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울지역 주부들의 혼례음식에 대한 인지도 조사 = A Study of Recognition of Housewives on Wedding Food in Seoul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58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혼례음식(폐백과 이바지 음식)의 인식상황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혼례음식 발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백음식의 인식에 대해서는 "결혼 후 시댁에 인사를 드리는 것"이라는 응답이 55.2%, "옛날부터 내려오는 하나의 풍습"이 35.8%로 나타나 상당히 정확하게 알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백음식의 중요도 인식수준은 전체 응답자의 10.2%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중요하다" 48.5%, "중요하지 않다"는 11.9%로 나타나 폐백음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부의 연령별로 20대 집단에서 30대 이상의 집단에 비해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둘째, 폐백음식 준비방법으로는 "가정에서 직접 마련"한다와 "시장이나 떡집에서 마련"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으며, 연령별·교육수준별(p<0.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백음식 장만시 드는 비용으로는 "30~5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30만원"29%>"50~100만원"18%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호하는 폐백음식으로는 "밤·대구고임"을 준비한다는 의견이 7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떡류">"육포">"술">"한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바지음식에 대한 의미로는 48.2%가 "신부측에서 마련한 음식을 시댁에 보내는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이바지 음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15.5%, "형편에 맞추어 준비한다"는 78.7%, "준비할 필요가 없다"5.8%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이바지 음식의 필요성에 대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주부가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종교적으로도 불교를 믿는 주부보다 기독교를 믿는 주부들에게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다섯 번째, 혼례음식의 개선점으로 메뉴의 간소화>가격을 저렴하게 하는 문제>폐백음식 선택의 다양화 등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40대 주부집단에서 "메뉴의 간소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우리나라의 모범이 되는 혼례음식의 계승을 위해서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과거와 다른 신식혼례를 치르면서도 폐백을 드리고 이바지 음식 보내는 풍습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혼례 풍습은 계속 이어질 것이기에 혼례음식이 가지고 잇는 기복과 주술적인 의미를 되살리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누구나 손쉽게 장만할 수 잇는 간편한 방법이 모색되어 전통을 살리면서 모범이 되는 혼례음식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혼례음식(폐백과 이바지 음식)의 인식상황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혼례음식 발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혼례음식(폐백과 이바지 음식)의 인식상황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혼례음식 발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백음식의 인식에 대해서는 "결혼 후 시댁에 인사를 드리는 것"이라는 응답이 55.2%, "옛날부터 내려오는 하나의 풍습"이 35.8%로 나타나 상당히 정확하게 알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백음식의 중요도 인식수준은 전체 응답자의 10.2%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중요하다" 48.5%, "중요하지 않다"는 11.9%로 나타나 폐백음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부의 연령별로 20대 집단에서 30대 이상의 집단에 비해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둘째, 폐백음식 준비방법으로는 "가정에서 직접 마련"한다와 "시장이나 떡집에서 마련"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으며, 연령별·교육수준별(p<0.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백음식 장만시 드는 비용으로는 "30~5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30만원"29%>"50~100만원"18%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호하는 폐백음식으로는 "밤·대구고임"을 준비한다는 의견이 7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떡류">"육포">"술">"한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바지음식에 대한 의미로는 48.2%가 "신부측에서 마련한 음식을 시댁에 보내는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이바지 음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15.5%, "형편에 맞추어 준비한다"는 78.7%, "준비할 필요가 없다"5.8%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이바지 음식의 필요성에 대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주부가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종교적으로도 불교를 믿는 주부보다 기독교를 믿는 주부들에게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다섯 번째, 혼례음식의 개선점으로 메뉴의 간소화>가격을 저렴하게 하는 문제>폐백음식 선택의 다양화 등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40대 주부집단에서 "메뉴의 간소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우리나라의 모범이 되는 혼례음식의 계승을 위해서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과거와 다른 신식혼례를 치르면서도 폐백을 드리고 이바지 음식 보내는 풍습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혼례 풍습은 계속 이어질 것이기에 혼례음식이 가지고 잇는 기복과 주술적인 의미를 되살리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누구나 손쉽게 장만할 수 잇는 간편한 방법이 모색되어 전통을 살리면서 모범이 되는 혼례음식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degree of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wedding food to include Pha`ebak and Ibaji foods prepared by bride's parents and sent to the bridgroom's.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293 housewives of 20 years old or more residing in Seoul area.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10 questions.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o the degree of the recognition of Pha`ebak food, 55.2 percent of the participants perceive it as 'the food sent to the bridegroomvs house to be used when the newly-weds greet groom's relatives, whereas 35.8 percent regarded the practice as "a traditional custom from the ancient times." which is, in fact, correct and exact. As to its importance, 10.2 percent regarded Pha`ebak food very important, while 48.5 percent, "important," and 11.9 percent, "not important."
      2. As for the items for Pha`ebak dishes, 77.5 percent answered their preferences for "jujube prop-nut," followed by "ricecake," "liquor" and "Korean cookies," in descending order.
      3. As for the meaning of Ibaji dishes, 48.2% understand them as "a set of dishes prepared by the bride's parents to be sent to the bridegroom's"; and as for their willingness or necessity of sending the Ibaji dishes, 15.5 percent indicated that they might prepare them, whereas 78.7 percent said that they would prepare them if the situation required. On the other hand 5.8 percent did not feel the necessity.
      The overall result is that most females surveyed recognized the two types of food important and were inclined to prepare them when the occasion demand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degree of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wedding food to include Pha`ebak and Ibaji foods prepared by bride's parents and sent to the bridgroom's.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293 housewives of 20 yea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degree of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wedding food to include Pha`ebak and Ibaji foods prepared by bride's parents and sent to the bridgroom's.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293 housewives of 20 years old or more residing in Seoul area.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10 questions.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o the degree of the recognition of Pha`ebak food, 55.2 percent of the participants perceive it as 'the food sent to the bridegroomvs house to be used when the newly-weds greet groom's relatives, whereas 35.8 percent regarded the practice as "a traditional custom from the ancient times." which is, in fact, correct and exact. As to its importance, 10.2 percent regarded Pha`ebak food very important, while 48.5 percent, "important," and 11.9 percent, "not important."
      2. As for the items for Pha`ebak dishes, 77.5 percent answered their preferences for "jujube prop-nut," followed by "ricecake," "liquor" and "Korean cookies," in descending order.
      3. As for the meaning of Ibaji dishes, 48.2% understand them as "a set of dishes prepared by the bride's parents to be sent to the bridegroom's"; and as for their willingness or necessity of sending the Ibaji dishes, 15.5 percent indicated that they might prepare them, whereas 78.7 percent said that they would prepare them if the situation required. On the other hand 5.8 percent did not feel the necessity.
      The overall result is that most females surveyed recognized the two types of food important and were inclined to prepare them when the occasion demand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9 1.46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