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튜브 랜선투어의 경험가치가 지역 이미지, 장소 애착 및 관광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xperiential Value of YouTube LAN Tour on Destination Image, Place Attachment and Tourism Behavioral Inten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8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스마트관광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랜선문화’가 유행하면서 비대면 여행 서비스인 랜선투어가 등장하여 관련 여행상품이 증가하고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비대면 관광에 관련된 소비자의 반응과 관련 향후 발전 방향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효용, 서비스 우수성, 심미성, 유희성으로 경험가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랜선투어의 경험가치와 지역 이미지(인지적, 정서적), 관광 행동 의도 그리고 장소 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랜선투어 영상을 제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155부의 응답이 실증분 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외재적 경험가치인 소비자 효용과 서비스 우수성은 인지적 지역 이미지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경험가치인 심미성과 유희성은 정서적 지역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정서적 지역 이미지는 장소 애착과 관광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소 애착도 관광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 이미지와 관광 행동 의도의 관계에서 장소 애착은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랜선투어의 경험가치와 지역 이미지, 장소 애착 그리고 향후 관광 행동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관광 연구 분야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가진다. 또한, 향후 여행지를 선택하는데 랜선투어의 경험이 선행적 활동으로서 중요한 역할 을 할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스마트관광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랜선문화’가 유행하면서 비대면 여행 서비스인 랜선투어가 등장하여 관련 여...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스마트관광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랜선문화’가 유행하면서 비대면 여행 서비스인 랜선투어가 등장하여 관련 여행상품이 증가하고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비대면 관광에 관련된 소비자의 반응과 관련 향후 발전 방향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효용, 서비스 우수성, 심미성, 유희성으로 경험가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랜선투어의 경험가치와 지역 이미지(인지적, 정서적), 관광 행동 의도 그리고 장소 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랜선투어 영상을 제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155부의 응답이 실증분 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외재적 경험가치인 소비자 효용과 서비스 우수성은 인지적 지역 이미지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경험가치인 심미성과 유희성은 정서적 지역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정서적 지역 이미지는 장소 애착과 관광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소 애착도 관광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 이미지와 관광 행동 의도의 관계에서 장소 애착은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랜선투어의 경험가치와 지역 이미지, 장소 애착 그리고 향후 관광 행동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관광 연구 분야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가진다. 또한, 향후 여행지를 선택하는데 랜선투어의 경험이 선행적 활동으로서 중요한 역할 을 할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정, "해양축제서비스품질이 축제이미지, 지역이미지 및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3 (33): 105-124, 2021

      2 김성엽, "한류 영상 이미지가 관광 상품 이미지와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및 일본 대학생의 비교" 한국영상문화학회 (18) : 149-180, 2011

      3 이재곤 ; 이규상, "테마관광의 환경단서가 지역이미지와 방문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22 (22): 575-605, 2018

      4 여행신문, "코로나가 만든 ‘랜선 여행’10명 중 4명이 즐긴다"

      5 경기연구원, "코로나19, 여행의 미래를 바꾸다"

      6 홍민정 ; 오문향,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국내 잠재 관광객의 감정 반응 연구: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대한관광경영학회 35 (35): 47-65, 2020

      7 강희숙, "코로나-19 신어와 코로나 뉴노멀" 인문학연구원 (61) : 115-138, 2021

      8 곽지연 ; 김이태, "축제 방문객의 경험가치에 따른 지역이미지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17 울산 아시아버드페어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233-246, 2018

      9 김창수,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평가 비교분석 : 2005~2016년 무주반딧불축제를 중심으로" 22 (22): 265-284, 2007

      10 서철현, "지역축제 이미지가 지역애착도 및 축제의 개최성과에 미치는 영향: 청도 반시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327-346, 2017

      1 김미정, "해양축제서비스품질이 축제이미지, 지역이미지 및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3 (33): 105-124, 2021

      2 김성엽, "한류 영상 이미지가 관광 상품 이미지와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및 일본 대학생의 비교" 한국영상문화학회 (18) : 149-180, 2011

      3 이재곤 ; 이규상, "테마관광의 환경단서가 지역이미지와 방문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22 (22): 575-605, 2018

      4 여행신문, "코로나가 만든 ‘랜선 여행’10명 중 4명이 즐긴다"

      5 경기연구원, "코로나19, 여행의 미래를 바꾸다"

