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심영상 입체 가시화 중 발생하는 원거리 환영현상 해소를 위한 3차원 파노라믹 모자이크 = 3D Panoramic Mosaiciking to Silppress the Ghost Effect at Long Distance Scene for Urban Area Visu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43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3차원 영상 모자이크 방법은 도심지의 도로를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3차원 다중 투영평면에 투영하여 도심지를 입체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가 교차로와 같은 원거리 가시 지점을 통과할 때, 취득된 영상에 대해 3차원 영상 모자이크 방법을 적용 하면, 모자이크 된 영상에서 동일한 대상물의 영상이 반복하여 나타난다. 이 현상을 환영현상(ghost effect)이라고 하는데, 이 환영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원거리 대상물이 있는 곳의 영상 프레임을 찾고, 이 곳에 나타나는 환영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3차원 공간에서 계산된 가상의 초점과 영상 프레임의 초점을 지나는 벡터를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들을 3차원 다중평면에 투영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가상 초점은 원거리 대상물이 보이기 시작하는 영상 프레임과 원거리 대상물이 사라지기 시작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본 논문에서는 원거리 대상물 지역에 제안한 방법을 적용했을 때, 환영현상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였다
      번역하기

      3차원 영상 모자이크 방법은 도심지의 도로를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3차원 다중 투영평면에 투영하여 도심지를 입체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가 교차로...

      3차원 영상 모자이크 방법은 도심지의 도로를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3차원 다중 투영평면에 투영하여 도심지를 입체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가 교차로와 같은 원거리 가시 지점을 통과할 때, 취득된 영상에 대해 3차원 영상 모자이크 방법을 적용 하면, 모자이크 된 영상에서 동일한 대상물의 영상이 반복하여 나타난다. 이 현상을 환영현상(ghost effect)이라고 하는데, 이 환영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원거리 대상물이 있는 곳의 영상 프레임을 찾고, 이 곳에 나타나는 환영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3차원 공간에서 계산된 가상의 초점과 영상 프레임의 초점을 지나는 벡터를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들을 3차원 다중평면에 투영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가상 초점은 원거리 대상물이 보이기 시작하는 영상 프레임과 원거리 대상물이 사라지기 시작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본 논문에서는 원거리 대상물 지역에 제안한 방법을 적용했을 때, 환영현상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3D image mosaicking is useful for 3D visualization of the roadside scene of urban area by projecting 2D images to the 3D planes. When a sequence of images are filmed from a side-looking video camera passing long distance areas, the ghost effect in which same objects appear repeatively occurs. To suppress such ghost effect, the long distance range areas are detected b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frame and the 3D coordinate of tracked optical flows. The ghost effects are suppressed by projecting the part of image frames onto 3D multiple planes utilizing vectors passing the focal point of frames and a virtual focal point. The virtual focal point is calculated by utilizing the first and last frames of the long distance range areas. We demonstrate algorithm that creates efficient 3D Panoramic mosaics without the ghost effect at the long distance area.
      번역하기

      3D image mosaicking is useful for 3D visualization of the roadside scene of urban area by projecting 2D images to the 3D planes. When a sequence of images are filmed from a side-looking video camera passing long distance areas, the ghost effect in whi...

      3D image mosaicking is useful for 3D visualization of the roadside scene of urban area by projecting 2D images to the 3D planes. When a sequence of images are filmed from a side-looking video camera passing long distance areas, the ghost effect in which same objects appear repeatively occurs. To suppress such ghost effect, the long distance range areas are detected b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frame and the 3D coordinate of tracked optical flows. The ghost effects are suppressed by projecting the part of image frames onto 3D multiple planes utilizing vectors passing the focal point of frames and a virtual focal point. The virtual focal point is calculated by utilizing the first and last frames of the long distance range areas. We demonstrate algorithm that creates efficient 3D Panoramic mosaics without the ghost effect at the long distance ar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