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 전달체계상에서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공공 사례관리의 현황과 과제를 탐색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24679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1-200(40쪽)
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 전달체계상에서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공공 사례관리의 현황과 과제를 탐색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공 전달체계상에서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공공 사례관리의 현황과 과제를 탐색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은 공공전달체계상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들, 즉 시ㆍ군ㆍ구의 서비스 연계팀장 및 팀원, 사례관리자들에 대한 초점집단 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이다.
분석결과, 공공전달체계상 인력의 사례관리 수행경험은 ‘비효율적인 사례관리운영체계’, ‘갈피를 못잡게 하는 사례관리과정’, ‘정책변화에 따른 불투명성’, ‘지역사회자원개발: 바위에 계란 던지기’, ‘억지춘향식 민관협력’, ‘이율배반적인 인력 활용구조’. ‘불가근불가원의 딜레마’, ‘사례관리자의 인식의 전환’, ‘실천적 지식의 축적’라는 주제로 구분되었고, 각각의 영역에 대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which was introduced to and has been executed in public delivery system and suggest alternativ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 Focus Group Interview and documents. It used qualita...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which was introduced to and has been executed in public delivery system and suggest alternativ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 Focus Group Interview and documents. It used qualitative that analyzes narratives of case management personnels in public delivery system including chief and members of city and county service teams, and integrated staffs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the analysis results, tasks of case management in public delivery system are categorized into seven; policy direction, case management operation system, case management process, community resources, private-government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dilemma, and the following alternatives for each area are sugges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근홍, "한국재가노인의 사례관리 실천모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6
2 류명원, "한국 재가노인복지의 사례관리 모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2005
3 강선경, "학대노인에 대한 사례관리 개입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191-213, 2005
4 김지연,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습조직 수퍼비젼의 적용 과 효과" 부산대학교 2007
5 도광조,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 수행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9
6 홍선미, "지역사회 네트워크 중심 통합 사례관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1 (11): 29-61, 2009
7 행정자치부 주민서비스 혁신단,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업무운영 매뉴얼"
8 교육인적자원부,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업무매뉴얼"
9 행정자치부, "주민생활지원 사례관리 사업 안내"
1 이근홍, "한국재가노인의 사례관리 실천모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6
2 류명원, "한국 재가노인복지의 사례관리 모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2005
3 강선경, "학대노인에 대한 사례관리 개입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191-213, 2005
4 김지연,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습조직 수퍼비젼의 적용 과 효과" 부산대학교 2007
5 도광조,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 수행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9
6 홍선미, "지역사회 네트워크 중심 통합 사례관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1 (11): 29-61, 2009
7 행정자치부 주민서비스 혁신단,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업무운영 매뉴얼"
8 교육인적자원부,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업무매뉴얼"
9 행정자치부, "주민생활지원 사례관리 사업 안내"
10 박정임, "정신장애인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2
11 함철호, "재가노인의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케이스매니지먼트 모형 적용 사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319-348, 2008
12 한혜경, "재가노인 대상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43-263, 2009
13 정순둘, "재가 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팀접근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73-294, 2003
14 홍선미, "자활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311-326, 2004
15 이원희,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의료이용과 건강관리를 위한 사례관리사업 발전방 안" 한양대학교 2006
16 홍선미, "위기가구지원을 위한 지역사례관리체계 구축방안 - 경기도의 통합사례관리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 (12): 337-362, 2010
17 최재성, "위기가구 사례관리시범사업의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밸텍컨설팅 2010
18 김화주, "아내학대의 유형별 사례연구: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2004
19 최지선, "서비스통합전략으로서의 사례관리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 안산시통합서비스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 (12): 57-88, 2010
20 보건복지부 지역복지과, "사회복지통합서비스 전문요원 업무 가이드"
21 보건복지가족부, "사회복지서비스 공공전달체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22 白擇政和,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 유풍출판사 2003
23 황성철, "사례관리실천을 위한 모형개발과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11 (11): 275-304, 1995
24 Moxley D. P, "사례관리실천론" 홍익제 1993
25 이종복, "사례관리 실천을 통한 호스피스 서비스 연구 - S호스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8) : 159-184, 2007
26 노혜련, "빈곤여성가구주를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사업의 양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372-376, 2006
27 신명희, "보훈대상자의 사례관리도입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09
28 문옥경, "문제 음주자에 대한 사레관리모델 적용연구: 지역사회알콜상담센타사 레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2001
29 경기복지재단, "무한돌봄운영매뉴얼"
30 김윤정, "노숙자쉽터 입소자들의 자활을 위한 사례관리실태에 관한 연구-희망 의 집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00
31 함철호, "공공전달체계내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사례관리수행과 영향 요인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5 (35): 231-262, 2010
32 안혜영, "공공부문의 사례관리 실천의 현재”,『한국 사례관리실천의 다양성과 혼돈,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 사례관리학회 119-147, 2010
33 황미경,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통합사례관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0) : 49-67, 2009
34 노혜련, "강점관점 사례관리 실천을 통한 실무자의 변화"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35 민소영, "강점관점 반영 사례관리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0 (10): 39-65, 2008
36 Van Meter D. S,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 conceptual framework" 6 (6): 445-487, 1975
37 Sabatier P, "The Conditions of effective implementation: a guide to accomplishing policy objectives" (3) : 481-504, 1979
38 Dept. of Health, "Social Sevice Inspectrate" Practioner' Guide 1991
39 Dept. of Health, "Social Sevice Inspectrate" Manager' Guide 1991
40 Intagliata, J,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 In Case management and Social Work" Practice. N.Y. Longman 1992
41 Trnobranski P.H, "Implementation of community care policy in the United Kingdom: will it be achieved" (21) : 988-995, 1995
42 Intagliata, J, "Factors affecting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the hronically mentally ill" 11 (11): 75-91, 1983
43 Maria Boberts-DeGennaro, "Developing Case Management as a Practice Model" Social Case Work. October 466-470, 1987
44 O'Connor, G, "Casemanagement : systems and practice" (69) : 97-106, 1988
45 Rothman, J, "Case management: Integrating individual and Community Practice(2nd)" Allyn and Bacon 1998
46 Rubin,A, "Case Management". in Encyclopedia of Social Work. Silver Spring" NASW 212-222, 1987
47 Dept. of Health, "Caring for People : Community Care in the Next Decade and Beyond" HMSO 1989
48 Horder W, "Care Management" in The Blackwell Companion to Social Work ed by Martin Davies" Blackwell Publishing 2008
49 Sheppard M, "Care Management and the New Social Work" Whiting and Birch Ltd 1995
50 Petch A, "Care Management : Putting the Principles into Practice" in Planning and Costing Community Car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6
51 보건복지부, "2010년 사례관리 사업안내"
이탈리아 사회적기업의 사회자본 형성에 관한 탐색적 접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5 | 1.33 | 1.68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