      6 홍민정 ; 오문향,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국내 잠재 관광객의 감정 반응 연구: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대한관광경영학회 35 (35): 47-65, 2020

      7 강희숙, "코로나-19 신어와 코로나 뉴노멀" 인문학연구원 (61) : 115-138, 2021

      8 곽지연 ; 김이태, "축제 방문객의 경험가치에 따른 지역이미지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17 울산 아시아버드페어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233-246, 2018

      9 김창수,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평가 비교분석 : 2005~2016년 무주반딧불축제를 중심으로" 22 (22): 265-284, 2007

      10 서철현, "지역축제 이미지가 지역애착도 및 축제의 개최성과에 미치는 영향: 청도 반시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327-346, 2017

      11 현종협 ; 김경범, "지역축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세기축제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93-506, 2016

      12 이혜린 ; 이훈, "지역기반형 메가이벤트 자원봉사 경험만족과 장소애착 및 관광행동의 관계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253-272, 2014

      13 곽은진 ; 김이태, "지역 음식 관광의 경험가치, 지역이미지 및 관광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41-58, 2017

      14 김용희 ; 최병길, "제주 방문 관광객의 관광경험이 장소애착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3 (43): 179-199, 2019

      15 박용진, "전통시장 방문객의 경험적 가치가 장소애착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14 (14): 137-156, 2018

      16 박종원, "자산재평가가 기업구조조정에 미치는 영향 : 재산구조개선효과를중심으로" 17 : 41-68, 2001

      17 김종남, "인터넷 관광정보가 방문전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연구" 25 (25): 131-148, 2001

      18 이훈, "왜 지역축제에 참가하지 않는가?비참여자의 장소애착도와 여가제약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8 (8): 31-47, 2005

      19 최혜정 ; 이충기 ; 오승희, "여수 관광객의 체험과 지각된 가치, 장소애착 및 만족도 간 구조관계 연구: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4 (34): 5-19, 2020

      20 마이리얼트립, "언론에서 전하는 마이리얼트립"

      21 이하나, "소셜미디어를 통한 도시 공공공간의 장소이미지 마케팅 전략의 기초연구- 미국 뉴욕시 유니온스퀘어(Union Square, NY) 인스타그램(Instagram) 콘텐츠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7 (17): 179-190, 2019

      22 강상훈 ; 박득희,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광정보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 비교: 인천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을 사례로" (재) 인천연구원 (15) : 229-256, 2019

      23 박근영 ; 최현준 ; 조환기, "비무장지대 관광동기가 관광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8 (28): 135-146, 2019

      24 조연주 ; 윤성준, "뷰티 소비자의 온라인 경험가치가 소비자행복과 브랜드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 구전정보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 16 (16): 23-48, 2021

      25 김현준 ; 이상미, "부산의 물리적 환경과 이미지가 외래관광객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일본관광객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25-40, 2011

      26 최연화 ; 김준우 ; 송학준, "복합리조트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영향인식, 장소애착심, 개발인식 및 개발지지도간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281-296, 2018

      27 류재숙 ; 임재필, "문화유산관광지의 이미지와 행동의도 간 관계에서 고유성 인식의 매개효과: 백제문화유적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233-246, 2018

      28 문혜영 ; 문혜선, "레스토랑 고객의 경험적 가치, 고객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의 관계: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 및 레스토랑 유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41-60, 2016

      29 홍순기, "랜선투어를 통한 간접체험이 지각된 가치와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이론의 적용" 27-32, 2021

      30 장호찬, "관광지의 자원봉사활동경험이 장소애착 형성과 관광객으로서의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4 (34): 29-57, 2010

      31 위주연, "관광지 재생이 관광지 이미지와 지역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2019

      32 김희정 ; 김시중, "관광지 선택속성과 경험적 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제역사유적지구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 46 (46): 147-159, 2012

      33 변상우, "관광지 선택 동기가 관광지 이미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감천문화마을을 중심으로 -" 대한경영정보학회 34 (34): 197-213, 2015

      34 이강길 ; 최웅 ; 김은진, "관광정보채널에 따른 음식관광의 경험적 가치와 지역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4 (14): 79-101, 2015

