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新羅) 고배(高杯)의 상징성을 활용한 도자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eramics Using the Symbolism of Silla Gob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798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가 누리는 현시대의 기술적 혜택은 복잡한 사회문제를 수반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시대의 인간에게 기술 진보적 성향과 근원(origin)으로 회귀하려는 양면성을 지니게 한다.
      특히, 원형(archetype)적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욕구는 새로운 미적 창작의 시초가 된다.
      근원으로의 회귀본능은 현대인들이 본래의 인간 본성이나 원시적인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이러한 욕구는 자아의 상징과 관련이 있다. 자아는 인간의 개인성과 인식, 정신 활동에 관련된 것으로, 근원으로의 회귀본능은 이러한 자아복원의 상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인들의 근원적 회귀본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들이 창작 되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고배가 가진 상징성을 현대적 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도자 공예에서 고배의 형태가 가지는 상징적인 의미와 이를 활용한 도자 표현 기법을 탐구하는 시도로, 도자 공예 분야에서 새로운 시각과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우리가 누리는 현시대의 기술적 혜택은 복잡한 사회문제를 수반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시대의 인간에게 기술 진보적 성향과 근원(origin)으로 회귀하려는 양면성을 지니게 한다. 특히, 원형(ar...

      우리가 누리는 현시대의 기술적 혜택은 복잡한 사회문제를 수반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시대의 인간에게 기술 진보적 성향과 근원(origin)으로 회귀하려는 양면성을 지니게 한다.
      특히, 원형(archetype)적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욕구는 새로운 미적 창작의 시초가 된다.
      근원으로의 회귀본능은 현대인들이 본래의 인간 본성이나 원시적인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이러한 욕구는 자아의 상징과 관련이 있다. 자아는 인간의 개인성과 인식, 정신 활동에 관련된 것으로, 근원으로의 회귀본능은 이러한 자아복원의 상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인들의 근원적 회귀본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들이 창작 되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고배가 가진 상징성을 현대적 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도자 공예에서 고배의 형태가 가지는 상징적인 의미와 이를 활용한 도자 표현 기법을 탐구하는 시도로, 도자 공예 분야에서 새로운 시각과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chnological benefits of the present era that we enjoy are accompanied by complex social problems. This phenomenon makes people of the present age possess both the tendency to advance in technology and the ambivalence of returning to the origin.
      In particular, the desire to return to the archetype becomes the beginning of a new aesthetic creation.
      The instinct to return to the source refers to the desire of modern people to return to their original human nature or primitive state. These needs are related to the symbolism of the self. Ego is related to human personality, cognition, and mental activity, and the instinct to return to the source can mean this symbol of self-restoration. In this context, various works are being created based on the fundamental instinct of regression of modern people.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express the symbolism of Gobae in a modern image. As an attempt to explor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hape of a gobae in ceramic craft and the ceramic expression technique using it, a new perspective and research method were presented in the field of ceramic craft.
      번역하기

      The technological benefits of the present era that we enjoy are accompanied by complex social problems. This phenomenon makes people of the present age possess both the tendency to advance in technology and the ambivalence of returning to the origin. ...

      The technological benefits of the present era that we enjoy are accompanied by complex social problems. This phenomenon makes people of the present age possess both the tendency to advance in technology and the ambivalence of returning to the origin.
      In particular, the desire to return to the archetype becomes the beginning of a new aesthetic creation.
      The instinct to return to the source refers to the desire of modern people to return to their original human nature or primitive state. These needs are related to the symbolism of the self. Ego is related to human personality, cognition, and mental activity, and the instinct to return to the source can mean this symbol of self-restoration. In this context, various works are being created based on the fundamental instinct of regression of modern people.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express the symbolism of Gobae in a modern image. As an attempt to explor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hape of a gobae in ceramic craft and the ceramic expression technique using it, a new perspective and research method were presented in the field of ceramic craf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주, "한국도자사전" 경인문화사 2015

      2 정성규, "중국도자기의 상징미학" 북랩 2023

      3 임지은, "작가 인스타그램"

      4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5 김윤정, "고려후기 상감청자에 보이는 원대(元代)자기의 영향" 2006

      6 김선영, "고려~조선시대 자기 고족배 연구 : 14~17세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7 박천수, "가야토기 가야의 역사와 문화" 진인진 2010

      8 淺川巧, "朝鮮陶磁名考" 朝鮮工藝刊行會 1935

      9 馮先銘, "中國古陶瓷圖典" 文物出版社 2002

      10 "TATE MORDERN"

      1 이성주, "한국도자사전" 경인문화사 2015

      2 정성규, "중국도자기의 상징미학" 북랩 2023

      3 임지은, "작가 인스타그램"

      4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5 김윤정, "고려후기 상감청자에 보이는 원대(元代)자기의 영향" 2006

      6 김선영, "고려~조선시대 자기 고족배 연구 : 14~17세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7 박천수, "가야토기 가야의 역사와 문화" 진인진 2010

      8 淺川巧, "朝鮮陶磁名考" 朝鮮工藝刊行會 1935

      9 馮先銘, "中國古陶瓷圖典" 文物出版社 2002

      10 "TATE MORDERN"

      11 Hüther, G., "Die Macht der inneren Bilder" 2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