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강좌임에도 불구하고 교수자 및 운영자의 추가적인 시간 투자와 노력에 의존하지 않고 많은 수강생을대상으로 강의가 어떻게 설계⋅운영되었는지를 확인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74745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3-409(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강좌임에도 불구하고 교수자 및 운영자의 추가적인 시간 투자와 노력에 의존하지 않고 많은 수강생을대상으로 강의가 어떻게 설계⋅운영되었는지를 확인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강좌임에도 불구하고 교수자 및 운영자의 추가적인 시간 투자와 노력에 의존하지 않고 많은 수강생을대상으로 강의가 어떻게 설계⋅운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K-MOOC 우수강좌의 설계 요소와 운영에서 상호작용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사례집(2022)에 공시된 우수강좌 10개를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수강 등록하여 강좌들의 공통적인 설계 요소를 추출하고, 교육적 확장성 도구(ESAI)를 사용하여 상호작용의 양상 및 수준을 분석하였다. 설계 요소에는 강의를 구성하는주차, 영상의 길이 등 물리적 구현 요소를, 학습활동과 관련된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내용-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유형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공통적인 설계요인으로는 10개의 강좌 증 8강좌가 일반적으로 대학기관에서 운영하는 15주차로 구성되었고, 각주차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소주제의 모듈과 유닛으로 구성되었다. 주된 학습활동은 동영상과 퀴즈, 토론, 과제이며 영상의 길이는약 10-30분에 해당된다. 강좌에 따라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내용-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학습활동 양상이 확인되었고 이때 피드백의 수준은 학습자의 활동에 단순 반응하는 정도의 기초적인 수준이었다.
결론 K-MOOC 강좌 구성에서 콘텐츠의 세분화와 다양화된 학습활동, 그리고 콘텐츠-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학습활동의다양한 양상은, 코스가 운영되는 동안에 요구되는 전략이 아닌 운영 이전의 설계단계에서 준비될 요소들이다. 또한 이들 강좌의 설계요소와 상호작용 전략은 일반적인 온라인 강의 전략과는 차이를 보여 향후 K-MOOC에서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전략 개발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효정 ; 안정현 ; 이혜정, "해외 MOOC 우수사례 분석을 통한 공학 분야 이러닝 콘텐츠 설계전략 탐색"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8 (8): 31-37, 2016
2 강민석 ; 박인우,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87-215, 2010
3 임철일 ; 박복미 ; 송승훈, "원격대학 이러닝에 있어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 (2): 1-22, 2006
4 김상미 ; 김성겸, "우리나라 MOOC 관련 연구의 흐름과 동향: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5 (25): 451-476, 2019
5 남상은 ; 조규락, "사례연구를 통한 K-MOOC에서 상호작용의 정도와 패턴의 변화 양상 탐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735-762, 2017
6 임정훈 ; 김미화 ; 신진주,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515-1544, 2021
7 안정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양상 고찰"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3 : 77-100, 2019
8 정영숙 ; 성지훈 ; 우영희, "대규모 웹 기반 강좌에서‘동료의 우수과제 및 튜터피드백 열람’정도와 교육적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미래원격교육연구원 9 (9): 213-236, 2013
9 우영희,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서의 대리 상호작용의 활용 및 학습자 반응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609-628, 2016
10 이은희, "네트워크 기반 원격수업의 상호작용성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29-643, 2021
1 정효정 ; 안정현 ; 이혜정, "해외 MOOC 우수사례 분석을 통한 공학 분야 이러닝 콘텐츠 설계전략 탐색"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8 (8): 31-37, 2016
2 강민석 ; 박인우,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87-215, 2010
3 임철일 ; 박복미 ; 송승훈, "원격대학 이러닝에 있어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 (2): 1-22, 2006
4 김상미 ; 김성겸, "우리나라 MOOC 관련 연구의 흐름과 동향: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5 (25): 451-476, 2019
5 남상은 ; 조규락, "사례연구를 통한 K-MOOC에서 상호작용의 정도와 패턴의 변화 양상 탐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735-762, 2017
6 임정훈 ; 김미화 ; 신진주,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515-1544, 2021
7 안정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양상 고찰"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3 : 77-100, 2019
8 정영숙 ; 성지훈 ; 우영희, "대규모 웹 기반 강좌에서‘동료의 우수과제 및 튜터피드백 열람’정도와 교육적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미래원격교육연구원 9 (9): 213-236, 2013
9 우영희,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서의 대리 상호작용의 활용 및 학습자 반응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609-628, 2016
10 이은희, "네트워크 기반 원격수업의 상호작용성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29-643, 2021
11 Emporia State University, "Video Length on online courses: What the research says"
12 Hattie, J., "The power of feedback" 77 (77): 81-112, 2007
13 Hew, K. F., "Students’ and instructors’ use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MOOCs) : Motivations and challenges" 12 : 45-58, 2014
14 Hew, K. F., "Promoting engagement in online courses : What strategies can we learn from three highly rated MOOCS" 47 (47): 320-341, 2016
15 홍광표 ; 김나리, "K-MOOC에서 학습효과 및 상호작용 증진에 대한 시스템 운영 경험자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43-1262, 2019
16 VERITAS, "K-MOOC 우수강의 블루리본 15개대 30개 강좌 선정"
17 이정민 ; 전정아, "K-MOOC 대학생 수강자의 인식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1-11, 2019
18 이선영 ; 송주연, "K-MOOC 강좌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학습동기 요인 및 교수·학습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7-99, 2018
19 변문경 ; 이진호 ; 홍석호 ; 조하민 ; 조문흠, "K-MOOC 강좌 개발을 위한 상호작용 설계 전략 탐구: Moore의 3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633-659, 2016
20 Khalil, H., "How satisfied are you with your MOOC?-A research study about interaction in huge online courses" 5 (5): 629-639, 2015
21 Kasch, J., "Educational saclability in MOOCs : Analysing instructional desighs to find best practices" 161 : 104054-, 2021
22 오규민 ; 김다영 ; 김민선 ; 변기용, "COVID-19 상황 하의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징과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481-507, 2022
23 Kasch, J., "A Framework towards Educational Scalability of Open Online Courses" 23 (23): 845-867, 2017
24 교육부, "2022년 한국형 온라인공개강좌(K-MOOC) 수요조사 결과보고서" 2022
25 교육부, "2021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K-MOOC 우수사례 수기집"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줌(Zoom)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
예비교사 대상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중사례연구: 세 교수자의 경험을 중심으로