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동향과 전망 = Trends and Prospect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79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헬스케어는 질병진단 및 관련 측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는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가상현실(AR, VR) 등의 정보통신기술(ICT)이 건강과 의료서비스에 접목되어 등장한 개념으로 의료정보기술의 진화와 함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 디지털헬스 산업분석 및 전망연구. 3.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연평균 15~16%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병원 락다운(Lockdown), 병상·의료진 등 의료 자원의 운영효율화 이슈, 환자의 의료접근성(비대면) 문제 등을 경험하며 의료기관의 디지털 헬스케어 도입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22). 의료기관 디지털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 활성화를 위한 중점추진과제 발굴 연구. 7.
      본 연구는 이렇게 급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개념과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한 고도화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 제시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여 방향 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개념과 특징 및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고도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국내외 보고서 분석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과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동향에 대해 연구하고 디지털 헬스케어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으로는 연구분석을 통해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전망과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은 IoT 기반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점차 개인 생활 속 건강관리에 집중되어 개인 의료화에 발맞추어 디자인되어야하고, 데이터 교류 측면의 성향 증가로 사용자의 긍정적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기기 UX UI의 디자인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통적인 의료기기와 다르게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은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가지는 다양한 위협 요소들을 고려하여 보안에 신경을 쓰고, 앱스토어를 포함한 온라인 마켓 등 다양한 경로로 유저들이 접근 가능하도록 마켓 접근성도 고려해야 한다.
      번역하기

      디지털 헬스케어는 질병진단 및 관련 측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는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가상현실(AR, VR) 등의 정보통신기술(ICT)...

      디지털 헬스케어는 질병진단 및 관련 측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는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가상현실(AR, VR) 등의 정보통신기술(ICT)이 건강과 의료서비스에 접목되어 등장한 개념으로 의료정보기술의 진화와 함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 디지털헬스 산업분석 및 전망연구. 3.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연평균 15~16%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병원 락다운(Lockdown), 병상·의료진 등 의료 자원의 운영효율화 이슈, 환자의 의료접근성(비대면) 문제 등을 경험하며 의료기관의 디지털 헬스케어 도입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22). 의료기관 디지털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 활성화를 위한 중점추진과제 발굴 연구. 7.
      본 연구는 이렇게 급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개념과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한 고도화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 제시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여 방향 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개념과 특징 및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고도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국내외 보고서 분석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과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동향에 대해 연구하고 디지털 헬스케어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으로는 연구분석을 통해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전망과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은 IoT 기반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점차 개인 생활 속 건강관리에 집중되어 개인 의료화에 발맞추어 디자인되어야하고, 데이터 교류 측면의 성향 증가로 사용자의 긍정적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기기 UX UI의 디자인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통적인 의료기기와 다르게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은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가지는 다양한 위협 요소들을 고려하여 보안에 신경을 쓰고, 앱스토어를 포함한 온라인 마켓 등 다양한 경로로 유저들이 접근 가능하도록 마켓 접근성도 고려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ital healthcare is making remarkable progress in disease diagnosis and related aspects. Digital healthcare is a concept in whi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ch as mobile, Internet of Things (IoT),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virtual reality (AR, VR) are grafted onto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he paradigm is changing with the evolution of technology. The domestic and overseas digital healthcare market is growing rapidly (annual average growth of 15-16%), and hospital lockdown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operational efficiency of medical resources such as beds and medical staff, and patients' medical accessibility (non-face-to-face) problems, etc.,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digital healthcare by medical institutions is increasing.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digital healthcare, which is rapidly growing, and the status of advancement through the use of big data and integration with services. Its purpose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design and to help establish the direc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s and the advancement aspects due to paradigm changes were examined. Next,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 analysis, the digital healthcare market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healthcare industry trends were analyzed and case studies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at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by reflecting digital healthcare trends. In conclusion, based on the contents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the prospect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and the direction of digital healthcare design were presented.
      Digital healthcare design should be designed in line with the personal medicalization that gradually focuses on health management in personal life centered on IoT-based healthca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of medical device UX UI that enables the user's positive user experience should be supported by the increase in propensity in terms of data exchange. In addition, unlike conventional medical devices, digital healthcare design should pay attention to security by considering various threat factors of connected devices, and market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users can access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online markets including app stores.
      번역하기

      Digital healthcare is making remarkable progress in disease diagnosis and related aspects. Digital healthcare is a concept in whi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ch as mobile, Internet of Things (IoT), artificial intelligence (AI)...

      Digital healthcare is making remarkable progress in disease diagnosis and related aspects. Digital healthcare is a concept in whi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ch as mobile, Internet of Things (IoT),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virtual reality (AR, VR) are grafted onto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he paradigm is changing with the evolution of technology. The domestic and overseas digital healthcare market is growing rapidly (annual average growth of 15-16%), and hospital lockdown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operational efficiency of medical resources such as beds and medical staff, and patients' medical accessibility (non-face-to-face) problems, etc.,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digital healthcare by medical institutions is increasing.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digital healthcare, which is rapidly growing, and the status of advancement through the use of big data and integration with services. Its purpose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design and to help establish the direc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s and the advancement aspects due to paradigm changes were examined. Next,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 analysis, the digital healthcare market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healthcare industry trends were analyzed and case studies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at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by reflecting digital healthcare trends. In conclusion, based on the contents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the prospect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and the direction of digital healthcare design were presented.
      Digital healthcare design should be designed in line with the personal medicalization that gradually focuses on health management in personal life centered on IoT-based healthca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of medical device UX UI that enables the user's positive user experience should be supported by the increase in propensity in terms of data exchange. In addition, unlike conventional medical devices, digital healthcare design should pay attention to security by considering various threat factors of connected devices, and market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users can access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online markets including app sto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훈,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41-59, 2021

      2 정원진 ; 김태환, "지각된 시스템과, 정보,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상정보학회 18 (18): 209-233, 2016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 디지털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 활성화를 위한 중점추진과제발굴 연구" 2022

      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관 디지털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 활성화를 위한 중점추진과제 발굴 연구" 2022

      5 권덕철, "디지털헬스 산업분석 및 전망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

      6 배영임 ; 신혜리,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소비자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헬스케어 앱 사용자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2 (22): 99-128, 2020

      7 Labrique, A. B., "mHealth inno vations as health system strengthening tols : 12 common aplications and a visual fra mework" 1 (1): 160-171, 2013

      8 Asan Nanum Foundation, "Digital Healthcare"

      9 이민경,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헬스케어 동향과 시사점" KDB경제연구소: ETRI 미래전략연구소 2017

      1 박지훈,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41-59, 2021

      2 정원진 ; 김태환, "지각된 시스템과, 정보,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상정보학회 18 (18): 209-233, 2016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 디지털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 활성화를 위한 중점추진과제발굴 연구" 2022

      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관 디지털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 활성화를 위한 중점추진과제 발굴 연구" 2022

      5 권덕철, "디지털헬스 산업분석 및 전망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

      6 배영임 ; 신혜리,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소비자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헬스케어 앱 사용자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2 (22): 99-128, 2020

      7 Labrique, A. B., "mHealth inno vations as health system strengthening tols : 12 common aplications and a visual fra mework" 1 (1): 160-171, 2013

      8 Asan Nanum Foundation, "Digital Healthcare"

      9 이민경,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헬스케어 동향과 시사점" KDB경제연구소: ETRI 미래전략연구소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