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패학 연구의 경향과 내용 : 한국부패학회보를 중심으로 = Trends and Contents of Corrup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Korean Corruption Studies Re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6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등재학술지로 인정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부패학회보에 게재된 논문 중 KCI에 3회 이상의 인용횟수를 나타내는 논문 110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하고 부패학 연구의 경향과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 배경에서는 첫째, 성별에서 연구자 전체는 141명이었으며, 남성 126명(89.4%), 여성 15명(10.6%)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둘째, 연구자의 직위에서는 교수 85명(60.3%), 연구원 28명(19.9%), 기타 13명(9.2%), 강사/겸임 9명(6.4%), 박사 6명(4.2%) 순으로 나타나 교수직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지역에 있어서는 수도권 52편(47.3%), 영남권 31편(28.2%), 충청․강원권 23편(21.0%), 호남(제주)궝 4편(3.5%) 순으로 나타나 부패학 연구자들은 수도권에 가장 많은 연구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유형에서는 단독연구 83편(75.5%), 공동연구 27편(24.5%)으로 나타났다. 단독연구가 공동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비지원에서는 순수연구 78편(70.9%), 연구비 지원연구32편(29.1%)으로 순수연구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1인당 게재논문 횟수에서는 9․7․4회 1명, 5회 3명(10.6%), 3회 7명(14.9%), 2회 8명(11.3%), 1회 69명(48.9%)로 나타났다. 일곱째, 소속에 있어서는 기타 78명(55.3%), 행정학과 31명(22.0%), 법학 20명(14.2%), 경찰행정학과 12명(8.6%) 순으로 기타를 제외하고 행정학과 소속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방법에서 110편의 논문은 서술적 연구 87편(79.1%), 경험적 연구 23편(20.9%)로 나타나 서술적 연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전공에서는 행정 60명(42.6%), 법학 35명(24.8%), 기타 23명(16.3%), 경제 11명(7.8%), 정책 8명(5.7%), 경찰 4명(2.8%) 순으로 나타나 행정과 법학 전공자들이 부패학 연구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 배경에서는 첫째, 연구주제에서는 부패 52편(47.3%), 기타 25편(22.7%), 감사 7편(6.4%), 청렴 6편(5.5%), 공익정보․신고․내부고발 5편(4.5%), 옴부즈만 5편(4.5%), 윤리 4편(3.7%), 부정청탁 3편(4.1%), 뇌물 3편(2.7%) 순으로 나타나 부패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인용 횟수를 살며보면, 21․16․15․14․10․9회가 각 1편(0.9%), 13회 2편(1.8%), 11회 3편(2.7%), 8회 5편(4.5%), 7회 8편(7.3%), 6회 4편(3.6%), 5회 10편(9.1%), 4회 26편(23.6%), 3회 46편(42.0%) 순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피인용 횟수는 21회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는 약 5.1회의 피인용 횟수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등재학술지로 인정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부패학회보에 게재된 논문 중 KCI에 3회 이상의 인용횟수를 나타내는 논문 110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하고 부패학 연구의 경향...

