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시간적 거리에 따른 해석수준과 여행상품의 고객보상프로그램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과 평가모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The Effect of Applied Construal Level Theory and Consumer Reward Program of Travel Products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emporal Distance: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and Evaluation M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4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theory (near future vs. far future) and a consumer reward program (instant discount vs point accumulation) of travel produ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This was done according to temporal distance an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using a regulatory focus and an evaluation mode.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was examined in the first experiment and an evaluation mode (separate evaluation vs joint evaluation) was examined in the second experiment. A total of 296 and 277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respectively. These were taken from college students aged in the 20s throughou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y 12 to May 25, 2017.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gulatory focus was partially adopted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valuation mode was fully adopted. In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s the importance of consumer behavioral changes in the purchasing intention for travel products and suggests effective ways of using a consumer reward program.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theory (near future vs. far future) and a consumer reward program (instant discount vs point accumulation) of travel produ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This was done according to temporal dist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theory (near future vs. far future) and a consumer reward program (instant discount vs point accumulation) of travel produ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This was done according to temporal distance an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using a regulatory focus and an evaluation mode.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was examined in the first experiment and an evaluation mode (separate evaluation vs joint evaluation) was examined in the second experiment. A total of 296 and 277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respectively. These were taken from college students aged in the 20s throughou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y 12 to May 25, 2017.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gulatory focus was partially adopted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valuation mode was fully adopted. In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s the importance of consumer behavioral changes in the purchasing intention for travel products and suggests effective ways of using a consumer reward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간적 거리에 따른 해석수준(가까운 미래 vs. 먼 미래)과 여행상품의 고객보상프로그램(즉시 할인 vs. 포인트 적립)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초점과 평가모드에 따라 조절효과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험 1은 조절초점(향상초점 vs. 예방초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실험 2는 평가모드(분리평가 vs. 공동평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ㆍ경기지역의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2일부터 25일까지 실험 1과 실험 2 각각 296명, 277명 샘플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는 부분 채택되었고, 평가모드의 조절효과는 완전 채택되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행상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소비자 행동변화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고객보상프로그램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시간적 거리에 따른 해석수준(가까운 미래 vs. 먼 미래)과 여행상품의 고객보상프로그램(즉시 할인 vs. 포인트 적립)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초점과 평가모드에 따라...

      본 연구는 시간적 거리에 따른 해석수준(가까운 미래 vs. 먼 미래)과 여행상품의 고객보상프로그램(즉시 할인 vs. 포인트 적립)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초점과 평가모드에 따라 조절효과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험 1은 조절초점(향상초점 vs. 예방초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실험 2는 평가모드(분리평가 vs. 공동평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ㆍ경기지역의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2일부터 25일까지 실험 1과 실험 2 각각 296명, 277명 샘플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는 부분 채택되었고, 평가모드의 조절효과는 완전 채택되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행상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소비자 행동변화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고객보상프로그램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연희, "해석수준이론 관점에서 여행 목적지에 따른 온라인 리뷰가 여행정보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1 (41): 185-202, 2017

      2 허종호, "쿠폰유효기간에 따른 쿠폰메시지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82) : 177-200, 2009

      3 권영국, "축산물 명품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횡성한우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0 (40): 197-214, 2016

      4 신영식, "제휴카드 할인프로그램이 외식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2 (12): 55-78, 2011

      5 김재휘, "제품 포지셔닝에 따른 효과적인 판매전략: 평가모드와 제품 배치 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6 (16): 433-454, 2015

      6 우상철, "재방문 의도에 대한 레스토랑 유형별 보상시기와 비 현금성 보상물 유형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7 (17): 137-155, 2008

      7 박효현, "의사인간관계가 온라인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지식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1 (21): 73-101, 2010

      8 유숙희, "의료관광객의 심리적 거리 지각에 관한 탐색적 연구-일본과 중국 의료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7 (37): 183-203, 2013

