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부모은중경 한글판본 서체의 조형적 특징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부모은중경 한글판본은 한문본 부모은중경을 1545년 오응성에 의해 초역 간행된 이후 19세기 초까지 전국의 사찰에서 覆刻 또는 飜刻되어 현재 40종이 발견되었다. 국문학계에서는 40종을 판화의 양식과 서체의 특징 등에 의해 초역본계, 조원암본계, 금산사본계, 한글본계 등 모두 4계통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소장처 등을 방문하여 확보한 15종을 계통별로 구분하여 판본서체의 조형적 특징 변화 樣相을 살펴 이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서체의 조형적 특징은 자모자형과 음절자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먼저 子母字形가운데 모음자형은 세로획의 收筆부분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데, 초역(1545)본계와 조원암(1689)본계는 圓畫이나 方畫이며, 금산사(1720)본계부터 수필부분이 斜畫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자음자형도 금산사본계부터 설음자형 등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다음 음절자 가운데 초중성합자의 외형은 한글본계인 ‘용주사(1760)’판본은 세로로 긴 長方形이고, 그 이외는 가로로 약간 긴 長方形이다. 그리고 문자 ‘워’의 ‘ㅓ’ 왼쪽 점획 위치에서 변화가 보이는데, 한글본계를 제외한 초역본계 등은 ‘ㅜ’의 가로획 위에 위치하고 있으나 한글본계는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초중종성합자의 외형은 초역본계나 조원암본계는 대체로 正方形인데, 금산사본계나 한글본계는 세로로 긴 長方形이다. 그리고 종성의 크기에 변화를 보이는데,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초성과 같거나 큰 자형이 혼재하는데, 금산사본계부터 전체적으로 작아졌다. 또한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종성 ‘ㅇ’에 긴 꼭지점이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끝으로 합용병서자는 ‘’자의 종성 ‘ㄼ’에서 특징을 보이는데,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위아래로 連書하였으며, 금산사본계는 左右위치를 바꾸고, 한글본계에서 바로 쓰고 있다.
      이상 15종의 부모은중경 한글판본은 강재희판본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자체이다. 그리고 서체의 조형적 특징은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가 대체로 같고, 금산사본계부터 변화가 확연하였다. 따라서 서체의 특징만으로는 초역본계, 금산사본계 및 한글본계 등 3계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조선시대 부모은중경 한글판본은 한문본 부모은중경을 1545년 오응성에 의해 초역 간행된 이후 19세기 초까지 전국의 사찰에서 覆刻 또는 飜刻되어 현재 40종이 발견되었다. 국문학계에서는 4...

      조선시대 부모은중경 한글판본은 한문본 부모은중경을 1545년 오응성에 의해 초역 간행된 이후 19세기 초까지 전국의 사찰에서 覆刻 또는 飜刻되어 현재 40종이 발견되었다. 국문학계에서는 40종을 판화의 양식과 서체의 특징 등에 의해 초역본계, 조원암본계, 금산사본계, 한글본계 등 모두 4계통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소장처 등을 방문하여 확보한 15종을 계통별로 구분하여 판본서체의 조형적 특징 변화 樣相을 살펴 이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서체의 조형적 특징은 자모자형과 음절자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먼저 子母字形가운데 모음자형은 세로획의 收筆부분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데, 초역(1545)본계와 조원암(1689)본계는 圓畫이나 方畫이며, 금산사(1720)본계부터 수필부분이 斜畫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자음자형도 금산사본계부터 설음자형 등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다음 음절자 가운데 초중성합자의 외형은 한글본계인 ‘용주사(1760)’판본은 세로로 긴 長方形이고, 그 이외는 가로로 약간 긴 長方形이다. 그리고 문자 ‘워’의 ‘ㅓ’ 왼쪽 점획 위치에서 변화가 보이는데, 한글본계를 제외한 초역본계 등은 ‘ㅜ’의 가로획 위에 위치하고 있으나 한글본계는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초중종성합자의 외형은 초역본계나 조원암본계는 대체로 正方形인데, 금산사본계나 한글본계는 세로로 긴 長方形이다. 그리고 종성의 크기에 변화를 보이는데,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초성과 같거나 큰 자형이 혼재하는데, 금산사본계부터 전체적으로 작아졌다. 또한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종성 ‘ㅇ’에 긴 꼭지점이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끝으로 합용병서자는 ‘’자의 종성 ‘ㄼ’에서 특징을 보이는데,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위아래로 連書하였으며, 금산사본계는 左右위치를 바꾸고, 한글본계에서 바로 쓰고 있다.
      이상 15종의 부모은중경 한글판본은 강재희판본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자체이다. 그리고 서체의 조형적 특징은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가 대체로 같고, 금산사본계부터 변화가 확연하였다. 따라서 서체의 특징만으로는 초역본계, 금산사본계 및 한글본계 등 3계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40 versions of the Han-geul-Printed version of Bumoeunjungkyeong that has been found since its first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Chinese version of Bumoeunjungkyeong by Oh Eung-Seong in 1545 until early 19th century in Buddhist temples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form of reprint or reproduction. Korean literature academia classifies the 40 versions into 4 systems with 30 sorts of the first translated version (Choyeokbongye); 2 of Jowonambongye and; 4 of Geumsansabongye along with 4 of Hangeulbongye based on print form and characteristics of letter sty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etter style on 18 versions among the 40 which have been obtained, for example, via visit to places where they are possessed.
      As a result of analyzing collected consonants and vowels, its character shape shows a distinctive change on vertical strokes at the tip, which demonstrates that Choyeokbongye (1545) and Jowonambongye (1689) were most of a rounded or quadrangular shape while the tip of Geumsansabongye changed into tilted one. As to the character shape of consonants, Geumsansabongye represents change in lingual sounds and the angular point on ‘ㅇ’ (Ieung). Another lingual sound of 'ㅌ' (Tieut), except for Hangeulbongye, has a horizontal stro
      번역하기

      There are 40 versions of the Han-geul-Printed version of Bumoeunjungkyeong that has been found since its first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Chinese version of Bumoeunjungkyeong by Oh Eung-Seong in 1545 until early 19th century in Buddhist temples th...

      There are 40 versions of the Han-geul-Printed version of Bumoeunjungkyeong that has been found since its first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Chinese version of Bumoeunjungkyeong by Oh Eung-Seong in 1545 until early 19th century in Buddhist temples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form of reprint or reproduction. Korean literature academia classifies the 40 versions into 4 systems with 30 sorts of the first translated version (Choyeokbongye); 2 of Jowonambongye and; 4 of Geumsansabongye along with 4 of Hangeulbongye based on print form and characteristics of letter sty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etter style on 18 versions among the 40 which have been obtained, for example, via visit to places where they are possessed.
      As a result of analyzing collected consonants and vowels, its character shape shows a distinctive change on vertical strokes at the tip, which demonstrates that Choyeokbongye (1545) and Jowonambongye (1689) were most of a rounded or quadrangular shape while the tip of Geumsansabongye changed into tilted one. As to the character shape of consonants, Geumsansabongye represents change in lingual sounds and the angular point on ‘ㅇ’ (Ieung). Another lingual sound of 'ㅌ' (Tieut), except for Hangeulbongye, has a horizontal stro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