      본 연구에서는 등재학술지로 인정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부패학회보에 게재된 논문 중 KCI에 3회 이상의 인용횟수를 나타내는 논문 110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하고 부패학 연구의 경향과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 배경에서는 첫째, 성별에서 연구자 전체는 141명이었으며, 남성 126명(89.4%), 여성 15명(10.6%)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둘째, 연구자의 직위에서는 교수 85명(60.3%), 연구원 28명(19.9%), 기타 13명(9.2%), 강사/겸임 9명(6.4%), 박사 6명(4.2%) 순으로 나타나 교수직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지역에 있어서는 수도권 52편(47.3%), 영남권 31편(28.2%), 충청․강원권 23편(21.0%), 호남(제주)궝 4편(3.5%) 순으로 나타나 부패학 연구자들은 수도권에 가장 많은 연구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유형에서는 단독연구 83편(75.5%), 공동연구 27편(24.5%)으로 나타났다. 단독연구가 공동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비지원에서는 순수연구 78편(70.9%), 연구비 지원연구32편(29.1%)으로 순수연구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1인당 게재논문 횟수에서는 9․7․4회 1명, 5회 3명(10.6%), 3회 7명(14.9%), 2회 8명(11.3%), 1회 69명(48.9%)로 나타났다. 일곱째, 소속에 있어서는 기타 78명(55.3%), 행정학과 31명(22.0%), 법학 20명(14.2%), 경찰행정학과 12명(8.6%) 순으로 기타를 제외하고 행정학과 소속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방법에서 110편의 논문은 서술적 연구 87편(79.1%), 경험적 연구 23편(20.9%)로 나타나 서술적 연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전공에서는 행정 60명(42.6%), 법학 35명(24.8%), 기타 23명(16.3%), 경제 11명(7.8%), 정책 8명(5.7%), 경찰 4명(2.8%) 순으로 나타나 행정과 법학 전공자들이 부패학 연구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 배경에서는 첫째, 연구주제에서는 부패 52편(47.3%), 기타 25편(22.7%), 감사 7편(6.4%), 청렴 6편(5.5%), 공익정보․신고․내부고발 5편(4.5%), 옴부즈만 5편(4.5%), 윤리 4편(3.7%), 부정청탁 3편(4.1%), 뇌물 3편(2.7%) 순으로 나타나 부패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인용 횟수를 살며보면, 21․16․15․14․10․9회가 각 1편(0.9%), 13회 2편(1.8%), 11회 3편(2.7%), 8회 5편(4.5%), 7회 8편(7.3%), 6회 4편(3.6%), 5회 10편(9.1%), 4회 26편(23.6%), 3회 46편(42.0%) 순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피인용 횟수는 21회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는 약 5.1회의 피인용 횟수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11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Corruption Society from 2007 to 2018, which were recognized as registere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on corruption in KCI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background of researchers, first, there were more researcher men than women in gender. Second, there were the largest number of professors in researchers positions. Third, there are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region. Fourth, in the type of research, solo research was higher than joint research. Fifth, pure research was found to be higher in research funding than research funding research. Sixth, i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per person, one person in the 9th and 7th times, three (10.6%) in the 5th times, seven (14.9%) in the 3rd time, eight (11.3%) in the 2nd time, and 69 (48.9%) in the 1 time. Seventh, in terms of affiliation, it was followed by guitar, administration, law, and police administration. Eighth, descriptive research was shown to be higher than empirical research in research methods. In the tenth, administrative and law majors were found to be interested in the study of corrup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paper, 52 corruption (47.3%), 25 others (22.7%), 7 audits (6.4%), 6 integrity (5.5%), 5 public information, reporting, and internal accusations (4.5%), 5 ombudsman (4.5%), 4 ethics (4.7%) and 3 bribery (2.7%) were the most corrupt topics. Second, if you look at the number of times taken, the highest number of times taken was 21, 16, 15, 14, 10, and 9 times, with 1 (0.9%), 2 times 13 times (1.8%), 3 times 11 times (2.7%), 5 times 8 times (7.3%), 4 times 6 times (3.6%), 10 times 5 times 9.1%), 26 times 4 times 4 times 4 times (42.6%), and 4 times 3 times (42.0%). On average, the number of citations was approximately 5.1.
      번역하기

      In this study, 11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Corruption Society from 2007 to 2018, which were recognized as registere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on corruption in KCI more than three ti...

      In this study, 11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Corruption Society from 2007 to 2018, which were recognized as registere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on corruption in KCI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background of researchers, first, there were more researcher men than women in gender. Second, there were the largest number of professors in researchers positions. Third, there are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region. Fourth, in the type of research, solo research was higher than joint research. Fifth, pure research was found to be higher in research funding than research funding research. Sixth, i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per person, one person in the 9th and 7th times, three (10.6%) in the 5th times, seven (14.9%) in the 3rd time, eight (11.3%) in the 2nd time, and 69 (48.9%) in the 1 time. Seventh, in terms of affiliation, it was followed by guitar, administration, law, and police administration. Eighth, descriptive research was shown to be higher than empirical research in research methods. In the tenth, administrative and law majors were found to be interested in the study of corrup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paper, 52 corruption (47.3%), 25 others (22.7%), 7 audits (6.4%), 6 integrity (5.5%), 5 public information, reporting, and internal accusations (4.5%), 5 ombudsman (4.5%), 4 ethics (4.7%) and 3 bribery (2.7%) were the most corrupt topics. Second, if you look at the number of times taken, the highest number of times taken was 21, 16, 15, 14, 10, and 9 times, with 1 (0.9%), 2 times 13 times (1.8%), 3 times 11 times (2.7%), 5 times 8 times (7.3%), 4 times 6 times (3.6%), 10 times 5 times 9.1%), 26 times 4 times 4 times 4 times (42.6%), and 4 times 3 times (42.0%). On average, the number of citations was approximately 5.1.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기준 Ⅲ.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기준 Ⅲ.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혜원, "행정학에서 재난관리분야의 학문적 연구경향" 한국콘텐츠학회 7 (7): 183-190, 2007

