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의료 현장 내 음악치료 활용 현황과 음악치료사의 인식과 발전 방향에 관하여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의료기관의 현장에서 임상 및 실습, 인턴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77154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22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 임상음악치료학과 임상음악치료전공 , 2022.8
2022
한국어
615.85154 판사항(22)
서울
A survey of current music therapy practices in medical field and perception of music therapist
viii, 120 L.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김영신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L. 93-100
I804:11043-0000000706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의료 현장 내 음악치료 활용 현황과 음악치료사의 인식과 발전 방향에 관하여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의료기관의 현장에서 임상 및 실습, 인턴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의료 현장 내 음악치료 활용 현황과 음악치료사의 인식과 발전 방향에 관하여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의료기관의 현장에서 임상 및 실습, 인턴으로 활동 중인 예비 음악치료사와 임상 현장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2년 04월 14일부터 05월 09일까지 실시되었다. (사) 한국음악치료 학회에 설문 발송을 요청, 협조 받아 학회 회원 중 음악치료사 자격증을 소지한 회원에게 이메일을 통해 설문 URL을 발송하였으며 총 104명이 설문에 참여, 내용 부적합 설문지 3부를 제외한 101부에 대해 SPS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및 다중응답 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설문에 참여한 101명 중 심층 면담에 동의한 8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의료 현장에서의 음악치료에 대한 현황과 생각, 경험에 관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설문 연구 결과, 의료 현장 음악치료는 병원 32명(31.7%), 종합병원 28명(27.7%), 의원 21명(20.8%), 요양병원 19명(18.8%), 보건소 1명(1%)과 같은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다고 나타났다. 전체 참여자의 대다수에 해당하는 병원과 종합병원, 의원, 요양병원을 주요 의료기관으로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대부분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위하여 내담자 정보 수집과 진단 도구 사용에 있어 50% 이상이 기관 문서 열람과 보호자 면담이 이뤄지고 있으며, 주요 의료기관에서 병원과 종합병원, 요양병원에서는 연구를 통한 출판, 검증된 도구 사용, 의원의 경우 다른 진단 도구 없이 세션 내 관찰 및 면담을 통한 진단평가를 시행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개별 세션의 경우 의료기관의 형태에 따라 지속 기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내담자의 입·퇴원 및 외래의 형태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현장에서의 음악치료사의 인식 범주로는 의료 현장 ‘음악치료 시작 동기’, ‘정의 및 효과’, ‘환경’, 그리고 ‘만족 및 발전 방향’으로 총 4개의 영역과 14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이에 관한 결과로는 다수의 의료 현장에서 근무 중인 응답자는 의료 현장이 가져다주는 체계적 시스템에 대한 경험과 타 치료와의 협업을 기대로 의료 현장에서의 음악치료를 시작하게 된 동기였음을 확인하였다. 응답자들의 의료 현장에서 음악치료 이점 및 장점으로 과학적인 근거와 의료를 중심으로 하는 곳에서의 음악치료사로서 자긍심과 다양한 정보를 통해 내담자에게 치료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부분 등을 응답하였다. 음악치료의 발전 방향으로는 전문가와의 협업과 전문 용어의 사용,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는 의료 환경에 따라 음악치료의 구체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효과성에 관하여 연구하고, 발표하기를 권하였으며, 실제로 응답자들도 이를 위해 힘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료 현장 내 음악치료 환경에서 음악치료 실태와 고용 조건 및 의료 현장 내 음악치료 발전 방향 및 기대에 관한 치료사의 인식을 알아본 것으로 이를 통해 의료 현장 내 음악치료의 발전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use in domestic medical sites and the percep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music therapis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prospective music therapists currently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use in domestic medical sites and the percep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music therapis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prospective music therapists currently working as clinical, practical, and interns in the field of medical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active in the clinical fiel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1 people, including music therapists and prospective music therapists with music therapy-related certificates,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them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8 of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is survey, it was found that medical field music therapy is being performed in various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32 hospitals (31.7%), 28 general hospitals (27.7%), 21 clinics (20.8%), 19 nursing hospitals (18.8%), and 1 public health center (1%). Hospitals, general hospitals, clinics, and nursing hospital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all participants, were analyzed in detail as major medical institutions. Most medical institutions collect information and use diagnostic tools for treatment, more than 50% of them read institutional documents and interviews with guardians, and major medical institutions publish through research, use verified tools, and conduct diagnostic evaluations through in-session observation and interviews. In the case of individual sess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du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which was found to be according to the type of hospitalization, discharge, and outpatient. As for the music therapist's perception categories in the medical field, a total of four areas and 14 categories were found in the medical field's 'motivation to start music therapy', 'definition and effect',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As a result of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pondents working in many medical sites were motivated to start music therapy in the medical field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systematic system brought by the medical field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treatments. Respondents responded to the benefits and advantages of music therapy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scientific evidence and pride as a music therapist in a place centered on medical care, and the parts that can provide therapeutic help to clients through various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it was recommended to study and present the effectiveness by presenting specific evidence of music therapy according to the medical field environment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nd respondents were also working hard to do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rapist's perception of music therapy in the music therapy environment in the medical field, employment conditions, and direction and expectations of music therapy in the medical field, and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in the medical fiel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