      35 강영애, "관광분야 학술지 장소애착 연구동향 분석" 한국관광학회 39 (39): 103-118, 2015

      36 정윤희 ; 이종호, "경험적 소비에서 경험특성, 즐거움과 죄책감, 재경험 의도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8 (38): 523-553, 2009

      37 고경순, "경험마케팅: 전략 & 관리" 대명 2004

      38 이금실, "가상현실 기반 관광체험미디어의 어포던스 특성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105-118, 2017

      39 Remoaldo, P. C., "Tourists’ perceptions of world heritage destinations : The case of Guimarães(Portugal)" 14 (14): 206-218, 2014

      40 Masiero, L., "Tourism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price sensitivity: Finding similar price preferences on tourism activities" 51 (51): 426-435, 2012

      41 Bigné, J. E., "Tourism image, evaluation variables and after purchase behavior : inter-relationship" 26 (26): 607-616, 2001

      42 Oppermann, M., "Tourism destination loyalty" 39 (39): 78-84, 2000

      43 Loureiro, S. M. C., "The role of the rural tourism experience economy in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s" 40 : 1-9, 2014

      44 Song, H. M., "The mediating effect of place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lf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revisit intention" 22 (22): 1182-1193, 2017

      45 Hailu, G., "The influence of place attachment on recreation demand" 26 (26): 581-598, 2005

      46 Veasna, S., "The impact of destination source credibility on destin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destination attachment and destination image" 36 : 511-526, 2013

      47 Nasir, M., "Testing mediation roles of place attachment and tourist satisfaction on destination attractiveness and destination loyalty relationship using phantom approach" 10 (10): 443-454, 2020

      48 Holbrook, M. B.,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Sage 21-71, 1994

      49 Baker, D. A.,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ural intentions" 27 (27): 785-804, 2000

      50 Cleave, E., "Place marketing, place branding, and social media : Perspectives of municipal practitioners" 48 (48): 1012-1033, 2017

      51 Clarke, D., "Place attachment, disruption and transformative adaptation" 55 : 81-89, 2018

      52 Lojo, A., "Online tourism destination image : Components, information sources, and incongruence" 37 (37): 495-509, 2020

      53 Yung, R., "New realities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tourism research" 22 (22): 2056-2081, 2019

      54 Charters, S., "Is wine consumption an aesthetic experience?" 16 (16): 121-136, 2005

      55 Qiu, H. L., "Impacts of tourist destination image on place attachment and tourist loyalty" 18 (18): 651-656, 2014

      56 한종성 ; 이근호, "HMD를 이용한 VR 관광 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0-47, 2015

      57 Beerli, A., "Factors influencing destination image" 31 (31): 657-681, 2004

      58 Mathwick, C., "Experiential valu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77 (77): 39-56, 2001

      59 Tsai, C. T., "Experiential Value in Branding Food Tourism" 6 : 56-65, 2017

      60 Chiang, Y. J.,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Destination Image, Place Attachment, and Destination Loyalty in the Context of Night Markets" 11 (11): 11-21, 2016

      61 Wu, H. J.,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rvice encounters in luxury-hotel restaurants" 28 : 586-593, 2009

      62 Yuksel, A., "Destination attachment : Effects on customer satsfaction and cognitive, affective and cognitive loyalty" 31 : 274-284, 2010

      63 Gallarza. M. G., "Destination Image, Toward a Conceptual Framwork" 29 (29): 56-78, 2002

      64 Wang, Y. C., "Destination Fascination and Destination Loyalty : Subjective Well-Being and Destination Attachment as Mediators" 59 (59): 496-511, 2020

      65 한국관광공사, "B.E.T.W.E.E.N. 코로나시대관광…‘불안과 기대’ 사이에서"

      66 Jiang, Y., "Authenticity : The link between destination image and place attachment" 26 (26): 105-124, 2017

      67 Koufaris, M.,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low theory to online consumer behavior" 13 (13): 205-223, 2002

      68 Prayag, G., "Antecedents of tourists'loyalty to mauritius : The role and influence of destination image, place attachment, personal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51 (51): 342-356, 2012

      69 Gartnerand, W. C., "An analysis of state image change over a twelve-year period(1971-1983)" 26 (26): 15-19, 1987

      70 Baloglu, S.,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formation" 26 (26): 868-897,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HT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 (KHTA) KCI등재
      2015-05-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9-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Academic Society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KJH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2 2.62 2.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8 2.64 3.073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