      9 박종철, "온라인 포인트 활용에 대한 소비자 선호에 관한 연구:소비자 조절초점, 포인트 적립수준 및 적립과정의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3-231, 2008

      10 김민형, "온라인 여행상품의 메시지 프레이밍과 희소성 메시지 및 가격할인 메시지 구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0 (40): 183-195, 2016

      1 조연희, "해석수준이론 관점에서 여행 목적지에 따른 온라인 리뷰가 여행정보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1 (41): 185-202, 2017

      2 허종호, "쿠폰유효기간에 따른 쿠폰메시지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82) : 177-200, 2009

      3 권영국, "축산물 명품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횡성한우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0 (40): 197-214, 2016

      4 신영식, "제휴카드 할인프로그램이 외식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2 (12): 55-78, 2011

      5 김재휘, "제품 포지셔닝에 따른 효과적인 판매전략: 평가모드와 제품 배치 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6 (16): 433-454, 2015

      6 우상철, "재방문 의도에 대한 레스토랑 유형별 보상시기와 비 현금성 보상물 유형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7 (17): 137-155, 2008

      7 박효현, "의사인간관계가 온라인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지식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1 (21): 73-101, 2010

      8 유숙희, "의료관광객의 심리적 거리 지각에 관한 탐색적 연구-일본과 중국 의료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7 (37): 183-203, 2013

      9 박종철, "온라인 포인트 활용에 대한 소비자 선호에 관한 연구:소비자 조절초점, 포인트 적립수준 및 적립과정의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3-231, 2008

      10 김민형, "온라인 여행상품의 메시지 프레이밍과 희소성 메시지 및 가격할인 메시지 구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0 (40): 183-195, 2016

      11 신진옥, "여행상품 옵션선택에서의 옵션 프레이밍 효과 - 정보제시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0 (40): 23-41, 2016

      12 이윤진, "심리적 거리가 소비자의 온라인 구전 정보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4 (14): 365-383, 2013

      13 이정은, "시간적 거리와 노력의 종류가 보상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 보상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223-244, 2009

      14 김재휘,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공공캠페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메시지 구성과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3 (23): 183-205, 2012

      15 김경미, "소비자의 조절초점과 팽창가격 할인광고의 효과" 한국마케팅학회 23 (23): 197-218, 2008

      16 박기경, "소비자의 조절초점, 상품구색의 크기, 그리고 선택모드가 금융상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30 (30): 1-19, 2015

      17 석관호,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이 EDLP상점과 HiLo상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과 위험추구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7 (27): 67-84, 2012

      18 김경식, "소비자의 보상물 선택결정에 관한 연구 : 소비자의 노력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20, 2007

      19 김영국, "서비스 회복에 따른 보상유형과 성향적 조절초점이 고객감정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9 (39): 29-46, 2015

      20 김정애, "사고방식과 제품의 속성 유형이 구매의도 및 선택에 미치는 효과" 한국광고학회 25 (25): 207-226, 2014

      21 이석규, "보상물 형태와 제공시기의 상호 작용성이 보상물 선호도에 미치는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0 (20): 85-102, 2005

      22 김경식, "보상물 선택맥락에 따른 차별적 보상물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74) : 37-59, 2007

      23 강영애, "메시지 프레이밍이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방문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0 (40): 217-232, 2016

      24 한진수, "로열티 프로그램이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과 긍정적 구전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7 (17): 21-33, 2008

      25 이소영, "구매간격과 조절초점이 고객보상프로그램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15 (15): 141-156, 2011

      26 전호성, "고객보상 프로그램에서 선 포인트 제도의 효과 - 조절 초점과 보상 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소비문화학회 15 (15): 1-20, 2012

      27 박세훈, "고객 지향적인 보상 프로그램의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6 (36): 325-353, 2007

      28 박세훈, "고객 보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매개수단이 보상물의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포인트와 상품권의 비교"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59-177, 2007

