍대 걷고 싶은 거리의 가로 시설물의 개체 수 및 그 이용실태를 조사 하였다. 다음으로 홍대 앞 가로공간의 사용자와 가로시설물 관리자들과의 표적 집단 면접 조사(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실행하여 가로시설물의 이용 및 관리 행태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정보공유 및 문화적 교류, 자동화 및 상호 작용성, 기능의 가변성등의 핵심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다시 연구 검토하여 3I 요소 즉 정보화(Information), 지능화(Intellectualization), 그리고 통합화(Integration)라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가로시설물의 변화 요소를 정리하였다. 이는 향후 첨단 디지털화 하는 정보 관련 가로 시설물의 개발 및 디자인 과정의 방향설정에 적용되질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도시의 가로 공간도 그 변화를 하고 있다. 이동 통신 기기와 인터넷은 우리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에 큰 변화를 주었고,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실내 공간에서 ...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도시의 가로 공간도 그 변화를 하고 있다. 이동 통신 기기와 인터넷은 우리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에 큰 변화를 주었고,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실내 공간에서 가로 공간으로 그 적용범위를 확대 해 나가고 있다. 가로시설물은 인간의 가로 공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주는 편의 시설로서 첨단화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이러한 현상에 관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일반적인가로 시설물 개체 수 변화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세대와 관련된 대표적인 두 곳, 대학로와 홍대 걷고 싶은 거리의 가로 시설물의 개체 수 및 그 이용실태를 조사 하였다. 다음으로 홍대 앞 가로공간의 사용자와 가로시설물 관리자들과의 표적 집단 면접 조사(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실행하여 가로시설물의 이용 및 관리 행태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정보공유 및 문화적 교류, 자동화 및 상호 작용성, 기능의 가변성등의 핵심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다시 연구 검토하여 3I 요소 즉 정보화(Information), 지능화(Intellectualization), 그리고 통합화(Integration)라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가로시설물의 변화 요소를 정리하였다. 이는 향후 첨단 디지털화 하는 정보 관련 가로 시설물의 개발 및 디자인 과정의 방향설정에 적용되질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he development in cutting-edge digital technology, the street space is also being changed. Mobile telecommunication units and internet give a big change in a human being's lifestyle. And the ubiquitous computing is proceeding with expanding its application range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street space. As the street furniture is the convenient facility that allows a human being's life in street space to be abundant, it is getting advanced. First of all, in terms of such phenomenon,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a research on application of street spac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a change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for the street furniture,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of ubiquitous. Also, it researched into the realities of using the street furniture of the walking-desired streets at Daehac-ro and Hongdae district, where are two representative places related to digital generation. The next was carried out FGI (Focus Group Interview) with users of the street space in front of Hongik University and managers of the street furniture, and was researched into the use & management behavior, and recognition level on the street furniture. Thus, the key elements were extracted such as interchange of information for cultural activities, automation for interaction variability in function. Finally the core elements for future vision of street furniture in this digital era were extracted in 31, namely, Information, Intellectualization, and Integra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in the process of high-tech digitalization in street furniture related to information hereafter.
      번역하기

      Along with the development in cutting-edge digital technology, the street space is also being changed. Mobile telecommunication units and internet give a big change in a human being's lifestyle. And the ubiquitous computing is proceeding with expandin...

      Along with the development in cutting-edge digital technology, the street space is also being changed. Mobile telecommunication units and internet give a big change in a human being's lifestyle. And the ubiquitous computing is proceeding with expanding its application range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street space. As the street furniture is the convenient facility that allows a human being's life in street space to be abundant, it is getting advanced. First of all, in terms of such phenomenon,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a research on application of street spac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a change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for the street furniture,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of ubiquitous. Also, it researched into the realities of using the street furniture of the walking-desired streets at Daehac-ro and Hongdae district, where are two representative places related to digital generation. The next was carried out FGI (Focus Group Interview) with users of the street space in front of Hongik University and managers of the street furniture, and was researched into the use & management behavior, and recognition level on the street furniture. Thus, the key elements were extracted such as interchange of information for cultural activities, automation for interaction variability in function. Finally the core elements for future vision of street furniture in this digital era were extracted in 31, namely, Information, Intellectualization, and Integra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in the process of high-tech digitalization in street furniture related to information hereaf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가로시설물 변화에 대한 모색
      • 3. 표적 집단 면접 조사(FGI: Focus Group Interview)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가로시설물 변화에 대한 모색
      • 3. 표적 집단 면접 조사(FGI: Focus Group Interview)
      • 4. 가로시설물의 정보화, 지능화, 통합화
      • 감사의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뉴엘 카스텔, "정보도시" 한울 아카데미 2001

      2 Stan Allen, "장소와 정거장: 임시유토피아" 루지타니아 출판사 1996

      3 김득곤, "도시경관정체성제고를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개선 방안" 광주대학교 2008

      4 "노무라총합연구소 u-네트워크연구회 역, 하원규 감역(2003) 유비 쿼터스 네트워크와 시장창조, 전자신문사."

      5 윤봉식, "가로환경의 이미지 정체성 수립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정체성 수립을 위한 디자인요소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48 : 8-92, 2002

      6 이혁수, "가로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디지털미디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 (1): 115-124, 2005

      7 Nisijawa T., "外部環境디자인 Street Furniture" GK 産業硏究所 225-,

      8 Arnold Reijndorp, "in search of new public domain" Nai Publishers 2002

      9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2000

      10 Robin Middletown, "The idea of the city, architecture association" London & MIT Press

      1 마뉴엘 카스텔, "정보도시" 한울 아카데미 2001

      2 Stan Allen, "장소와 정거장: 임시유토피아" 루지타니아 출판사 1996

      3 김득곤, "도시경관정체성제고를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개선 방안" 광주대학교 2008

      4 "노무라총합연구소 u-네트워크연구회 역, 하원규 감역(2003) 유비 쿼터스 네트워크와 시장창조, 전자신문사."

      5 윤봉식, "가로환경의 이미지 정체성 수립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정체성 수립을 위한 디자인요소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48 : 8-92, 2002

      6 이혁수, "가로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디지털미디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 (1): 115-124, 2005

      7 Nisijawa T., "外部環境디자인 Street Furniture" GK 産業硏究所 225-,

      8 Arnold Reijndorp, "in search of new public domain" Nai Publishers 2002

      9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2000

      10 Robin Middletown, "The idea of the city, architecture association" London & MIT Press

      11 Matthew Carmina, "Public Places-Urban Spaces" Blackdog 1999

      12 Bernard Cash, "Earth moves: the furnishing of territories" MIT Press

      13 Elizabeth Groz, "Architecture from outside: essay on virtual and real space" MIT Press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 (등재유지)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