      2 윤영진,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과 과제:「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 게재논문의 총괄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1-29, 2013

      3 권경득,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분석: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1967-1995)을 중심으로" 30 (30): 139-153, 1996

      4 한태천, "한국행정논집분석 -행정학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12 (12): 781-802, 2000

      5 최호택, "한국지방자치 연구경향분석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등재논문(2002-2010년)의 연구주제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5-23, 2011

      6 목진휴, "한국정책학보 10년의 발자취" 11 (11): 319-332, 2002

      7 최영출, "한국과 영국 행정학의 연구경향 비교분석"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1-26, 2011

      8 이승철, "한국경찰학 연구의 경향분석-한국공안행정학회보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197-228, 2007

      9 주상현, "한국 행정학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7년(1995-2001)간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39-55, 2002

      10 이병렬, "한국 지방자치학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기고논문(1989-2001)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23-42, 2002

      1 안혜원, "행정학에서 재난관리분야의 학문적 연구경향" 한국콘텐츠학회 7 (7): 183-190, 2007

      2 윤영진,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과 과제:「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 게재논문의 총괄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1-29, 2013

      3 권경득,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분석: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1967-1995)을 중심으로" 30 (30): 139-153, 1996

      4 한태천, "한국행정논집분석 -행정학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12 (12): 781-802, 2000

      5 최호택, "한국지방자치 연구경향분석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등재논문(2002-2010년)의 연구주제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5-23, 2011

      6 목진휴, "한국정책학보 10년의 발자취" 11 (11): 319-332, 2002

      7 최영출, "한국과 영국 행정학의 연구경향 비교분석"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1-26, 2011

      8 이승철, "한국경찰학 연구의 경향분석-한국공안행정학회보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197-228, 2007

      9 주상현, "한국 행정학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7년(1995-2001)간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39-55, 2002

      10 이병렬, "한국 지방자치학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기고논문(1989-2001)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23-42, 2002

      11 이승철, "한국 경찰학 학술연구의 특성- KCI 등재논문인 한국공안행정학회보․한국경찰학회보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247-267, 2013

      12 박흥식, "학술연구발표(1956-2006)의 성향: 내용과 변화의 추이 한국행정학오십년:1956-2006" 2006

      13 이승철, "탐정학 연구경향과 특징: KCI에 등재된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17 (17): 213-229, 2020

      14 이승철, "지방행정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KCI 등재논문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335-362, 2013

      15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약칭: 부패방지권익위법) [시행 2020. 12. 29.]"

      16 김진영, "부패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부패학회 22 (22): 81-100, 2017

      17 우양호, "「지방정부연구」의 실증적 분석(1997~2004)- 행정학 분야 주요 학술지와의 비교연구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75-103, 2004

      18 조은성, "‘소비자학연구’에 발표된 논문들의 인용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18 (18): 71-95, 2007

      19 "http://www.kci.go.kr/"

      20 최상한, "SSCI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행정학 연구자들의 논문경향: 최근 10년(2000-2009)간의 지적긴장과 지적편중" 서울행정학회 21 (21): 89-116, 2010

      21 Houston, David J.,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 Assessment of Journal Publications" 50 (50): 674-681, 2000

      22 Lan, Zhiyong, "A Paradigmatic View of Contemporary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 Empirical Test" 32 (32): 138-16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3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