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초 중국 고소설의 딱지본 유통에 앞장선 출판사들은 독자들의 취향을 반영하기 위해 표지화에 중국의 이미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조선시대 유행하지 않거나 터부시되던 도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초 중국 고소설의 딱지본 유통에 앞장선 출판사들은 독자들의 취향을 반영하기 위해 표지화에 중국의 이미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조선시대 유행하지 않거나 터부시되던 도상...
20세기 초 중국 고소설의 딱지본 유통에 앞장선 출판사들은 독자들의 취향을 반영하기 위해 표지화에 중국의 이미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조선시대 유행하지 않거나 터부시되던 도상들도 적극적으로 선보였다. 『곽분양실긔』의 딱지본 표지화에는 조선시대 유가(儒家) 사회에서는 보이지 않던 부부가 나란히 앉아 연회를 즐기는 중국식 부부병좌도상이 1913년 초판부터 1950년대까지 이용되었다. 부부병좌의 도상은 근대 초기 동아시아 질서 속에서 새롭게 전개되는 가족내 부부모습에 대한 대중의 취향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곽분양실긔』 표지화는 청대 왕실과 민간의 연화(年畵)와 판화에서 유행하던 도상의 근대 조선에서의 수용과 유통 현황을 보여주고 있어 미술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딱지본 『곽분양실긔』의 표지화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유행했던 곽분양 고사화가 20세기 초 출판문화에서 시각적으로 재생산되고 유통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publishing houses that pioneered the distribution of newly edited Chinese classical novels actively utilized Chinese images to reflect readers’ tastes, even showcasing images that were neither popular nor taboo in t...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publishing houses that pioneered the distribution of newly edited Chinese classical novels actively utilized Chinese images to reflect readers’ tastes, even showcasing images that were neither popular nor taboo in the Joseon Dynasty. On the covers of Ttakji-bon novel, such as “Gwkbunyang Silgi(The Story of Gwakbunyang),” a Chinese novel, the Chinese-style iconography of a husband and wife sitting together enjoying a banquet was consistently featured from the first edition in 1913 until the 1950s.
This imagery, which was not seen in the Confucian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highlights the public’s interest in and changes regarding the new status of men and women within the East Asian family during the transition to a modern society.
Moreover, the book-cover of “Gwakbunyang Silgi” illustrates the distribution of the Chinese iconography of the husband and wife sitting together, which was very popular in Qing Dynasty as a form of New Year’s Poster(Nianhua). This paper examines the visual represent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lassical story of Gwabunyang in the publishing culture of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cover images of the Ttakjibon, Gwakbunyang Silgi.
[발간사] 다양한 지역에서 생성된 희귀한 자료들과의 만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