      29 Hsee, C, "Will products look more attractive when presented separately or together?" 25 (25): 175-186, 1998

      30 Dŕeze, X, "Using combined currency prices to lower consumers’perceived cost" 41 (41): 59-72, 2004

      31 Huffman, C, "The why of consumption:Contemporary perspectives on consumer motives, goals, and desires" Routledge 2000

      32 Marks, J, "The use of product sampling and advertising : Effects of sequence of exposure and degree of advertising claim exaggeration on consumers’ belief strength, belief confidence, and attitudes" 25 (25): 266-281, 1988

      33 Willemsen, M, "The role of negative features in joint and separate evaluation" 17 (17): 313-329, 2004

      34 Kruger, T, "The presenter’s paradox revisited : An evaluation mode account" 41 (41): 1127-1136, 2014

      35 Hsee, C, "The evaluability hypothesis : An explanation for preference reversals between joint and separate evaluations of alternatives" 67 (67): 247-257, 1996

      36 Trope, Y, "Temporal construal" 110 (110): 403-421, 2003

      37 Kivetz, R, "Self-control for the righteous : Toward a theory of precommitment to indulge" 29 : 199-217, 2002

      38 Kim, B, "Reward programs and tacit collusion" 20 (20): 99-120, 2001

      39 Lamberton, C, "Retail choice architecture : The effects of benefit-and attribute-based assortment organization on consumer perceptions and choice" 40 (40): 393-411, 2013

      40 Crowe, E, "Regulatory focus and strategic inclinations : Promotion and prevention in decision making" 69 (69): 117-132, 1997

      41 Kivetz, R, "Promotion reactance : The role of effort-reward congruity" 31 (31): 725-736, 2005

      42 Liberman, N, "Promotion and prevention choices between stability and change" 77 (77): 1135-1145, 1999

      43 Orehek, E, "Prioritizing association strength versus value : The influence of self-regulatory modes on means evaluation in single goal and multi goal contexts" 102 (102): 22-31, 2012

      44 Hsee, C, "Preference reversals between joint and separate evaluations of options : A review and theoretical analysis" 125 (125): 576-590, 1999

      45 Fujita, K, "Moving beyond deliberative control of impulses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s on evaluative associations in self-control conflicts" 20 (20): 799-804, 2009

      46 Lockwood, P, "Motivation by positive or negative role models : Regulatory focus determines who will best inspire us" 83 (83): 854-864, 2002

      47 Voss, K, "Measuring the hedonic and utilitarian dimensions of consumer attitude" 40 (40): 310-320, 2003

      48 Hsee, C, "Magnitude, time, and risk differ similarly between joint and single evaluations" 40 (40): 172-184, 2013

      49 Okada, E, "Justification effects on consumer choice of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42 (42): 43-53, 2005

      50 Mogilner, C, "Eternal quest for the best : Sequential(vs. simultaneous)option presentation undermines choice commitment" 39 (39): 1300-1312, 2013

      51 Freitas, A, "Enjoying goal-directed action : The role of regulatory fit" 13 (13): 1-6, 2002

      52 O’Brien, L, "Do rewards really create loyalty?" 28 (28): 75-82, 1995

      53 Keh, H, "Do reward programs build loyalty for services? The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n type and timing of rewards" 82 (82): 127-136, 2006

      54 Dowling, G, "Do customer loyalty programs really work?" 38 (38): 71-82, 1997

      55 Trope, Y, "Construal 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117 (117): 440-463, 2010

      56 Shugan, S, "Brand loyalty programs: Are they shams?" 24 (24): 185-193, 2005

      57 Higgins, E, "Beyond pleasure and pain" 52 (52): 1280-1300, 1997

      58 Nowlis, S, "Attribute task compatibility as a determinant of consumer preference reversals" 34 (34): 205-218, 1997

      59 Jang, D, "An examination of restaurant loyalty programs: What kinds of rewards do customer prefer?" 17 (17): 402-408, 2005

      60 Chandon, P, "A benefit congruency framework of sales promotion effectiveness" 64 (64): 65-81,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2 2.049 0.9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